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21.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nges in quality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for two mugworts, namely, Artemisia capillaris Thumberg Artemisiae asiaticae Nakai fermented by Bacillus strains were characterized followed by rapid pattern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through the SAW-based electronic nose sensor in the GC system. After fermentation, the pH has remarkably decreased from 6.0∼6.4 to 4.6∼5.1 and there has been a slight change in the total soluble solids. The L (lightness) and b (yellowness) values in the Hunter's color system significantly decreased, whilst the a (redness) value increased via fermentation. The HPLC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total amino acids increased in quantity and the 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er in the A. asiaticae Nakai than in the A. capillaris Thumberg, specially with high contents of glutamic and aspartic acid. After fermentation, the monoun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in the A. asiaticae Nakai and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in the A. capillaris Thumberg. Whil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have not been affected by fermentation, the total sugar contents have dramatically decreased. Scopoleti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ex components in mugworts, was highly abundant in the A. capillaris Thumberg; however, it was not detected in the A. asiaticae Nakai. Small pieces of plant tissue in the surface microstructure were found in the fermented mugworts through the use of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Volatile flavor compounds via electronic nose showed that the intensity of several peaks has increased and additional seven flavor peaks have been produced after fermentation. The VaporPrintTM images demonstrated a notable difference in flavors between the A. asiaticae Nakai and A. capillaris Thumberg, and the fermentation enabled the mugworts to produce subtle differences in flavor.
        22.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riental melon during the process of alcohol fermentation via SPME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The flavor components of oriental melon were shown to have mainly included melon and green flavors. The green flavor was identified to be nonanal, 1-butanol, 1-octen-2-ol and benzene, and its relative concentration was shown to be 16.66%. The nonanal concentration was shown to have been reduced among the green-flavor components,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remaining components was observed. Mainly, sweet flavor tended to increase, and the relative concentration of benzene was particularly shown to have increase by 25.58%, accounting for the highest relative concentration. The amount of green-flavor components, except for 1-butanol,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decrease after alcohol fermentation. Then, no component of green-flavor, which causes an offensive smell, was found during fermentation and aging. Meanwhile,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hich are consist of acids, were shown to have been produced during alcohol fermentation. In particular, octanoic acid, which causes off-flavor, was shown to be 60.99%, a very high relative concentration during the aging stage. In addition, acetic acid with a pungent sour flavor tended to be produced. A further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avor in the production of oriental melon wine is required.
        23.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nges i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plum after its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storage were determined using the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There were 44, 46, 45, 47, and 38 volatile compounds in the 0-, 0.25-, 0.5-, 0.75-, and 1 kGy irradiated samples, respectively. Also,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e plum that was stored for 30 days were identified as 48, 40, 40, 39, and 40 components. The compositions of the volatile compounds of the control and irradiated samples showed a similarity after the storage. Especially, the more important volatile flavor of the plum was identified as hexanal of the C6compounds, (E)-2-hexenal and (Z)-3-hexenal. In particular, hexanal, (E)-2-hexenal, and (Z)-3-hexen-1-ol increased in all the doses, where as hexanol and (E)-2-hexen-1-ol decreased. Among the lactone compounds, γ -hexalactone, γ-octalactone, and γ-decalactone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the raw samples. Hexanonic acid and 2-hexenoic acid were not identified during the storage of the samples, and 2-methylprrole was detected only when the storage samples were irradiated at a dose higher than 0.5kGy.