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3

        428.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 배아로부터 saponin을 분리·정제하여 유리기 억제효과 및 동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유리기 억제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면 대두 배아 saponin을 0.5 및 1.0% 씩 첨가한 그여 식에서 4주 동안 사육한 후 간장을 절취하여 간장 획분의 활성산소 및 항산화 관련 효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 획분의 hydroxy radical (·OH)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급여식에 사포닌을 첨가한 급여군에서 ·OH기의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microsome 획분에서도 0.5 및 1.0% 투여군에서 H_2O_2 생성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간장의 cytosol획분에서 O_2· 의 생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 배아 사포닌의 세포독성을 P338 (mouse lyoupoid neoplasm) 과 L1210 (mouse leukemia)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리 농도에 따른 대두 배아 추출물이 P338과 L1210에 대한 성장 효과 실험에서도 200㎍/mL에서 높은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000원
        429.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형분 함량은 어린 동아 착즙에서는 3.1%, 익은 동아 착즙액에서는 0.1%를 나타냈고, 주성분은 당으로 89.7%를 나타냈다. 팩틴 함량은 익은 동아즙은 4.11mg/ml, 어린 동아즙은 4.43mg/ml이었다. 당 함량은 익은 동아 육질은 sucrose 0.1%, glucose 0.32%, fructose 0.35%, 미확인당 1이 0.06%, 2가 0.04%로 합계 0.87%를 나타냈다. 어린 동아 육질은 sucrose 0.33%, glucose 1.04%, fructose 1.12%, 미확인당 1이 0.18%, 2가 0.12%로 합4계 2.79%를 나타냈다. pH는 익은 동아는 4.64, 육질은 4.94, 어린 동아의 속은 4.96, 육질은 5.40을 나타냈다. 유기산은 익은 동아 육질에는 citric acid 0.409, malic acid 0.084, succnic acid 0.048%, 속에는 citric acid 0.648, malic acid 0.127, succinic acid 0.057%, 어린 동아 육질에는 citric acid 0.028, malic acid 0.219, succinic acid 0.298%, 속에는 citric acid 0.039, malic acid 0.360, succinic acid 0.224% 들어 있다. Fumaric acid는 미미하다. 총량은 익은 동아 속이 0.833, 어린 동아속 0.624, 어린 동아 육질 0.546, 익은 동아 육질 0.541이었다.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력은 대조군이 9(Ø, cm)인데 반해, 비열처리 동아즙은 2.6, 열처리 동아즙은 2.5, 1/5 농축한 것은 1.9, 1/10 농축한 것은 2.5, 동결건조한 것은 2.3을 나타냈다. 멜라닌 생성 억제력은 0.01%에서 대조군이 29 ㎕/ml인데 반해 열처리 동아즙은 15 ㎕/ml을 나타냈고, 비열처리 동아즙은 이보다 약간 높았다. 1/5 농축한 것은 24 ㎕/ml, 1/10 농축한 것은 23 ㎕/ml, 동결건조한 것은 19 ㎕/ml를 나타냈다. 이들 결과에 따라 동아즙을 30% 가하여 나리싱크림과 밀크로숀을 조제하였다.
        4,000원
        430.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성이며 호알칼리성인 Bacillus sp. TA-11이 생성하는 Invertase의 생합성 조절 기작을 규명하고자 먼저 이들의 유도와 억제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Invertase는 10mM sucrose을 함유한 생합성 조절배지에서 3시간에 효율적으로 유도되었고 glucose는 sucrose에 의한 Invertase 유도를 inducer exclusion방식으로 억제시켰다 cAMP의 첨가로 glucose에 의한 catabolic repression이 다소 줄어들었다.
