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군 복무 부적응자들이 그린캠프 교육을 통해 병영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우리나라 군에 병으로 입대하는 장병은 연 평균 20~23만 명이다. 19세부터 27세 이하의 젊은 남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원은 개인생활에 익숙해져 있으며, 자기주장이 강하며 사생활을 비롯한 인권을 보장을 원하고 있다. 자발적인 군입대가 아닌 강제에 의해 군에 입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사회와 군에서의 문화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동반한 문제가 발생하고 매년 5000천 명이 넘는 현역 부적합 병사가 발생하고 수십 명의 자살사고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군 문화를 개선하고자 군에서는 그린캠프 를 운영하고 있다. 점차적으로 운영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시설을 확충하며 전문강사 를 협약하고 있다. 군 인성프로그램을 통하여 군 복무 부적응자를 조기에 식별하여 단계적 으로 관리하여 심각한 문제로 발전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군내에서 문제 발생 시 대처 방안을 제시하고 장병 스스로가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스트레스 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정신건강 문제이며 심각할 경우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으로 나타 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군 생활에서의 특징인 단체생활에 대한 부적응으로 나타나며 심각할 경우 군 문화에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자연 치유적인 문화를 통해 군 복무 중인 장병들의 군 문화 변화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며 따라서 그린캠프에 대한 과학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평가를 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캠프에 입소자에 대한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성 검토와 교육을 통한 장병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자연 치유적인 문화 개선에 목적이 있다.
        5,500원
        2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 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는 비교집단 만3세~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 년 7월10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로 1시간(60분)씩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p<0.05).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은, 자연과 더불어 또래들과 함께 지내며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생태지식뿐만 아니라 상대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이 증가하였다. 친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조 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효능감이 크게 향상되어 친사회 적행동과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2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학교생활에서 발생되는 아동의 정서·행동상의 문제개선과 학교적응성을 높이고, 코칭활동을 통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한 학교환경을 개선하고 학교생활에서 행복감을 높이는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과 코치가 1:1면대면 방식으로 주1회 60분에서 90분씩 총10회기 동안 코칭을 실시하였다.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정서·행동을 개선하고, 학교폭력으로 발생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며, 자기이해, 대인관계개선, 계획과 실행력향상 및 자기효능감을 높여 아동의 학교행복감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할 수 있는 설득력을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고, 향후 학교폭력예방과 치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개선, 친구·가족·교사와의 관계개선, 학업성취, 진로지도, 교사역량계발, 학부모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코칭이 학교현장에 확대·적용 실시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프로그램계발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5,400원
        24.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즘 우리나라에는 자살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있다. 2010년 이후 인구 10만 명당 40명꼴로 자살이 늘어나 1년에 15,000여 명이 희생되고 있다. 34분마다 1명씩, 하루에 42.6명이 자살하는 셈이다. 특히 더 심각한 사실은 자살의 증가율이 10-14세에서 3배, 65세 이상에서는 2.5배의 가파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이렇게 아동과 노인이라는 취약 계층에서 자살 증가율이 높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해결책 마련이 그만큼 더 시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2011년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중앙자살예방센터도 설립되었다. 이로써 국가차원에서 지원하는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자살예방에 대한 효율적인 성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정, 학교, 지역사회, 지역보건의료체계 등의 공동체가 연대하여 노력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심신통합치유보건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과제임을 인식하고, 자기관찰ㆍ자기이해ㆍ자기변화ㆍ자기성장이 기대되는 심신통합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지역사회의 ‘행복나눔 실천학교’에서 실시함으로써 자살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실험결과를 얻게 되었다.
        5,100원
        25.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a healing agricultural program using insect resources and to confirm the persistence of the healing effect. The applied insect was silkworm Bombyx mori (Linnaeus) and 28 adolescents from local children’s centers were used as the subjects. The healing agricultural program was applied at the centers for 4 weeks, and stress was measured using salivary ɑ-amylase levels and a survey on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insect prefer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ress levels decreased, and life satisfaction and insect preference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the healing agricultural program.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is healing effect continued until 4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26.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urban elderly people. Most participants were over 70 years old (87%) among total participants (46 people). The period was from May 5, 2015 to September, 4, 2015. During the experiment, research was stopped for one month due to the spread of Mers. The 46 subjects who were over 60 years old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the number of participation (0, 4, 8, 12 times). Psychiatric tests and blood melatonin concentration tes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mean difference was determined by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analysed by ANOVA analysis. The change of melatonin concentration was examined by enzyme immunoassa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sychiatric test, mental health of the aged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worse than 16 weeks ago. People who participated 4 times also had worse mental health. 8 and 12 times participated people showed improved mental health which indicate the need of long-term forest healing for mental health. The result of melatonin test showed that blood melatonin did not increase in the elderly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whereas blood melatonin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for 12 times showed an increase tendency. This result is similar with the previous study, which suggested that melatonin can be increased by activity of body stimulation or mood change.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forest healing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However, this study had several limitations. There is a need for follow-up studies to study age and individual difference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periods
        27.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healing programs utilizing the existing infrastructure of the rural education farm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early application plan of ‘Agro-healing’.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farm was in order production・ process・sales and education, and then, healing. The production・process・sales was the highest (p=0.000). All farms have had signs or bulletin board, parking. Gender-separated toilets, and basin was held 90% or more. The farm which was held cultivation facilities for disabled in wheelchair was found to be 9.6%. Regular employee was minimum 1 people including owner up to 10 people, an average of 3.7 people were working, a welfare horticultural therapist is the highest as a retain qualification. The purpose of operating program in the farm was education, it was the highest. The most utilizing resources were agricultural work for operation the programs (p=0.000).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owner themselves in the most of farms. Regular employment was found to be 6.7%. The age of participant was in order elementary schoolchild and then toddlers. Group form of visiting was school unit or work unit mostly. Target who needed help appeared to alcohol drug addicts and then handicapped, the number of people of participating at the same time was minimum 10 to 100 people. 79% of respondents had the intend of introducing healing program and transition to healing farm. Subject who respondents wanted to access for the next healing program was elementary schoolchild. Number of participants which respondents wanted as a group was 15. Most general people wanted the emotional experience which stimulated the emotion and mood such as positive emotions, joy, and pride. If we introduce the program for healing utiliz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rural education farm, it might contribute to explore new spaces for creative agriculture and the early settlement of ‘Agro-healing’.