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effect on the vari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nent suntil 1 kGy in the plum was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24.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능이버섯의 식품학적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능이버섯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기호성분을 분석하였다. 단맛에 관여하는 유리당은 glucose, trehalose, sucrose, xylose가 검출되었고 총 함량은 202.5 mg/kg이었다. 단맛, 쓴맛 및 감칠맛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필수아미노산과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249.5 mg/kg과 2,592.1 mg/kg으로 나타났다. 버섯의 5
        25.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초제조시 효모균주(Saccharomyces kluyveri DJ97, Saccharomyces cerevisiae JK99, Saccharomyces cerevisiae GRJ, Saccharomyces cerevisiae H9)와 속성 및 정치발효에 따른 현미식초의 유기산 및 휘발성 성분을 비교하였다. 현미식초의 유기산 함량은 acetic acid 이외에 속성발효에서는 citric acid, lactic acid, oxalic acid, ta
        26.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소비가 활발한 시판 과실식초(사과, 포도, 감)에 대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향기성분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식초시료의 총산도는 포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시료마다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갈색도, 탁도 및 전반적 색차()는 감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판 과실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유기산은 acetic acid 외
        2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특성이 다른 나물콩 4종을 재료로 콩나물을 재배한 후 SDE 법으로 콩나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총 52개의 향기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품종별로 46~50 개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2. 향기성분은 알콜류 16종, 알데하이드류 17종, 케톤류 10종, furan 류 2종, acid류 2종 및 기타 5종이 분석되었으며, 오리알태는 알데하이드류, 다원콩은 알콜류의 성분 수가 타 품종보다 적게 나타났다. 3. 품종별 향기성분의 상대적 함량은 오리알태가 가장 높았으나 동정된 성분의 갯수는 풍산나물콩과 녹채콩이 많았다. 4. 다원콩은 알콜류와 알데하이드류가 비슷한 함량 조성을 보였으나 기타 품종들은 알데하이드류가 알콜류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5. 4 품종 모두 2-hydroxybenzaldehyde, hexanol, 1-octen-3-ol 등이 상대적으로 함량이 높았다.
        28.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 부위별 및 감귤 주스 가공 후 폐기되는 착즙박을 배지로 하여 재배된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사체의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감귤 분말에서 휘발성 물질은 29종류이었는데, , , , caryophyllene, , germacrene-D 및 은 감귤류의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었으나 8-hydroxy-linalool, , tetradecanoic acid 및 pentadeca
        30.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더덕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신선더덕의 경우 총 167 종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타 연구결과에 비해 상당히 많은 편이었으며, 동일 더덕이라도 저장조건에 따라 종류 및 조성비율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조성 비율이 큰 10개의 성분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58%였다. 일반재배 더덕을 4가지 조건으로 15일 혹은 30일간 저장하면서 분석한 휘발성 향기성분들 중 1-hexadecene, 2,6-dimethyl-2-octanol, 2-methyl-2-dodecanol, α-cedrene, β-selinene, farnesane, isoledene등 7종이 모든 저장조건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각 저장조건에서 나타나는 10개의 중요 향기 성분들을 비교한 결과 모든 저장조건 및 저장기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성분은 없었으며, trans-2-hexen-1-ol이 19.8%~56.0%, 마대포장 후 실온저장 더덕을 제외한 1-hexanol이 51.9%~71.1%를 차지하는 주요 성분이었다. 마대포장 실온저장 더덕의 경우에는 cyclohexanol이 36.4%, trans-2-hexen-1-ol이 19.8%를 차지하였고, 2-hexenal이 12.7%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저장조건에서 확인되었던 1-hexadecene, 2,6-dimethyl-2-octanol, 2-methyl-2-dodecanol, β-selinene, farnesane, isoledene들은 조성비율이 매우 낮거나 순위에 포함되지 못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더덕 향기성분에 대한 관능평가로 더덕의 품질을 판단한다면 항균포장 냉장저장 더덕이 모든 향취가 높았으며, 그 다음이 마대포장 냉장저장, 항균포장 실온저장, 마대포장 실온저장 순으로 향취가 감소하였다. 이는 포장재의 차이보다는 저온보관 여부가 주요 변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더덕 고유의 향취에 대한 관능평가를 통해 저장더덕의 상품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쑥의 식물종 판별을 위해 SAW센서가 부착된 GC로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분석되어 15초 이내에 분석된 크로마토그램을 VaporPrintTM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패턴화 하였으며 패턴인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싸주아리쑥과 사자발쑥, 인진쑥의 패턴 차이를 조사하였다. 1. 싸주아리쑥, 사자발쑥, 인진쑥의 휘발성분의 분석을 통해 polar derivative패턴이 확연히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용매추출과 같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전처리의 과정없이 20초간의 Vapor성분 분석만으로도 쑥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다. 2.