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

        2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tato tuber moth (PTM) is a primary pest of potato which had invaded into Korea in 1968 and its distribution was restric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Possibly due to the climate change, its distribution expanded toward the North including Gyounggi and Gangwon province. Since this pest also can inflict damage on other solanaceous crop like tobacco and tomato, we tested the possible host expansion and damage potential on the varieties of tomato. A day old larvae were inoculated to three commercial varieties of a tomatoes and a potato. The results showed that PTM could survive and reproduce on tomato leaves or fruits with differential performance on the varieties. Development time for a day old larvae took longest in leaves of 3 months old plant than of one months old plant of tomatoes. PTM showed lowest reproduction on the leaves of variety with significantly higher type-VI trichome density/mm2. When fed with fruits of tomatoes PTM performance was low in terms of biological parameters in small sized cherry tomatoes than big normal size tomatoes. Significantly high survival rate was observed in the large sized fruit of tomato verities than small sized. This led to further discuss the importance of fruit size and the glycoalkoloid which is present in high level in cherry type tomatoes. Further work on resistance with more tomato accessions are necessary to know wider resistance variability in Korea.
        2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몇가지 LED 광질이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생장과 포장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신황미’, ‘연황미’, ‘맛나미’ 등 3품종의 바이러스 무병묘를 20일간 담액수경 재배하여, 자연광하에서 10일간 순화시켜 30cm 크기의 삽수를 75×25cm로 6월 10일 정식하여 흑색비닐로 멀칭재배하였다. LED 광질은 형광등(40W) 을 대조구로 하여 적색(660nm), 청색(460nm), 적+청 8:2 및 적+청 7:3 혼합광을 사용하였다. 묘소질은 적+청 (7:3) 혼합 LED에서 줄기신장, 줄기두께, 잎수 및 뿌리 발달 등이 양호하여 건묘육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식 30일후, 포장 생존율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형광등과 적색 LED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등의 지상부 생육특성도 LED 광질 및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식 120일후 지상부 생육특성에서도 줄기길이, 줄기두 께, 마디수, 곁가지수, 생체중 등에서 LED 광질에 따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줄기길이, 마디수, 줄기두 께, 생체중 등에서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 당평균중, 평균괴근중 및 수량 등은 LED 광질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품종간 수량은 ‘맛나미’와 ‘연황미’에서 ‘신황미’보다 유의 하게 높았다.
        4,000원
        24.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tato tuber moth (PTM),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is a serious pest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plants in the fields from warm temperate to tropical climates, and tubers stored under ambient temperatures post-harvest. In recent years, concerns on PTM occurrence and damage to potato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resulted in global warming. To search potent natural enemies of PTM, we collected >150 PTM larvae from potato fields in Jeju-do in May, 2009 and then reared in the room until wasp adults emerging, which was identified by Lee J.W. as Diadegma fenestrale (tentative Korean name, 감자뿔나방맵시벌). This is the first report in Korea. When supplied 10% sugar solution on adults to rear, the longevity was 12.2±2.0 day, which was much longer than supplied with only water (5.0±1.4 day) or none (3.1±1.1 day). When the 2nd larvae of PTM, 10 days after hatch, dwelled in potato tubers were supplied to parasitoid adults for parasitization, the developmental periods from egg oviposition to adult emergence was 24.0±2.9 day, and the sex ratio of newly emerged adults was 0.27. The parasitization ratio indoor showed a kaleidoscopic characteristics, ranged from 30.0% to 71.4%. It represented that many factors might be related for the successful parasitization to PTM larvae.
