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4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UPS) in the mandible region is a rare malignant neoplasm. We encountered the case of a patient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eep benign fibrous histiocytoma (DBFH) prior to surgery, but the final biopsy revealed the presence of tumor tissues in the resected margin, which indicated a UPS. Therefore, radiotherapy was conducted post-operatively, but the tumor recurred approximately 3 years later and a second surgery was perform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diagnoses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umor, as it involved both benign and malignant components. DBFH and UPS can occur in young women. DBFH can transform to a malignancy and UPS may also appear as a benign tumor during early biopsy. Henc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and ongoing close observation is required.
        4,000원
        42.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cotine of tobacco component has a controversial impact in the clinical outcome of dental implants. Although numerous nicotine effects on bone healing around implants have been presented, it is rarely reported in vitro study about normal human osteoblast(NHost) from oral and maxillofacial area at the surface of impla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icotine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response of NHost to plasmatic and salivary levels of nicotine reported in smokers at the surface of screw-type plasma-sprayed titanium implants. NHosts were seeded on the surface of titanium implants and cultured for 21 days in α-MEM supplemented with 10% FBS, 50mg/ml ascorbic acid, 5mM β-glycerophosphate and 100nM dexamethasone. Seeded implants were exposed to various nicotine concentration(0.05-0.5mg/ml) from 1 to 21 days, and characterized for cell morphology,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 and ionized calcium concentration(Cai) of medium. Continuous exposure to higher nicotine concentration(above 0.3mg/ml) induced a dose- and time-dependent vacuolation of the cytoplasm, and a tendency to detach from the implant surface. 0.05mg/ml(lower nicotine concentration)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s in the cell proliferation and ALP activity. 0.1-0.2mg/ml caused evident dose-dependent effects in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ALP activity and earlier onset of matrix mineralization at levels up to 0.2mg/ml, while a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 at 0.3-0.5mg/ml. Cai concentration of control group was decreased at 14 days. Increased Cai concentration at 0.1-0.2mg/ml, decreased Cai concentration at 0.3mg/ml and no change at 0.5mg/ml during the culture period were seen. It suggested that nicotine concentration could paly an role in modulating NHost activity as a contributing factor associated wi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Host at the surface of implants.
        4,000원
        43.
        201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와 토양수분에 따른 마늘의 생육, 생리장해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 하였다. 실험은 온도가 6℃ 차이가 나는 온실에서 수행 되었는데, 정식부터 수확까지 외기(A)보다 3℃(A+3℃), 6℃(A+6℃) 고온조건, 토양수분은 적습(OI) 대비 수확기 무렵의 다습(EI)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마늘 생육특성은 온도와 토양수분 조건(0.34m3/m3)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을 보여 고온일수록 그리고 적습 처리구일수록 컸다. 초장은 외기보다 A+6℃-OI 처리구에서 47.4cm로 가장 컸으며, 엽장과 엽폭 역시 외기보다 A+6℃-OI 처리구가 각각 16.1cm, 2.4cm로 가장 컸다. 마늘재배 기간 중 외기보다 3℃, 6℃ 고온조건이 되면 스펀지마늘 발생율이 높아져 A+6℃-OI 처리구는 12.9% 발생하였고, A-EI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인편무게와 1쪽당 무게는 A+6℃ 고온구에서 크게 감소하여 수량이 외기 대비 A+6℃ 처리구는 평균 51%, A+3℃ 처리구는 평균 22% 감소하였다. 따라서, 마늘재배시 외기보다 6℃ 고온조건과 다습조건이 되면 상품수량 감소하고, 생리장해 발생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산 분화의 전조현상 및 일본 화산의 지속적인 활동으로 인하여 화산재 확산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한 위협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국내에서도 화산재해대응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화산재 확산에 대한 확률적 공간 분포 분석이 연구된 바가 있다. 본 논문의 part1이라 할 수 있는 ‘백두산과 아소산 화산재 대기 확산의 확률적 공간 분포 분석’에서는 백두산과 아소산 두 개의 화산에 대하여 FALL3D 수치해석을 수행 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대기 중 화산재 농도 및 퇴적 두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백두산과 아소산 외에도 국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총 5개의 화산에 대하여 해석기간 및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추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4,000원
        4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수집된 285부의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스마트폰 중독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자아분화 수준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질수록 전문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 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대학생들의 자아분화수준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을 개선하고 건강하고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 습관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고자 한다.
