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

        23.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CDs are widely used in astronomical observations either in direct imaging use or spectroscopic mode. However, the areas of available sensors are too small for large imaging format. One possibility to obtain large detection area is to assemble mosaics of CCD, and drive them simultaneously. Parallel driving of many CCDs together rules out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tuning; however, such optimisation is very important, when the ultimate low light level performance is required, particularly for new, or mixed devices. In this work, a new concept is explored for an entirely novel approach, where the drive waveforms are multiplexed and interleaved. This simultaneously reduces the number of leadout connections and permits individual optimisation efficiently. The digital controller can be designed within a single EPLD (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chip produced by a CAD software package, where most of the digital controller circuits are integrated. This method can minimise the component. count., and improve the system efficiency greatly, based on earlier works by Han et a1. (1996, 1994). The system software has an open architecture to permit convenient modification by the user, to fit their specific purposes. Some variable system control parameters can be selected by a user with a wider range of choice. The digital controller design concept allows great flexibility of system parameters by the software, specifically for the compatibility to deal with any number of mixed CCDs, and in any format, within the practical limit.
        24.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outline is given of our development of mosaic CCD cameras. Hardware and data reduction software of two operational cameras are described. Scientific objectives of wide-field imaging with the cameras are briefly described.
        3,000원
        25.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present the recent results of an HI aperture synthesis mosaic of the Large Magellanic Cloud(LMC), made by combining data from 1344 separate pointing centers using the Australia Telescope Compact Array(ATCA). The resolution of the mosaiced images is 1'.0 (15 pc, using a distance to the LMC of 50 kpc). In contrast with its appearance at other wavelengths, the LMC is remarkably symmetric in HI on the largest scales, with the bulk of the HI residing in a disk of diameter 7.3 kpc. Outer spiral structure is clearly seen, though the features appear due to differential rotation, therefore transient in nature. A good correlation is seen between the supershells previously identified in Halpha (e.g. Meaburn 1980) and HI structures.
        26.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모자이크바이러스병(病)의 방제(防除)를 위(爲)하여 본(本) 바이러스병(病)의 몇가지 발생요인조사(發生要因調査) 및 저항성(抵抗性) 검정(檢定)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각지역(各地域)에서 재배(栽培)되는 대두(大豆)의 콩모자이크바이러스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영주외(榮州外) 14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가 30%이상(以上), 남해외(南海外) 22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 완도외(莞島外) 43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이었고 연기용호에는 종자전염주(種子傳染株)가 없었다. 포장(圃場)에서 진딧물발생밀도(發生密度)의 증감(增減) 1개월후(個月後)부터 발병율(發病率)에 차이(差異)가 나타났다. 