쑥의 보존기간별 향의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수확당년의 시료에 비해 해가 갈수록 성분들의 양이 줄어듦이 확인되었고 2년 이후의 시료들에서는 그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4분대의 특정향기성분의 경우에는 오히려 그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3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능특성이 우수한 밀가루의 제품생산 및 밀 품종 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산 그루밀 원맥을 Buhler test mill로 제분하고, 각 제분부위별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검토하였다. 1. 제분부위에 따른 밀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배유층인 B1,B2,R1 및 R2 층과 바깥층인 겨층과 배아간에 정성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정량적인 차이는 있었다. 2. 겨층 및 배아층은 배유층에 비하여 m-xylene, n-butanol의 조성이 매우 높았다. 3. 밀에서 냄새의 지표화합물인 C6-aldehyde 류와 C6-8-alcohol 류의 조성은 제분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배유층 내부인 B1,B2,R1 층보다 바깥층인 R2 층에서 조성이 높았다. 따라서 R2 층이 B1,B2,R1 층에 비하여 관능적으로 보다 우수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34.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국내 8개 지역에서 수집한 꽃향유의 정유성분을 분석하여 화학형을 분류하고, 이들 화학형 성분이 항산화 작용과 식품부패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정유성분 분석결과 3개의 화학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화학형 1의 주성분은 dihydrotaketone (DT type)이었다. 개화기를 기준하여 꽃향유의 개체에 따라 naginatketone (NK type)이 60% 이상을 함유한 것과 elsholtziaketone (EK type)을 60% 이상 함유한 개체로 분류할 수 있었고, 또한 이들 두 성분은 종자세대 후에도 EK type은 elsholtziaketone이 주성분으로 나타났고 NK type은 naginataketone이 주성분인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NK type은 제2 화학형으로 그리고 EK type은 제3 화학형으로 구별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6 mg/l 농도에서 나타났으며, 같은 농도에서 DT〉NK〉EK 순으로 항산화능을 보였다. NK type은 Streptomyces와 Bicillus에서, EK type은 Streptomyces와 Pseudomonas에서 높은 항균능력을 보였다.
        35.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in essential oil from different origin of Atractylodes spp. which is being traded as a crude herbal drug in Korean herbal markets. From the two Atractylodes of major volatile components were similarly detected such as the β-selinene, β-sesquiphellandrene, germacrene B, 2,7-dimethoxy-2-methylnaphthalene and 9-methoxy-2,3-dihydrofuro3,2-qcoumarin. Among the volatile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2,7-dimethoxy-2-methylnaphthalene (40.98%), 9-methoxy-2,3-dihydrofuro 3,2-q coumarin (15.74%), and β-sesquiphellandrene (1.98%) in both Atractylodes.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wo Atractylodes were the same species which was being traded in the Korean herbal markets as the A. japonica. not to different species of A. japonica and A. macrocephalla, respectively.
        36.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optimum method for identifying the volatile components of Magnolia ovobata Thunb. using the dynamic headspace (Purge & Trap) and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method. Between the two different identification analysis, the volatile components were more easily detected in the SDE than the Purge & Trap method. Among the identified volatile components, the 12 compounds were detected to have similar retention times and match quality within the 45 minutes in both identification methods. The maximum values of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were detected differently by SDE and (Purge & Trap) method such as α-pinene (3.4, 18.2%), β-pinene (3.5, 10.3%), l-limonene (5.2, 15.4%).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ynamic Headspace (Purge & Trap) was much more reliable method for identifying the volatile components of Magnolia ovobata Thunb. as compared to the SDE method.
        37.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olatile oil components were analysed in Perilla frutescens accession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South Korea and identified chemotypes based on the major volatile oil components. Major components out of 30 compounds identified were limonene, perillaldehyde, perillaketone, isoegomaketone, beta-caryophyllene, beta-farnesene, myristicin, and dillapiole. P. frotescens collec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chemotypes : PA type (57.7% limonene and 19.8% perillaldehyde), PK type (89.8% perillaketone), ST type (82.4% sesquiterpene, as 54.5% beta-caryophyllene and 27.9% beta-farnesene) and PP type (40.3% phenylpropenes as 13.6% myristicin and 26.7% dillapiole) and 37.8% sesquiterpenes. The majorities of P. frutescens collections in this study belong to PA type (41.9%) and PK type(38.8%).