        2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tato tuber moth (PTM) has been a destructive pest on potato in the fields and strores through tropical to subtropical area. According to global warming, PTM distribution limit in Korea is facing north gradually. Recently, potato fields damaged by PTM are reported intermittently in the midsection of a country and southward.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insect with equal growth stage is a prerequisite for investigating bionomics and developing new agrochemicals to control pests. In 2009, we collected PTM larvae first from the potato fields in Miryang and Gimcheon, and then placed them into transparent hexagonal rearing cage (30×30×30cm) with providing potato tubers as a food till emergence. A transparent cylindrical rearing cage (Φ15×30cm) erected vertically before putting emerged adults, and covered upper opening with net (50 mesh). To get eggs, we placed a filter paper (Φ11cm, called ‘oviposition paper’) on the net and sprinkled sugar solution. The oviposition paper laid eggs was stored in 10℃ refrigerator and changed with new one every 1~2 day interval.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ggs to hatch was 5.2±0.7 days at 23±2℃, L16/D8 condition. Although adults laid eggs continuously for two weeks, second to fifth days after emergence showed highest oviposition, which suggested the most efficient periods for collecting sufficient eggs. A hatchability of eggs laid within 10 days after emergence was over 90%.
        2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엽절제 정도에 따른 넓은잎큰조롱의 수량 및 품질을 구명하여 재배법 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주재배에 따른 경영비를 절감하고자 경엽절제 비율 10% 등 5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지주재배(관행)에 비하여 무지주재배에서 경엽생육이 저조하였으며, 무지주재배 간에는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수록 줄기길이는 길었으나, 줄기굵기와 분지수는 절제비율이 많을수록 굵거나, 많은 경향이었다. 나. 엽폭은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수록 넓은 경향이었으나, 엽록소 함량은 경엽 절제비율이 많을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다. 근 생육은 지주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무지주재배에서의 상품수량은 경엽무절제 559 kg/10a 대비 경엽 10~20% 절제에서 9~13% 증수되었다. 라. 지주재배에 따른 경영비를 절감하기 위한 무지주재배시 최적 경엽절제비율은 20%이었다.
        4,000원
        28.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tato tuber moth (PTM,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is a serious pest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plants in the field in regions with warm temperate to tropical climates, and of tubers stored under ambient temperatures post-harvest. Although PTM can be a minor to serious pest depending on the area and year, this pest is getting more and more serious to potato fields in Korea according to accidental surveys. Son (1979) represented 12.5℃ of average annual temperature as northern limit of distribution where corresponding to Youngdeog, Dalseong, Boseong and Jindo regions. Soon after, Choi and Park (1980) reported that the northern limit of PTM distribution coincided with -8℃ isotherm for average annual minimum temperature of January. In recent years, concerns on PTM occurrence and damage to potato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resulted in global warming. We carried out an extensive survey of PTM distribution using sex pheromone traps at 24 sites across the nation in 2009.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northern limit of PTM distribution climbed to southern Gyeonggi and middle Gangwon regions from Gyeongbuk and Chungbuk regions indicated by Choi and Park (1980). Hereafter, we are trying to investigate why drastic going northward of PTM happened in Korea. Here is one presumption that a sudden rise in average temperature has occurred during 30 years, from 6.34℃ in 1973 to 7.62℃ in 2007, especially around Daegwallyeong area where is a typical highland with 800 m high.