엽모(葉毛)의 길이가 짧고 조밀(稠密)한 품종(品種)에 가장 매개(媒介)진딧물의 부착(附着) 및 흡즙충수가 적었고, 엽모(葉毛)가 길고 조밀(稠密)한 것에는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부착충수가 적었으며, 엽모(葉毛)가 길고 엉성한 것에 부착(附着) 및 흡즙충수가 가장 많았다. 감염시기(感染時期)에 따른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6월(月) 20일(日)에 감염(感染)된 대두(大豆)에서 높았고, 7월(月) 20일(日)과 8월(月) 20일(日)에 감염(感染)된 대두(大豆)에서는 아주 낮았다. 대두종자부분(大豆種子部分)의 부위별(部位別) 바이러스전염(傳染) 조사(調査)에서는 배(胚)와 배유(胚乳)에서 바이러스소재(所在)가 확인(確認)되었고, 미숙종자(未熟種子)가 완숙종자(完熟種子)보다는 감염율(感染率)이 높았다. 반문(斑紋)이 있는 종자(種子)는 반문(斑紋)이 없는 종자(種子)보다 다소(多少) 높은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을 보였으나 반문(斑紋)이 심(甚)하여도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높지 않았다. 그리고 발아율(發芽率)에서는 반문(斑紋)의 영향(影響)이 없었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 검정(檢定)에서 Columbus외(外) 14품종(品種)이 이병성(罹病性), Chief외(外) 14품종(品種)이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 장백(長白)콩외(外) 17품종(品種)이 저항성(抵抗性)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7.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계통 SMV-G7의 감염에 의하여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나는 함안 품종과 괴저병징이 나타나는 광교를 공시하여 (99평)의 포장 중앙 (1평)에 함안을 파종, 접종한 후 주변 시험구(1평씩 99구)에는 광교를 파종하여 SMV의 발생생태를 조사하였다. 광교에서 SMV 이병주율은 7월 13일에 가장 심하였고 황색수반으로 채집한 진딧물 밀도는 6월 22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함안과 인접한 시험구의 SMV 이병주율은 평균 , 포장전체의 이병주율은 평균 로 나타났다. 풍향과 바이러스 이병율을 분석한 결과 SMV의 전파는 바람부는 쪽으로 일정한 gradient를 형성하여 SMV 전파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
        198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름과 식물즙액에 의한 TMV 감염억제효과는 공시한 6종의 비름식물중 비름이 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비름즙액의 물리화학적성질중, 내열성은 , 내보존성은 1일, 내희석성은 1/4 희석농도까지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수소이온 농도의 변화에는 매우 안정된 성질을 보였으며, 특히 산성영역에서는 모두 이상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름즙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하였을 경우는 TMV에 대한 억제효과는 거의 소실되었다. 비름즙액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전기영동결과, 3종의 주성분으로 분리되었고 이들 중 top 성분에서 TMV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비름즙액의 실용화를 위한 도말액 효과특속성은 2회 관수에서 정도의 억제능을 보였다.
        4,000원
        29.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낭콩에서 종자전염된 바이러스병을 동정하기 위하여 각지역 농가 및 시장에서 종자를 수집파종하여 종자전염을 조사한 결과 수원, 장수, 진주에서 채집한 종자가 이병되어 있었으며 종자전염된 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접종한 결과 강낭콩에 상엽에 모자익, Chenopodium quinoa의 접종엽에 대형의 국부병반이 형성되었다. Dip법에 의하여 시료를 제작하여 입자를 관찰한 결과 약 750nm의 계상입자가 관찰되었다. 이병 강낭콩의 조직에서 Cylinder와 Pinwheel형 및 bundle형의 봉입체(Inclusion hody)가 관찰되었다. 복숭아진딧물에 의하여 충매전염 되었으며 즙액전염된 이병주로부터 채집한 종자의 전염율은 였다. 물리적성질은 내희석성이 배 였으며 내보존성은 실온에서 일, 내열성은 였다. 항혈청검정 결과 혼합침강반응에서 양성의 반응을 나타냈으며 SDS처리에 의한 한천내이중확산법에서 BCMV 항혈청과 band를 형성하였으며 AzMV와는 spur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CAMV와는 spur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강낭콩에서 종자전염된 바이러스는 Bean common mosaic virus로 동정되었다.
        4,000원
        30.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라디오러스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을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 이 병율이 이었다. BYMV는 명아주에 엽맥괴사병징, 강남콩에 심한 모자익 병징 그리고 잠두에 모자익 병길을 일으켰다. CMV는 명아주에 국부병반, 담배와 오이에 모자익 병징을 일으켰다. 분류 동정된 두 바이러스는 모두 복숭아 혹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었다. 바이러스를 순화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두 바이러스 모두 260nm에서 최고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한천내확산법을 이용한 항혈청과의 반응 결과 SDS를 처리한 BYMY와 CMV는 각각 그 바이러스의 항혈청과 뚜렷한 반응대를 형성하였다. 바이러스 입자의 진자현미경검경 과파 BYMV는 길이가 750nm였으며, CMV는 직경이 30nm이었다.