        4,600원
        46.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검정하고자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을 평가 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분화억제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되었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결과,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100, 500, 1,000 μg/mL 농 도처리구에서 양성대조군인 orlistat 보다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배양하여 색소 1 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추출물은 모든 처리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 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화된 3T3-L1 지방전구세포 에서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 시킨 대조군은 lipid droplet의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되었으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lipid droplet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time PCR과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PARγ와 C/EBPα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대조군에서는 PPARγ와 C/ EBPα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추출물 처리에 의해 PPARγ와 C/EBPα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pancreatic lipase 활성 및 지방전구 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킴으로써 항비만 활성 기능성 물질 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4,000원
        4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Ligularia stenocephala (L. stenocephala) extract.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55.950 mg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 stenocephala were evaluat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 reducing power test.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approximately 90% and 70%, respectively.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258.833 mg TE/g residue.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L. stenocephala extract was examined in 3T3-L1 cell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3T3-L1 cells were treated both with and without the extract. L. stenocephala extract suppressed the lipid accumul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3T3-L1 cells. The L. stenocephala extrac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 and adipocyte protein 2 (aP2) proteins, compared with control adipocy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stenocephala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n anti-obesity agent.
        4,000원
        4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 화산분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국내 농업시설물의 화산재 취약도를 구축하였다. 이를 구축하기 위하여 화산재 하중 통계치(평균, 표준편차)와 농업시설물 저항성능의 통계치를 통해 신뢰도 지수를 산정하는 FOSM(first-order secondmoment) 기법이 이용되었다. 화산재 하중 통계치는 화산재 확산 시뮬레이션인 FALL3D를 이용하여 백두산, 울릉도, 아소산에 대한 분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산정하였으며, 농업시설물의 저항성능 통계치는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내재해형 비닐하우스의 설계 적설심을 통해 공칭 파괴강도에 기초하여 산정하였다. FOSM 기법으로 평가된 화산재 취약도는 연속적인 화산재 퇴적두께로 인한 파괴확률을 평가하기 위하여 GEV 누적분포함수의 모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농업시설물의 화산재 취약도는 분화 화산별(백두산, 울릉도, 아소산), 지역별(서울, 부산, 대구, 대전), 농업시설물별(07-자동화-01, 08-자동화-01, 10-자동화-01), 화산재 수분함유 상태별(습윤, 건조)로 각기 상이한 파괴확률을 평가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구축된 농업시설물의 화산재 취약도를 비교·분석하여 최대/최소의 파괴확률 범위를 확인하였다.
        4,000원
        4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 식물의 식재 배양토를 선발하기 위하여 호랑가시나무 (Ilex cornuta Lindl.), 무늬산호수(Ardisia pusilla ‘Variegata’),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Sw.) 및 염좌(Crassula portulacea) 를 인공배양토, 하이드로볼, 녹소토, 마사토와 수태에 심어 식물의 생장을 조사하였다. 호랑가시나무의 생존율은 하이드로볼, 수태, 녹소토에서 100%이었으며 초장 및 엽수의 생장율은 수태가 26.7% 와 26.8%, 녹소토는 20.6%와 23.7%로 양호하였으나 마사토는 6.7%와 14.1%로 낮았다. 초장당 엽수는 녹소토가 10.0개, 마사토 는 8.0개 이었으며, T/R율은 녹소토와 수태가 1.0과 1.1이었다. 무늬산호수의 생존율은 모든 배양토에서 100%이었고, 초장 및 엽수의 생장율은 녹소토가 27.3%와 60.8%, 수태가 30.7%와 50.5%로 높았다. 초장당 엽수는 녹소토와 수태가 2.5개와 2.2개이 었다. 석곡의 생존율은 모든 배양토에서 100%이었고, 초장과 엽수의 생장율은 인공배양토가 17.6%와 12.6%, 하이드로볼이 16.0%와 24.6%이었으나 마사토는 8.5%와 7.2%로 낮았다. 초장당 엽수는 하이드로볼이 3.4개로 많고 마사토는 1.9개 적었으며, T/R율은 하이드로볼과 녹소토가 2.5와 2.0이었다. 염좌의 생존율 은 모든 배양토에서 100%를 보였으며, 초장과 엽수의 생장율은 인공배양토가 62.6%와 50.9%, 녹소토가 69.7%와 53.1%로 높았 고, 하이드로볼은 28.0%와 27.7%로 낮았다. 초장당 엽수는 하이 드로볼을 제외한 토양에서 3.0개 이상이었다. 염좌의 T/R율은 수태와 인공배양토가 10.8과 10.7로 높아 지상부가 과도하게 생장하였다. 따라서 호랑가시나무, 무늬산호수, 염좌는 수태 및 녹소토에, 석곡은 녹소토 및 하이드로볼에 식재하여 수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00원