        28.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e occupation therapy program via healing garden which is increasing the emotional stability and hand Dexterity enhancement on pre-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disorder. The current study included 2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hronic mental disorder under the rehabilitation service at E capital hospital in Seoul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0. All of patients participated with agreement in this study, then were divided randomly by experimental (n=17) and control groups (n=12). Therapeutic program was consisted with total 38 sessions, and performed once a week for 10 months.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a healing garden (one time), as well as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ur times) in a week. Control group was conducted only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ive times a week.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gram,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est and hand dexterity test was used before and after program.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person-centered therapy, then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However, hand dexterity of experimental group was markedly changed between before (112..4±50.9 sec) and after (82.1±40.6 sec) therapy. Moreover, the speed of performance in GPT was increased with rising therapeutic sessions, indicating the hand dexterity was improved after program.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program using the healing garden is beneficial for pre-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disorder.
        2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실험군 17명과 대조군 13명으로 나누워서 주 5회 30분씩 12주 동안 실시 하였다. 실험군은 주 4회는 일반적인 작업치료(상지기능증진치료 및 일상생활훈련)를 실시하고, 주 1회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치료 를 실시하였다. 반면에 대조군은 주 5회 일반적인 작업치료만 실시 하여,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삶의 질 향상이 나타났지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 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치료정원을 활용한 원예작업치료 프로그램은 환자가 활동을 이해하고 적절한 수준의 활동을 제시받 기 위해 작업분석 후 동기부여, 적응, 수행기술, 사회적응기술이란 4단계로 등급화(garding)하여 각 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구 성하였다. 치료정원에서의 원예활동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생활에 서 자기만족감이 향상되고, 우울감이 감소되어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원예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 미치고, 구체적 개선부분을 찾기엔 제 한이 있으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치료기간이 늘어나고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치료공 간이 확대됨에 따라 장기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며 만성뇌졸중 환자가 지역사회에 생활 할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한 시기 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원예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만성뇌 졸중 재활과정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고 사료된다.
        30.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치유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우울환자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6명의 여성 우울환자를 모집하여 치유복합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환자 8명을 실험집단에 그리고 유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8명을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동적인 유산소성 댄스와 정적인 요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치유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주 2회, 총 8주간(16회기) 한 회기에 100분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t-test와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된 측정 질문지 외에 다른 처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공유하는 집단 소감나누기를 실시하여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에서는 실험집단에서 하위영역인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의 모든 요인에서 사전, 사후 그리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불안은 실험집단에서 하위요인 특성과 상태불안 모두 사전 사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에서는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인 자기지각, 불편감과 정서적 요인 모두 사전 사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집단 소감나누기의 분석 결과, 심리적, 가족적, 신체건강, 환경적, 기타의 4개의 영역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가 논의되었다.
        3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 우울환자를 대상으로 유산소성 댄스와 요가를 복합한 치유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생리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J구 정신과병원에서 지역사회에 홍보를 통해 모집한 신청자 중 우울검사(BDI)에서 참여 가능한 실험집단 및 통제 집단의 환자 각 8명의 우울환자였다. 실험 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하루 100분의 총 16회기 치유복합프로그램을 처치하여, t-test와 공분산분석으로 두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이정신진단 검사결과 실험집단은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증, 우울증, 불안증,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증상요인과 부가적 문항 모두에서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행복감 검증결과 실험집단에서 만족감과 긍정정서의 향상과 부정정서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실험집단에서 긍정자아 및 부정자아의 효과가 검증되었고, 집단간에서는 부정적 자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생리적 검증에서 심박수 및 신체조성의 변화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증 치료를 위한 운동중재요법으로서 요가와 유산소성 댄스의 복합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으며, 향후 임상적 운동심리학연구 및 학제 간 융합연구의 활성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