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an economic efficiencies of apples, pears, and grapes farming. We evaluate an annual economic overall efficiency (OE), allocative efficiency (AE), technology efficiency (TE), pure technology efficiency (PTE), and scale efficiency (SE)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e also measure returns to scale of farms, and the change of technical efficiency of frontier farms. Lastly we estimate the effects of some explanatory variables on allocative,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22.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isease among genetic resources for development of disease resistant gra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the resistance to crown gall in muscadine and Florida hybrid bunch grapes by pathogen inoculation. In order to compare the responses to infection with different pathogen strains, muscadine and Florida hybrid grapes were inoculated with 3 strains of Agrobacterium viti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t levels crown gall formation among grape cultivars, there little variation in response to inoculated strains. Among 29 muscadine cultivars tested by inoculation of A. vitis ‘C4612’, most of them were shown to be susceptible, and ‘Gold Isle’ and ‘Africa Queen’ were highly susceptible, and two cultivars, ‘Welder’ and ‘Jumbo’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crown gall disease. Among Florida hybrid grapes, ‘Daytona’, ‘Stover’, and ‘Swanee’ were susceptible and ‘Blanc du Bois’ was moderately susceptible to crown gall. Because muscadine grapes have been actively utilized as useful genetic resources for development of new grape varieties by intersub-genus cross, this result from the screening of resistance among muscadine grape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breeding programs of grape resistant to crown gall.
        2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4배체에서 염색체가 가감된 hypo-, hypertetraploid 포도들의 수체생육과 과실의 특성을 검정함으로서, 이들의 특성을 이용한 대립계 무핵포도 품종 육성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Hypo-, hyper-tetraploid 포도들은 다른 이수체식물들에서 보고되었던 엽의 기형이나 수체생육의 불균일 현상 없이 4배체 포도인 ‘거봉’과 유사한 생육상을 보여 재배적으로 활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Hypo-teraploid 포도에서 만개기에 GA3 100 ppm 1회 처리 시 완전 무핵과 과실을 형성하였고, 과립도 8.5∼10.5 g 사이로 대립성 과실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Hyper-teraploid 포도는 hypo-teraploid 포도들에 비해 큰 과립을 가진 포도를 형성하였으나 낮은 무핵율을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hypo-tetraploid 포도들의 특성을 이용하는 것은 대립계 무핵포도를 육성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5.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캠벨 얼리 포도과즙을 36 로 동결농축한 후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된S. cerevisiae S13, D8 균주를 이용하여 아이스와인의 발효를 행하면서 대조균주인 S. cerevisiae Fermivin과 발효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 중 S13과 D8의 경우 Fermivin보다 당도가 다소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빠른 알코올 생성을 보였다. 발효 종료 시점인 9일 후의 알코올 농도는 D8이 15.2%, S13은 14.0%, Fermivin은 12
        26.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 된 Saccharomyces cerevisiae MM10, SS89 그리고 SS812 균주를 전체원료의 15%에서 배양하여 얻은 균체를 24 로 동결농축한 사과액에 접종하여 무가당 사과주를 양조하였다. 발효 중 환원당은 대조균주와 비교 시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총산은 모든 효모군에서 알코올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최종 알코올 함량은 모든 효모군에서 12~13%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사과주의 유기산 함량의 범위는
        2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girdling on the quality and harvest date of the 'Shigyoku' grapes. Among girdled vines, the interval from full bloom to harvest date was 77 days; this was as much as seven days shorter in vines receiving a 20% girdling treatment. With regards to fruit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luster length, berry number, and berry weight in vines that received girdling treatment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uster weight; 468.2 g, 491.6 g and 504.9 g in the control group, 10% girdling group, and 20% girdling group, respectively. Thus, the use of girdling treatments is an effective approach to increasing cluster weight by 5% in the 10% girdling treatment and 8% in the 20% girdling treatment. The 10% girdling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itrable acidity; in fact, the overall titrable acidity was relatively high among all the girdling treatments. The concentration of anthocyanin increased in 20% girdling trea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ocyanin concentration among girdling treatments. Berry color developed rapidly in vines that received girdling treatment.
        28.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객관적 품질 계량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포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구입 빈도, 구입장소, 구입 단위, 선호도, 포도 씨 유 무에 대한 선호도 및 내 외적 품질인자 등이었다. 총 519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program(Version 14.0)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
        29.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주요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C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발효전 원료의 전처리방법(열처리, CM처리)이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총산에 있어서 CM처리를 할 경우 대조구나 열처리구에 비해 포도주의 총산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총안토시아닌과 탄닌 함량에 있어서, 열처리한 후 발효시킨 포도주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인반면 CM처리의 경우는 대조구나 열처리에 비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30.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의 보존기한 연장 및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적숙기의 포도에 1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다음, 와 의 저장조건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포도의 일반적인 품질특성 및 관능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포도에 대한 1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총당, pH, 적정산도,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일반 품질 특성변화는 나타나지지 않았으며, 미생물분석 결과 포도의 초기 오염미생물을 약 단위() 감소시키는 미생물 제어 효과
        31.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우스 포도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거봉, 델라웨어, 캠벨, 청포도를 열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효과 중 항산화와 항암 활성에 대한 보고는 많으나 면역활성에 대한 활성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우리는 4종의 포도의 메탄올 추출물로 항산화, 항암, 그리고 면역활성을 분석하였다. 전자공유능을 측정하기 위한 DPPH를 이용한 실험 결과 포도 4종에서 모두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을 알아보기 위한 FRAP 실험 또한 활
        32.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생육 중 유기농자재의 엽면살포가 포도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농약 처리와 비교하였다 포도의 과방중과 열과 발생률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키토산, 목초액, 곡물아미노산 처리에 의하여 과방중 300g이상과의 비율이 농약처리나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유기농자재를 처리한 포도의 당도와 환원당은 각각 , 13.0-14.5%로 농약처리 , 13.1%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총산함량은 키토산(0.