        2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삽묘의 생리적 서령과 분무재배시 수확시기가 감자 '대지' 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삽묘는 조직배양묘를 삽목하여 생산하였고 삽목 후 20, 30, 40, 50일된 경삽묘를 분무재배에 이용하였다. 분무재배시 정식 후 60, 70, 80, 90일에 각각 괴경을 수확하였고 수확한 괴경은 1~5, 5~10, 10~20, 20~30, 30~40, 40g 이상의 크기로 분류하였다. 삽목한 후 40일이 경과된 경삽묘의 평균 초장이 전생육기간에 걸쳐 가장 길었지만 정식 후 75일에는 모든 연령의 경삽묘 간의 초장에 대한 유의차는 없었다. 주당 괴경중은 정식 후 90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삽목 후 20일과 40일된 경삽묘를 정식할 때 가장 무거웠고 주당 괴경수도 가장 많았다. 그러나 50일된 경삽묘를 제외하고 20, 30, 40일된 경삽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정식 후 80일과 90일에 수확하는 것이 5g 이상의 괴경 수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색칼라 ‘Black Magic’의 노지와 비가림재배(50% 차광) 및 구근 크기가 생육 및 구근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맹아소요일수는 노지에 비해 비가림 하우스에서 4.2일 단축되었으며 맹아율과 생육은 노지보다 비가림하우스에서 좋았고 구경이 클수록 양호하였다. 노지와 비가림 하우스의 개화수 차이는 없었으나 화경장은 비가림 하우스가 노지에 비해 12.2cm길었으며 구근 크기가 클수록 개화품질이 양호하였다. 연부병 발생률은 노지와 비가림재배에서 각각 19∼83%, 3∼22%로서 노지재배에서 높게 나타났고 구근 비대는 연부병 발생이 적은 비가림재배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정식시 구근 크기가 증가할수록 구근 비대는 양호하였으며 비가림재배에서의 구경 0.5∼1 cm구는 약 7개월 후에 구중 50.2g,구경 5.7cm로 비대하였다.
        4,000원
        33.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 소괴동 산을 위해 적합한 양담재배방식을 구명코자 분무경, NFT, perlite 및 scoria 배지비을 이용하여 '대지' 품종을 공시하고 생육과 소엽도의 연성 및 준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무병 방식이 NFT 방식이나 Perlite 및 scoria 배지경에 비해 정식 후 40일과 60일의 지상부 생조이 좋았고, 정식후 90일에는 동윤이 65.4cm, 주당자육가 7.3개로서 가장 많았으며, scoria 배지경은 기윤이 49.5cm, 도상기육 3.2개로서 가장 적었다. 2. 포지장은 분무비에서 30.4cm로 가장 길었고, 주당각지육는 NFT 방식에서 10.5개로 많았다. 3. 정식 후 90일에 주당 괴경수는 분무경에서 67.1개, NFT 62.5개, Perlite 배지경 20.1개, scoria 배지경 18.0개였다. 4. 3g 이상의 괴대 크기 분포는 분무경 72.7%, NFT 62.6%, perlite 배지비 84.1%, scoria 배지경 83.3%로 고협배지경이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주당 괴동수가 적기 때문에 총수양 은 적었다. 5. Perlite 배지경에서 황산된 소괴경은 피일발이이 적고 표피가 매끄러워서 보질의 괴대이 생산되었다.
        4,000원
        38.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utilize the tuber of Jerusalem artichoke (Jerusalem tuberosus L.) which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economical resources for bioenergy, the tubers of the plant were processed into silage in 11 lab-silo with three levels of mixture of c
        4,000원
        39.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 괴경에 타박상을 입혔거나 세균현탁액을 주입했을 때 낮은 water potential(-6.46 bar) 보다 높은 water potential (-6.06 bar)에서 더 쉽게 부패를 초래하였으며, 높은 water potential을 가진 괴경과 낮은 water potential을 가진 괴경 사이에 있어서의 부패의 진전에는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현탁액의 농도의 종류에 따른 괴경의 연부병의 이병정도는 높은 water potential에서 높았으며, 세균 현탁액 농도의 은 높은 water potential에서 이며 낮은 water potential에 서는 이었으며, 높은 water potential과 낮은 water potential 에서는 작은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다. 이 시험에서 감자는 상처나 타박상이 나지 않도록 다루어야 하며 수확후 충분히 건조하여야 오랜 운반과 저장중에 연부병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4,000원
        40.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지과작물의 주요해충인 감자나방이 국내에서 정착발생되는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명태별 저온처리시험과 분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은 -10℃. 처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12℃. 24시간 처리에서 부화능력을 완전상실하였다. 2. 유충은 -5℃, 처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용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7℃. 96시간 처리에서 용화능력을 완전 상실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