        38.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arious plant organs of fennel (Foeniculum vulgare Mill.)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ir volatile components using Dynamic Headspace (purge & trap). They showed slight differences concerning the volatile component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Results revealed that trans-anethole (12.65%) was the major compound in the leaf. The highest compound was α-pinene (28.78%), and trans-anethole (7.90%) was highly detected in the stem. The maximum values were 5.64, 4.59, 1.58, 1.51, and 1.04% for α-pinene, γ-terpinene, β-pinene, 1,8-cineol and fenchone, respectively in the flower. However, very little trans-anethole was detected (0.27%) in the flower.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major componen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lant organs. However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elated plant organs like flower-fruit and leaf-stem contained the similar components.
        39.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편하고 효과적인 정유성분 분석을 위해 SPME fiber를 선별하고 산초와 초피의 개체 정유성분 분석에 적합한 SPME fiber를 찾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일물질별 흡착율은 PDMS, PDMS/DVB, CAR/PDMS 가 우수했다. 10종의 단일물질 표준품 혼합액 흡착 실험에서 직접주입 했을때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인 것은 PDMS, PDMS/DVB fiber이였다. 최종 선발된 PDMS와 PDMS/DVB를 이용하여 24종의 단일물질 표준품 흔합액 흡착과 직접주입시를 비교한 결과 이들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GC주입구의 split ratio별 성분의 검출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흡착시간이 길어질수록 분자량이 큰 성분의 흡착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직접주입시와 비교해 볼 때 적절한 흡착시간은 30-40분이였다. SDE 추출물을 이용한 산초와 초피나무 개체 정유성분 분석에는 산초와 초피 모두 PDMS/DVB가 흡착시간 30-40분에서 분자량이 큰 sesquiterpene류까지 흡착하는데 유리하였다.
        40.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의 동일 지역에서 10개 품종의 바질을 재배한 식물체를 꽃, 잎, 줄기 부위별로 분류하고 이들을 동시증류추출장치 (SDE)를 이용하여 essential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정유성분을 GC/MSD로 동정하여 alcohol류 11종, carbonyl류 6종, hydrocarbon류 20종, ester 화합물 5종으로 총 42종의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주요 성분들은 linatool, methyl chavicol, eugenol, 1,8-cineole, trans-methyl cinnamate등이었다. Peak의 면적비 (%)에 의한 품종간, 식물체 부위별 휘발성 성분을 보면 바질의 주성분인 linalool의 함량은 꽃에는 31.76~53.04%가 있었으며, 잎중에는 linalool이 21.75~35.83%, 줄기에는 3.53~22.36%가 들어 있었다. 식물체 부위별로는 꽃에 가장 많았고 다음이 잎, 줄기의 순이었으며 glove 바질이 22.4~53.0%로 많았고, cinnamon 바질이 21.7~32.0%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Methyl chavicol은 꽃에는 0.23~24.14%가 있었으며, 잎중에는 0.41~32.96%, 줄기에는 0.00~2.16%가 들어 있었고 식물체 부위별 함량은 잎에 가장 많았고 다음이 꽃, 줄기의 순이었다. Eugenol의 함량은 꽃에는 4.10~21.24%가 있었으며 , 잎중에는 5.29~48.74%가 함유되었고 figz 바질에 48.7%로 많았으며, 줄기에는 7.59~32.09%가 들어 있었고, 식물체 부위별의 eugenol함량은 잎에 가장 많았고 다음이 꽃, 줄기의 순이었다. trans-methyl cinnamate는 꽃에 0.03~28.68%가 있었으며, 잎중에는 0.00~38.49%, 줄기에는 cinnamon바질이 20.6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식물체 부위별의 함량은 cinnamon바질의 잎에 가장 많았고 다음이 꽃, 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꽃, 잎, 줄기의 부위별의 향기 성분을 비교하여 보면 꽃, 잎 부위에 비해 줄기 부위의 성분 수 및 함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꽃과 잎 부위는 성분들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