        33.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미생물에 의한 농산물의 오염 및 균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포도저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중량감소율은 상온, 저온저장 모두 20 ppm+Ny/PE/L-LDPE 처리구가 가장 적었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상온, 저온저장 모두 무처리구가 다른 포장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0 ppm+Ny/PE/L-LDPE 처리구는 감소했다. 적정산도 값은 상온, 저온
        34.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와인에 함유되어 있는 레스베라트롤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HPLC 정량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국내에서 생산된 13개의 포도 재배 품종의 부위별과 13종류의 와인에 대한 레스베라트를 함량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3 품종의 평균 레스베라트를 함량은 143.5ug/g 이었으며, 과피, 과육, 종자, 송이가지는 각각 0.9~104.8ug/g,0.1~0.5ug/g1.7~173.9ug/g2.9~247.4ug/g 의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2. 과피, 과육, 종자, 송이가지 부위별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각각 35.0, 0.2, 25.8, 82.5ug/g 이었으며, 과피의 경우 용보 품종이 104.8ug/g ,종자의 경우 청수 품종이 173.9ug/g , 송이가지의 경우 델라웨어 품종이 247.4ug/g 의 가장 높은 레스베라트를 함량을 나타냈다. 3. 13종류의 와인에 대한 레스베라트롤은 253.3~11,271.6ug/L 의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35.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저장중의 가장 큰 문젯점인 부패과 발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acetic acid를 'Campbell Early'와 'Sheridan'품종에 훈증처리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포도과실의 탈립정도는 acetic acid를 훈증처리한 후 저장 90일에 두 품종 모두 1.0~1.5%로 나타나 무처리의 2.9~8.0%와 비교하여 탈립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부패과립은 acetic acid 훈증처리구의 경우 저장 90일에 과방당 0.7~2.
        36.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만생종 중립계 포도에 대한 저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재배면적이 많은 Sheridan, Tano Red 및 Muscat Bailey A 등 3품종을 공시하여 저장전 SO훈증처리, 저장온도 ,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polyethylene film으로 밀봉하여 저장성을 시험하였다. 중량 감소는 저장기간이 경과할 수록 많았으며, Sheridan 품종이 감소의 정도가 가장 적었다. 비정상과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많았고, 저장 90일 이후 급격히 증
        37.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n attempt to test experimental condition of preparing grape powder, grapes having less commercial value was used and tried. With drying method, spray and freeze drying were satisfactory to produce power. Moisture content and odor retention were better by the latter method. Three grape strains stored for 40 days contained more odors than those stored for 5 days. Maltose 90% plus dextrin 10% was suitable for drying support. To increase odror sense, citric acid and vitamin C can be added up to 0.1 and 0.2%, respectively. Considering these conditions, grape complex powder prapared from grape powder 20% comprising drying support, glucose 79.7%, citric acid 0.1%, vitamin C 0.2% with freeze drying was the best by overall evaluation including sensory test. When campbell and neomuscut were mixed by 15:5 or 10:10, sensory evaluation was also ameliorated.
        38.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a wrapping film, which suppresses the microbial decay through the storage and distribute of greenhouse fresh produce, the antimicrobial packaging films were made and applied to the preservation of grapes(Campbell early). For the purpose the films were made by adding 1% grapefruit seed extract(GFSE) to LDPE film(Control). Graps were separately wrapped with packaging films in the state of closely-adhered packaging as well a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MAP). The wrapped grapes were stored at 5 for 65 days and then the colony count of contaminated microorganims, decay ration of grapes, the gas component within the packages and chemical qualities wer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film packaging showed the efficient results to suppress microbial growth as compared with control. The total number of containated microorganisms were decreased gradually through all the storage period. In the closely-adhered packaging and MAP the decay ratios of grapes was 31% and 19%, indivisually. After the storage period of 65 days, the interior gas components of MAP were 4.5% of O2 and 17.6% of CO2, which were efficient for the storage of grapes. In addition, no negative effects in sweetness and acidities occurred.
        39.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pes (large seed strains)were treated with fumigation using SO\ulcorner and seal-packaged by PE film, then storage at 0 at 90 RH for the test of storage life. The fruits weight loss and abnormal fruits increased with storage. The abnormal fruits were rapidly produced after 80 days, however, these rates of Rubel muscat and Shingyoku were only 8.0 and 8.3%, respectively. After 90 days, the rate of Rubel muscat was 19.1%, resulting in the least rate. Moisture content of Kaiji and Honey black slightly increased and that of other grapes decreased. Soluble solids content and acidity decreased except Shingyoku and Honey black, however, sugar/acid ratio increased with these strains. The external appearances were depressed with storage but sensory test value of Shingyoku, Honey black, Rubel muscat were ranged from 7 to 9, showing good evaluation. The hardness of Honey black after 90 days resulted in the highest value 0.51 and that of Izunishiki and Kaiji were 0.23-0.25, showing the least valu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