        5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racteristics of induced pluripotent stem (iPS) cell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embryonic stem (ES) cells. However, exogenous genes integrated by using retrovirus delivery systems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ells. In a recent report, activation-induced cytosine deaminase (AID) and thymine DNA glycosylase (TDG) can induce pluripotency state in mouse differentiated cells through the process of DNA demethylation. Thus, we hypothesized that the two reprogramming factors may convert efficiently bovine differentiated cells into pluripotency state. So, genes of AID and TDG were integrated into pCMV6-AC-IRES-GFP-Puro expression vector, which was transfected into bovine differentiated cells. As results, the colonies derived from AID+TDG-induced bovine cells were formed on day 7 after culture. The number of AP positively colonies in AID+TDG-induced bovine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ID-induced bovine cells (p<0.05). Additionally, expression of pluripotent genes (OCT-3/4, NANOG, SOX2) was slightly increased in AID+TDG-induced bovine cells, as compared to AID-induced bovine cells. Protein expressions of OCT-3/4, NANOG and SOX2 in AID+TDG-induced bovine cells were slightly increased rather than AID-induced bovine cells. Finally, DNA demethylation in the promoter regions of pluripotent markers in AID+TDG-induced bovine cells was increased than that of AID-induced bovine cells. In conclusion, pluripotent stem cells could be efficiently produced from bovine differentiated cells by using non-integrating delivery system with the reprogramming factors (AID and TDG).
        5,200원
        51.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is a major catechin found in green tea. It is reported that EGCG possesses various health benefits including anti-cancer, antioxidant, anti-diabetes, and anti-obes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CG on adipogenesis via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GCG on adipogenesis,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duc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GCG (0~100 μM) for a period of 6 days. EGCG significantly inhibited fat accumulation and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specific protein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Also, EGCG markedly increased the activation of AMPK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owever, any pretreatment with a specific AMPK inhibitor, compound C, abolishe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EGCG on PPARγ expr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GCG has anti-adipogenic effects through modulation of the AMPK signaling pathway and therefore, may be a promising antiobesity agent.
        4,000원
        52.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isphosphonate on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human dental stem cells (hDPSCs). In the first experiment, we evaluated the effect of bisphosphonate on the differentiation of hDPSCs into osteoblasts by alkaline phosphatase staining after culturing hDPSCs. As a result, on day 13, the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DPSC was suppressed at 5 μM in clodronate and 2 μM in zolendronate. In NBP, osteogenic differentiation is more suppressed. In second experiment, cytotoxicity and proliferation test, the cell proliferation (examined by MTT assay) was more suppressed as the concentrations of zolendronate were larger than those of alendronate and clodronate. Western blotting, a third experiment, was found that AKT phosphorylation was inhibited in cell signaling proteins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and death by bisphosphonate concentration. In human dental stem cells, bisphosphonates inhibit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this phenomenon is clearly observed in NBPs (zolendronate), and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related to AKT phosphorylation of cell signaling proteins.
        4,000원
        5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gain insights into the role of purinergic receptors in human dental pulp cells (hDPCs) differentiation, we characterized the expression and functional activity of P2Y1 recepto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P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is pulp stem-like cell population. Our data showed that ADP did not induce cell proliferation to expose the various ADP concentrations for 72 hours, but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hDPCs was inhibited at higher ATP concentrations (100 μM). Using RT-PCR analysis, we found that ADP induced several P2Y receptors including P2Y1 as well as odontoblastic differentiation genes,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and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ffects of ADP on the expression of DMP-1 and DSPP mRNA were prevented by the P2Y1 antagonist MRS2179. The extracellular matrix calcium deposits were clearly observed in ADP-treated hDPCs by alizarin red S staining. Quantitative measurement of mineralization induced by ADP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MRS2179-treated hDPCs. These results may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molecular regulation of the differentiation of hDPCs.
