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95

        541.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was developed to detect Salmonella Typhimurium. This assay was based on the lateral flow immunoassay. Two different anti-Salmonella polyclonal antibody (Pab) are used in this strip assay for the double antibody sandwich immunoassay method. The strip sensor was composed of sample pad, conjugation pad, membrane, and absorbent pad. For the optimal conjugation between nano-gold and anti-Salmonella Pab, the pH value of colloidal gold solution was determined to 8.4. To prevent non-specific binding between nano gold and anti-Salmonella Pab, sample pad and membrane was treated with PBS buffer, included 2% BSA and 10% sucrose. The control and detection zones were visually detected according to antigen-antibody binding. The detection limit of the developed strip assay was 105 CFU/mL within 10 min, and improved until 104 CFU/mL after 12 hr.
        4,000원
        544.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정사각 단면을 갖는 덕트 내부에 원심력의 영향을 받는 유동의 천이특성을 실험 및 수치적으로 규명하였다. 실험적 연구로서 레이저도플러 속도계를 이용하여 축방향속도를 측정하였고, 상용소프트웨어인 플루언트를 이용한 전산유체 시뮬레이션으로 천이특성을 고찰하였다. 유동의 발달은 딘수와 굽힘각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덕트의 중앙에서의 속도분포는 원심력 때문에 내외벽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545.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리카 콜로이드 용액의 정유량 한외여과에서 중력 방향에 대한 막모듈의 위치(경사각)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의 막오염 저감효과를 차압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규명하였다. 막표면에 케이크 층을 형성함으로서 막오염을 발생시키는 나노 사이즈의 실리카 입자(평균 크기 = 7, 12, 22, 50 nm 및 78 nm)가 함유된 5가지 종류의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중력 방향에 대한 막모듈의 위치(경사각 = 0˚~180˚)에 따른 차압의 변화를 교반이 없는 dead-end 정유량 한외여과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실리카 입자(7, 12 nm 및 22 nm)가 함유된 콜로이드 용액의 정유량 한외여과에서 막모듈 경사각을 30˚ 이상으로 유지하면 막모듈에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이 발생되어 막오염 형성을 크게 억제시켜 차압의 증가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의 발생은 막표면에 형성된 실리카 케이크층의 벌크용액으로의 역이동(back transport)을 유발시킴으로서 차압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막성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실리카 입자(50 및 78 nm)가 함유된 콜로이드 용액의 정유량 한외여과에서는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 발생의 효과가 거의 없었다. 임계 플럭스 측정 결과 실리카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그리고 막모듈 경사각이 클수록 막모듈에의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의 발생 강도가 커져 막오염 형성이 억제되었으며, 이로 인해 임계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4,000원
        546.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나듐 흐름전지는 오랜 사이클 수명, 높은 에너지효율, 낮은 제조단가 그리고 친환경성으로 인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한 부분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바나듐 흐름전지 시스템의 핵심 부품의 하나로서 이온교환막은 이온이 계속적으로 전달되는 동안 양극과 음극 전해질의 투과를 저해하는 물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Nafion과 같은 이온교환막은 넓은 시장성의 확보를 위한 목표성능의 달성을 위한 몇가지 과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까지 개발된 여러가지 이온교환막에 대하여 Nafion과 비교하여 바나듐 흐름전지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4,900원
        547.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developed and characterized five polymorphic microsatellites of Nilaparvata lugens from hybridization method using biotin enrichment strategy and two polymorphic microsatellites from Next Generation Sequencing. Also 11 microsatellites that developed by Sun et al. (2011) are employed to carry out genetic analysis of N. lugens in Southeast Asia. Th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ranged from 2 to 12 with an average of 4.63 alleles per locus. The mean observed heterozygosity of the eleven populations ranged from 0.031 to 0.938 and the expected hetetrozygosity ranged from 0.031 to 0.881. Signifiant genetic differentiation was detected among the three N. lugens populations as the FST ranged from 0.028 (Cheong Do and Ha Long) to 0.161 (CH and BN). The results of microsatellite marker suggested that found N. lugens migrated to Korea at least two times in different period or once. Genetic distance of N. lugens between Korea and Hi Pong were mostly closed and genetic distance of Ha Long and HCM were relatively closed.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s should facilitate the study of future population genetics of N. lugens, and eventually elucidate the route of N. lugens migration to Korea. Thus, combining satisfactory microsatellite markers and intensive surveillance methods in paddy field could be easy to understand to the N. lugens migration mechanism.