        4,000원
        431.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귤류 (자몽, 레몬, 금귤, 밀감 및 오렌지)를 착즙하여 얻은 쥬스를 sep-pak C_18 cartridge를 사용하여 ascorbate 및 phenolic 획분으로 분리한 다음 pH를 달리한 in vitro 반응계에서 아질산염 소거 및 N-nitrosodimenthylamine(NDMA) 생성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감귤류 쥬스 ascorbate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5ml 첨가시 pH 2.5 에서 79.9 ~ 98.6%, pH 4.2에서 48.5 ~ 86.3%였으나, pH6.0에서는 35.2% 이하였다. Phenolic 획분은 ascorbate 획분에 비해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특히 pH6.0 에서는 ascorbate 획분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NDMA 생성억제 효과는 phenolic 획분의 첨가시에 월등히 뛰어나 pH 2.5의 반응용액에 금귤, 밀감 및 오렌지쥬스의 phenolic 획분을 첨가했을 때 92.8% 이상이었으나, ascorbate 획분이 첨가된 경우에는 NDMA 생성 억제 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감귤류 쥬스의 NDMA 생성억제와 관련된 주된 인자는 phenol 화합물인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32.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와 젓갈류 중의 NA와 전구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인공타액 및 위액을 혼합하여 in vitro 상에서 소화시킴에 따라 이들 식품의 섭취 후 체내에서 생성될수 있는 NA의 함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질산염은 김치에서 10.7∼24.5 ㎎/㎏, 멸치젓에서 1.5∼5.6 ㎎/㎏, 새우젓에서 1.0∼2.0 ㎎/㎏ 아질산염은 모든 시료에서 평균 0.3 ㎎/㎏이 검출되었다. DMA는 새우젓에서 함량차가 매우 커 30.3∼177.9 ㎎/㎏의 범위였고, TMA는 김치에서 0.6∼0.8 ㎎/㎏, 멸치젓에서 1.9∼2.8 ㎎/㎏, 새우젓에서는 4.4∼21.3 ㎎/㎏으로 정량되었다. NA를 분석한 결과 NDMA가 김치에서 0.8∼6.9 ㎍/㎏, 멸치젓에서 불검출∼1.2 ㎍/㎏, 새우젓에서는 불검출∼0.9 ㎍/㎏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인공소화시킨 후에는 모든 시료에서 약 1.5배 증가하였다. 각 시료에 아질산염을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경우 모든 시료에서 무첨가군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농도에 비례하여 NDMA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새우젓에서는 8 mM의 아질산염 첨가시 NDMA는 183배 증가하여 220.9 ㎍/㎏이 검출되었다. 인공타액에 thiocyanate를 1.6, 3.2, 6.4mM 농도로 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NDMA 생성량은 약 1.5배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경우 NDMA 생성량은 아스코르브산의 농도와 반비례하였고 12.8 mM 첨가시 김치는 92.4%, 멸치젓과 새우젓은 각각 50.0%, 82.46%의 생성 억제 효과가 있었다.
        4,000원
        438.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kim milk에 매실 착즙액을 수준별로 첨가하고 4종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casei)의 젖산균을 단독균주 또는 혼합균주로 접종하여 매실 착즙액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저장성을 조사하였고, 매실 착즙액으로 사용한 매실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였다. 매실의 일반 성분은 조회분 0.4%, 식이섬유 4.1%, 구연산 4.66%, 총당 0.264%, vitamin C 405.34mg%이었고, 매실 착즙액의 첨가는 젖산균의 증식을 촉진시켰으며 산생성도 증가하였다. 실험구 중 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와 Lac. casei의 혼합균주에 3%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실험구가 가장 많은 양의 젖산 (1.23%)을 생성하였고, 가장 높은 생균수 (3.6×10^11 cfu/mL)를 나타내었다. 매실 착즙액 3% 첨가 호상 요구르트를 대조구와 함께 4℃와 20℃에서 30일 동안 저장한 결과, 세 개의 혼합균주 (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 Lac. casei)를 사용한 호상 요구르트가 4℃에서 pH는 4.25, 생균수는 4.1×10^9 cfu/mL이었고, 20℃에서 pH는 3.76, 생균수는 8.7×10^8 cfu/mL으로 대조구인 매실 무첨가 호상 요구르트에 비하여 높은 저장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39.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차 및 매실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 전자 공여능 및 NDMA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질산염과 아민이 풍부한 식단(CW)에 인공타액과 위액을 이용한 "simulated digestion" 에서 확인하였다. 녹차와 매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pH 1.0, 4.2 및 6.0에서 실험 결과, pH가 낮을수록, 시료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pH 1.2에서 녹차 추출물 0.5ml 첨가시킬 경우 99.6%의 높은 소거작용을 나타내었고, 매실 추출물 3ml 첨가시 77.2%의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은 각각 70.6%, 75.1%로 높게 나타났다. 녹차와 매실 추출물의 NDMA 생성억제 효과는 pH 1.2 에서 가장 뛰어났고,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억제효과가 높아 3ml 첨가시에 82.1%와 73.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식이에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NDMA 생성억제 효과는 시료 첨가량에 비례하여 각각 20ml 첨가시 녹차 추출물은 57.9%, 매실 추출물은 48.4%의 NDMA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440.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it should be mentioned that Lipid-LCG can be prepared with the main compound of hydrogenated lecithin in oil-in water emulsion. The results of its physical property and stability are as follows. First, the best suitable compositions of Lipid-LCG are made from 4.0wt% of the hydrogenated lecithin, 4.0wt% of cetostearyl alcohol as emulsifier and gelling agent, 3.0wt% of butylene glycol and 2.0wt% glycerin as moisturizers, 3.0wt% of cyclomethicone, 3.0wt% of isononyl-isononanoate, 3.0wt% of capric/caprylic triglycerides, 3.0wt% of macadamia oil as emollients. Second, As the optimum conditions to form Lipid-LCG, which figured out 6.0 ± 1.0 for pH level, 32kg/mm, min for hardness to make a .essence to be formed the ternary phase of liquid crystal(multi-lamellar type). Third, as the analytical result of this system, it obtained that particle size is 1~8μm level, and is certified with it at 400 and 1,000 magnifications by microscope. The stability of Lipid-LCG is very stable on condition of a low temperature (4℃), a room temperature (25℃) and a high temperature (40℃), which is not to be split in for a long time(for 3-month). We produced our own moisturizing essence, which has a good affinity to skin by means of this system.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