        4,000원
        5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of Ilex cornuta Lindl. & Paxton, Cotoneaster dammeri, Ardisia pusilla ‘Variegata’, and Ilex aquifolium 'Silver Queen' when sphagnum moss was used for media, and the pottery plants were submitted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shade levels. After transplantation to pottery pots with Sphagnum Moss, the growth of I. aquifolium 'Silver Queen' at 25℃ of soil was the highest with 16.8 cm in plant height, 75.0 in leaf number, 256.5 cm2 in leaf area, 18.9 g in fresh weight. I. cornuta Lindl. & Paxton and A. pusilla ‘Variegata’ were in the same range but soil temperatures of 15℃, 20℃, or 30℃ had no effect and the survival rate remained 100%. On the other hand, when I. aquifolium ‘Silver Queen’ was submitted to night temperatures of 4℃, 8℃, 12℃, or 1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4.1 cm in plant height, 70.0 in number of leaf, 221.1 cm2 in leaf area, and 18.9 g in fresh weight at 15℃; C. dammeri showed similar results. The survival rate at night temperature 4℃ or 8℃ was 100%, but the plant growth was sluggish. In shading 30% or 60%, the fresh weight of I. aquifolium ‘Silver Queen’, I. cornuta Lindl. & Paxton, and A. pusilla ‘Variegata’ was increased at shading 60% as the plants became taller. Non shading increased the leaf number and leaf area of plants compared with shading. In conclusion, the quality of small woody plants in pottery can be improved when the plant is grown before shipping at a soil temperature of 25°C and a greenhouse night temperature of 15°C, at 30% shading after acclimation
        4,000원
        5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of Ilex cornuta Lindl. & Paxton, Cotoneaster dammeri, Ardisia pusilla ‘Variegata’, and Ilex aquifolium ‘Silver Queen’ when sphagnum moss was used for purpose of export and the pottery plants were submitted to different watering and quick versus slow release fertilizer. The growth of I. aquifolium 'Silver Queen' watered 50 mL every 3 days was the highest with 16.0 cm in plant height, 79.3 in leaf number, 178.2 cm2 in leaf area, and 18.5 g in fresh weight. C. dammeri also grew best when watered every 3 days. However, the survival rate was 100% for I. aquifolium 'Silver Queen' watered at 12-day intervals and C. dammeri watered at 6-day intervals or more. With quick release fertilizer of 1,000 – 2,000 mg·L-1 applied at 1- to 4-week intervals, I. aquifolium 'Silver Queen' and C. dammeri, plant height, number of leaf, leaf area, and fresh weight increased as fertilizing intervals were shorter. During the short quick release fertilizing at 4-week intervals, the survival rate remained 100%. With slow release fertilizer of 0.5 mg, 1 mg, or 2 mg applied at intervals of 6, 12, and 18 weeks, I. cornuta Lindl. & Paxton and A. pusilla ‘Variegata’ plant height, number of leaf, leaf area, and fresh weight increased with increase of fertilizer amounts and shorter intervals of fertilizing. However, concentration of fertilizer had no effect on plant growth. During the short slow release fertilizing at 18-week intervals, the survival rate remained 100%. Theref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small woody plants in the pottery aimed for export, it is preferable to water at intervals of 3 days after acclimation, and use either quick release fertilizer at 3-week intervals or slow release fertilizer at 12-week intervals.
        4,000원
        5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노화와 재해 등으로 인한 인간의 치명적인 간 부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의 한 축으로 교차분화 기법을 적용한 induced hepatocyte (iHep)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분화효율은 극히 낮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섬유아세포에 교차분화기법을 사용하여 piHep을 만들고, 소분자 화합물(A83-01)의 첨가에 따른 교차분화의 효율개선을 시도 하 였다. piHep의 유도를 위해서 세가지 간 전사 인자를 [human hepatocyte nuclear factor 1 alpha (hHNF1A), human hepatocyte nuclear factor 4 alpha (hHNF4A), human forkhead box protein A3 (hFOXA3)]를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체세포에 도입하였다. 3가지 유전자가 도입된 세포는 기본 배양액으로 hepatocyte induction medium (HIM)을 사용하였고, 여기에 A83-01을 첨가군과 미 첨가군(대조군)으로 나누어 교차분화를 유도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서 4주 후에 불완전한 간세포의 형태가 낮은 빈도로 나타났지 만, A83-01 처리군은 도입 2주 후부터 epithelial-like cell의 형성을 통해 점점 다핵을 가 지는 성숙한 piHep(명확한 핵, 다각형의 세포질)의 특성이 확인되었다. 