        54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병렬 설비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재방문이 있는 혼합흐름공정의 계획 문제를 다룬다. 재방문작업에서 제품은 몇몇 공정을 여러 번 방문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재공의 혼잡과 장비의 유휴의 원인이 된다. 이 상황에서는 생산성과 고객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혼합흐름공정에서 스루풋을 최대화하고 지연된 고객 수요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선순위 목표계획법 기반의 휴리스틱 방법들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휴리스틱
        4,000원
        549.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지하처분연구시설인 KURT 부지에 가상의 심지층 처분 시설을 가정하고 안전성평 가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하수 유동 자료를 작성하기 위한 지하수 유동 모의가 수행되었다. 연구지역 의 전반적인 지하수 유동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광역 규모의 지하수 유동 모의를 먼저 실시하여 국지 규 모 지하수 유동 모의에서 이용될 경계 조건을 구하고, 현장에서 확인된 단열 자료를 반영하여 국지 규모 에서의 지하수 유동계가 모의되었다. 같은 방식으로 국지 규모에서 지하수 유동에 관한 경계 조건을 뽑아 내어 KURT 부지 규모의 지하수 유동 모의에 이용하였다. 국지 규모의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로 얻어진 지하수위 분포를 통해 입자 추적(particle tracking) 모의를 수행하여 가상의 처분 부지 위치에서 지표로 흐르는 지하수의 유동 경로를 확인하고, 경로의 길이와 지하수의 시간당 유동량(discharge rate)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일련의 지하수 유동 모의 및 입자 추적 모의 방법은 향후 심지층 처분 시설의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작성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5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동시험에서 지지 장치는 모델을 고정하고 원하는 받음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지지 장치가 모델에 작용하는 유동에 간섭효과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이에 대한 평가와 보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급 경항공기 1/5 축소 모델의 전기체와 동체 형상에 적용된 배면스팅-반달형 지지장치의 유동간섭 효과를 더미 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공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풍동실험 결과, 하방 스팅의 유동간섭은 전기체 형상의 경우 양력계수에는 2.8%, 항력계수에는 3.4%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55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라인 게임포탈은 온라인 게임시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시장의 성공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라인 게임포털에서의 대인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플로우와 신뢰, 향후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수집된 163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게임포털에서 사용자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과 사용자와 운영자간의 상호작용은 플로우와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플로우와 신뢰는 향후 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대인적 상호작용과 플로우, 신뢰는 온라인 게임포털의 핵심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4,500원
        55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자유낙하하는 직사각형 해양구조물(800×250×50mm3)의 슬래밍 충격압력 및 유동특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동장의 계측은 2-프레임 그레이레벨 상호상관 PIV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자유낙하하는 모델의 충격압력은 압력계측장비(Dewatron)를 이용하였다. 모델과 자유수면간 이루는 각은 10˚와 20˚를 적용하였다. 속도장은 접수보다 이수에서 빠른 유동특성을 나타냈다. 모델 하부에서 충격압력이 가장 높은 지점인 P2 지점에서 10˚보다 경사각이 큰 20˚에서 약 6 % 상승하였다.
        4,000원
        555.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트랜섬 선미 후류 난류유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Re = 3.5×103 및 Re = 7.0×103에서 2-프레임 그레이레벨 상호상관 PIV기법을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트랜섬 선미의 형상은 선저와 트랜섬이 이루는 각을 기준으로 45˚(모델 A), 90˚(모델 B) 및 135˚(모델 C)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모델의 침수깊이는 40 mm로 자유수면과 접하도록 설치하였다. 난류유동을 평균하여 난류강도, 레이놀즈 응력, 난류운동에너지에 대한 통계적 유동정보를 제공하였다. 난류강도는 자유수면과 모델의 하부 박리유동과의 상호작용으로 강하게 작용하며, 레이놀즈 응력과 난류운동에너지는 모델 C형(Raked transom)에서 낮은 분포가 나타났다.
        4,000원
        556.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남해에서 조류와 취송류, 밀도류 그리고 잔차류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3차원유동모델(POM; Princeton Ocean Model)을 이용하였다. 조석 잔차류의 분포를 보면, 대조기에는 동쪽 방향으로의 흐름이, 소조기에는 서쪽으로의 흐름이 우세하였다. 잔차류는 연안에서 지형의 효과로 인하여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연안역에서의 밀도류는 비교적 약하고 계절적인 차이는 작다. 외해에서는 특별한 유동현상을 주목해야 한다. 즉, 외양역에서의 흐름은 쓰시마 해류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연안역에서의 취송류는 외해역에서 보다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표층의 해류가 저층의 해류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남해안에서의 물질 이동 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557.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d optimize a rapid strip kit for the dual-detection of Aflatoxin B1 (AF) and Ochratoxin A (OTA). The strip kit is composed of sample pad, conjugation pad, nitrocellulose membrane, and absorbent pad. Manually spotted mycotoxin-BSA conjugates and anti-mouse IgG on nitrocellulose membrane were used as the test line and the control line, respectively. Conditions for rapid and easy detection of mycotoxins, conjugation between toxin-MAbs and nano Au particles, pretreatment method of pads, and composition of standards solutions were optimized. Feasibility of the strip kit to detect AF and OTA were evaluated with standard samples. Test results were acquired in 10 min and the detection limits were 100 ppm for AF and OTA, respective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