        4,000원
        31.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 콩 종자의 모자이크 바이러스(Soybean mosaic virus, SMV) 감염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8개 품종을 공시해서 Lima와 Purcifull의 면역이중확산법으로 SMV 검정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7개 품종 중 6개 품종에서 SMV가 검출됨으로서, 우리 나라의 콩 품종에서 SMV의 종자전염성이 혈청학적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SMV가 검출된 종자의 종자감염성율은 최저 에서 최고 를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는 총검정립수 336립 중 18립에서 SMV가 검출됨으로서 약 의 감염율을 보였다. 2. 이병주에서 채집한 갈반립과 무갈반립수의 SMV 감염율은 북해 1호 품종의 경우 각각 와 Clark 품종의 경우 각각 와 , Woodworth 품종의 경우는 갈반립과 무갈반립 모두 의 감염율을 나타냄으로써, 공시한 콩 품종의 갈반립과 무갈반립간엔 SMV 감염율에서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SMV에 감염된 광교품종 중 괴저병징을 나타내는 개체에서 채종한 종자에서는 전혀 SMV가 검출되지 않아 광교품종에서는 SMV-N가 종자전염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4,000원
        32.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모자익바이러스(SMV) 7계통의 진딧물 전염여부를 시험한 결과 SMV 7계통 전부가 전염되었으며 SMV의 진딧물 전염에 의한 대두판별품종의 반응도 침액접종에 의하여 SMV 계통을 분류하였을 때의 반응과 일치하였다. 공시한 5종의 진딧물중에서 복숭아혹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 Aphis citricola는 SMV 7계통을 모두 잘 전명시키는 매개충이었으나 옥수수테두리진딧물과 기장테두리진딧물은 SMV계통 G3을 전염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포장에서 SMV 계통 G2, G3, G6 및 G7을 22.5m 이랑의 1m 내에 심겨진 콩 품종 Williams에 접종한 후 80cm 떨어진 이랑의 1m내 Williams의 발병율을 조사하였다. 공시한 SMV 4계통중 6G의 전염율이 가장 높았고 조사기간에 채집된 206 마리의 진딧물중 A. citricola가 로서 우점종이었다. Williams의 수량은 G2로 접종하였을 때 가장 낮았다.
        4,000원
        33.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호박, 박, 오이, 참외, 수박의 박과작물에서 Watermelon Mosaic Virus(WMV)를 분리동정하였다. 이병주로 부터 분리된 WMV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에 의해 쉽게 충매전염되었고 종자전염은 되지 않았다. 지표식물검정결과 명아주에서는 접종엽에 대형의 국부병반이, 호박, 박, 오이, 참외, 수박에서는 접종상엽에서 모자익병반이 나타났고 담배(Nicotiana tabacum, Bright yellow), 담배 (Nicotanan glutinosa), 동부, 페추니아, 독말풀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WMV isolate의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 , 내희석성 배, 내보존성 일간이었다. WMV isolate의 항혈청반응은 미량침강법에서 양성으로 나타났고 바이러스립자의 형태는 전자현미경검경결과 대부분이 750nm의 사상입자이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박과 작물에서 분리한 바이러스가 WMV 임이 확인되었다.
        4,000원
        35.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마리리스에 모자익병을 일으키는 병원바이러스의 기주범위, 물리적성질, 혈청반응을 조사하고 바이러스 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을 하였다. 바이러스의 지표식물 검정 결과 C. amaranticolor, V. unguiculata, C. sativus G. globosa둥 21종의 CMV감수성식물에 병징이 나타났다. 바이러스의 내열성은 55C(10분간)이며 내희석성은 이고 내보존성은 실온에서 2일이었다. 한천내 확산법을 이용한 항혈청반응결과 뚜렷한 반응대가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흡광도는 260nm에서 최고였으며, 245nm에서 최저였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바이러스입자의 검경결과 직경이 90nm내외인 소구형 입자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아마리리스에 모자익병을 일으키는 것은 CMV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6.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깨, 호박, 오이의 모자이크 증상주에서 전자현미경 및 즙액접종에 의하여 분리한 바이러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바이러스를 즙액접종 하였을 때 P. vutgaris, P. sativum, S. indicum, C. melo, C. maxima, C. pepo는 전신감염, C. amaranticolar는 국부감염 되었다. 2. 본 바이러스는 M. persicae로 쉽게 전반되었고, 종자전염은 하지 않았다. 9. 조즙액중의 물리성은 내열성이 (10분), 희석성이 , 내보존성이 일이었다. 4. 본 바이러스의 형태는 길이 의 사상립자이고, 본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세포질내에서 세포질봉입체가 만들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5. 본 바이러스에 감염된 S. indicum, C. amaranticolor의 병엽초박절편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던바, 각종세포의 세포질내에 사상립자가 병행배열 또는 산재해 있고, 또 사상립자와 함께 반드시 세포질내입체(pinwheel, boundles, laminated aggregates)가 확인되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서 참깨 모자이크병의 병원바이러스를 Watermelon mosaic virus(WMV)로 동정하였다.