간세포로의 기능 적 분화를 검증하기 위해 albumin (ALB)과 transferrin (TF)의 mRNA의 발현을 real-time PCR을 통해 분석하였다. A83-01 처리군에서 ALB와 TF의 발현이 교차분화 4 주차까지 증가되었다. 섬유아세포 표지 인자인 vimentin의 발현은 A83-01의 처리와 상관 없이 모두 감소되었다. 대조군과 달리 A83-01처리군은 piHep의 유도를 위해 사용된 3가 지 간 전사인자들 중 HNF4Α와 FOXA3에서 교차분화 후 4주차까지 endogenic expression 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간세포 교차 분화의 효율 개선을 위해 사용된 A83-01은 돼지 섬 유아세포의 내재된 간 특이적 전사 인자들을 활성화시켜 간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지에 따른 국화 두 품종의 발근과 정식 후 생 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스트가 5분마다 200초씩 분무되고 차광된 유리온실 벤치에서 국화 ‘Gaya Wine’과 ‘Gaya Yellow’ 삽수를 암면큐브, phenolic foam LC, phenolic foam RC, 토실이상토에 삽목하였다. 삽목 21일 후 재배실험 을 위해 발근된 삽목묘의 절반을 상업용 배지가 채워진 화분 에 정식하였다. 발근율은 두 품종 모두 모든 배지에서 100%였다. 최대근장은 ‘Gaya Wine’이 토실이상토에서 6.0cm였으며 ‘Gaya Yellow’는 phenolic foam RC에서 6.3cm였다. 발근수는 두 품종 모두 다른 처리에 비해 토실이상토에서 가장 많았다. 발근단계에서는 ‘Gaya Wine’의 경우 토실이상토에서 가장 생 육이 좋았으나, ‘Gaya Yellow’는 처리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재배단계에서 두 품종 모두 phenolic foam 배지에서 토실이 상토에 비해 초장이 감소하거나 비슷하였고 생장량이 다소 감 소하였다. 또한 재배단계에서 화수는 두 품종 모두 토실이상 토에서 가장 많았으나, 암면과 phenolic foam RC에서는 유사 하였다. 따라서 새로 개발된 phenolic foam RC배지는 국화의 번식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암면큐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58.
        201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의 파골세포양 거대세포 미분화 암종은 그 발생 빈도는 드물지만 높은 악성도를 가지는 외분비 췌장암이다. 췌장 의 파골세포양 거대세포 미분화 암종은, 복부 전산화단층촬 영에서 괴사와 출혈을 동반한 낭성 및 고형 종괴의 소견을 보이며, 다른 췌장의 낭성 종양과 감별이 필요하다. 현재까 지 명확하게 정립된 치료법은 없으며, 조기 진단 및 종양의 완전 절제만이 생존률 향상을 가져온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58세 남성 환자에서 발생한 췌장의 파골세포양 거대 세포 미분화 암종이 수술 및 항암치료에도 불구하고 연조직 전이로 진행하여 사망한 1예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59.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economical meaning and problems on the industrial differentiation of Korean laver industry.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e export value of korean laver has increased over 28 times for last 20 years($10 million to $300 million) and the separation of farming and processing was an important success factor of rapid growth of korean laver industry. However,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at the farming profit is 534.1 won out of the total price for a bunch of dried laver, 3,566.3 won. So, farming profit counts for just 15 percent of total price. In contrast, the processing profit is 1,143.5 won and it is 32.1 percent of total price. This means that laver farmers are not being guaranteed their profit properly. This phenomenon is occurred due to lower status of first-hand processors(which produce dried laver) to second-hand processors(which produce seasoned laver) due to advanced payment given by second-hand processors. So, fist-hand processors should provide their product in the price which was designated by second-hand processors. Besides, despite of many business risks caused from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arket price of raw laver has steadily decreased. For sustainable prosperity of korean laver industry, imbalance on korean laver industry concerning profit sharing is need to be changed. In future, self-processing of dried laver in fishery household and enhancing the role of The Fisheries Cooperative Union in laver industry can be considered.
        4,800원
        60.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인근 화산분화에 의한 대기질 Worst-case 시나리오 선정을 위해 HYSPLIT을 이용하여 공기괴 이동을 분석하였다. 백두산, 아소산 및 다루마에산에서의 분화를 가정하여 3시간 간격으로 91일 간 (2010년 4월 1일 - 6월 30일) 공기괴(air parcel) 전진궤적 (forward-trajectory)을 생성하였다. 생성궤적에 대해 군집분석, GIS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각 화산의 분화사례일을 대기질 측면의 중요도로서 평가하여 다섯 단계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사례일 중 대기질 측면에서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분화사례일 (class A)은 백두산 5월 13일, 6월 2일, 6월 22일, 아소산 4월 9일, 6월 13일, 6월 17일, 6월 24일, 다루마에산 5월 29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나리오 선정에 있어 모사기간 및 도메인 설정에 고려할 수 있는 한국상공 진입 공기괴 궤적의 시공간적 분포 및 이동 패턴 분석결과를 분석대상 화산별로 제시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