        4,000원
        37.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발병하고 있는 생강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의 기생범위, 물리화학적 성질, 혈청검정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조사하였다. 생강의 초기병징은 황록반문을 일으키고 후기에는 위축현상 및 괴경의 소구화를 이룬다. 포장이병율은 약 43%이었다. 즙액전염, 접구전염(core grafting)이 이루어지며, 동부, 오이 Chenopodium amaranticolar, N. tabaccum var. Havana를 비롯하여 23종의 CMV감수성 식물에 병증을 나타낸다. 희석한계점은 10-4~10-5 범위이고, 온도한계활성점는 65~70℃사이이다. 혈청반응은 CMV 항혈청과 양성으로 나타난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바이러스립자의 크기는 28~32mμ의 구형이다. 이병엽육조직의 세포질 속에는 구형바이러스입자의 밀집상과 유리되어 있는 입자도 관찰되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생강에 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CMV군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믿어진다.
        4,000원
        38.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보리와 밀품종에 보리줄무늬 모자이크 바이러스(Barley Stripe Mosaic Virus)병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겉보리 쌀보리, 맥주맥, 밀등 51개 품종 또는 계통을 공시하여 Hamilton과 Carroll의 혈청학적배아검정법으로 이들의 BSMV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겉보리, 쌀보리, 맥주맥 그리고 밀을 포함한 34개 수집종에서 BSMV가 검출되므로서, 우리나라의 보리와 밀품종에 BSMV가 발생하고 있음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2. BSMV가 검출된 품종의 종자감염율은 최저 에서 최고 를 나타낸다. 전체적으로는 총검정립수 2448립중 157립에서 BSMV가 검출됨으로서 감염율은 약 를 나타낸다. 3. 혈청학적배아검정시 비특이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4. 혈청학적배아검정법은 사용하기에 간편하고 결과 판정을 신속, 정확하게 할수있어 대량의 종자와 유묘를 대상으로 BSMV를 검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4,000원
        39.
        197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mbidium의 mild mosaic 병주로부터 각종 초본식물에 즙액접종되는 소구형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바이러스를 즙액접종하였을 때 C. amaranticlor, C. quinoa, Cymbidium spp., Dianthus caryophyllus는 전신감염, C.ficifolium, Gomphrean globosa는 국부감염되었다. 2. 본 바이러스는 Myzus persicae로 전반되지 않고, 영양번식기관에 의하여 전반되었다. 3. 조즙액중의 불활성화한계는 내열성이 (10분)이고 내희석성이 , 내보존성이 60일 이였다. 4. 본 바이러스는 C. amaranticolor병엽을 동결후, chlorform으로 청등하여 분획원심분리와 sucrose density gradient 원심분리법으로 순화하였다. 5. 순화시료의 자외선흡수곡선은 최고 261nm, 최저 243nm이고 260/280=1.72, 최고/최저=1.26의 핵단백에 의한 흡수곡선을 나타냈다. 침강계수는 의 수치가 얻어졌다. 6. 本 바이러스의 항혈청은 침강반응혼합법에 의해 2,025배의 역가를 나타냈고, 한천내확산법에 의한 시험에서 CarMV와 혈청학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本 바이러스의 형태는 직경 약 28nm의 소구형(다면체) 입자이고, empty particles도 소수 관찰되었다. 5. 본 바이러스에 감염된 C. amaranticolor, C. ficifolium, Cymbidium spp.의 병엽초박절편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든 바, 각종 세포의 세포질, 액포 및 도관내에 소구형 입자가 산재 또는 집괴의 소재양식으로 확인되었다. 9.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서 본 바이러스를 Cymbidium mild mosaic virus로 명명한다.
        4,000원
        40.
        197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수분리된 오이모자익 바이러스(CMV)를 함배 (KY-57)에서 증식하여 개량된 순화방법으로 순화하였다. 순화된 바이러스를 Complete adjuvant와 1: 1로 섞어 토끼에 10일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하여 높은 역가의 CMV 항혈청을 제조하였다. 한천내확산법에 의한 항혈청의 역가는 1/1280이었다. 제조된 CMV 항혈청은 앞으로 채소작물이나 그밖에 식량작물에 이병된 CMV를 분리동정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