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

        4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 및 수확 후 고품질 유지에 효과 있는 전처리를 선별한 후 일본으로 수출되는 절 화 장미의 잿빛곰팡이 방제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일본으로 수출 시 건식처리에 비해 습식 처리의 절화수명이 최소 5일 이상 연장되었으며, 이 중 ClO2 성분인 Vital Oxide 0.002mL·L-1 처리시 건식처리에 비해 절화수명 이 약 11.5일 연장되어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처리 에 따른 잿빛곰팡이의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수확 및 전 처리 후 6일까지 ClO2 성분인 Vital Oxide, Vibrex 처리에서 발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절화 장미의 수출 시 수출국 경 매장 및 판매처에서 잿빛곰팡이의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Vital Oxide 0.002mL·L-1 처리가 절화 장 미의 절화 수명 및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전처리인 것으로 판 단되었다.
        4,000원
        4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nus Berry’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11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6년도에 ‘Boy Friend’ 와 ‘GSR10314’ 를 교배하여 2007년도에 실 생을 양성하였다. 종자친으로 사용된 ‘Boy Friend’는 화 색이 보라색(RHS Color Chart Purple Group 76B)이며 개화소요일수는 45일이다. 화분친으로 사용된 ‘GSR10314’ 은 화색이 흐린 분홍색(RHS Color Chart Red Group 52C)이며 절화수명이 13일이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절화 특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하여 최종 적으로 선발하여 명명하였다. 중형 스탠다드 형태의 꽃으 로서 화색은 연한 분홍색(RHS Color Chart Red Purple Group 69C)이다. 잎의 흰가루병 발생 정도는 적었다. 줄 기 10cm에 1.8개의 가시가 있으며 개화소요일수는 45일 이었으며 년간 절화수량은 194.1본/m2 이었다. 절화장 은 65.5cm이고 절화중은 36.8g이었다. 화폭 10.2cm, 화 고 4.3cm, 꽃잎수 43.6매이었으며 절화수명은 12일이었다. ‘Venus Berry’ 품종은 2013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권등 록(품종보호 제4447) 되었다.
        4,000원
        4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국산 스프레이 장미의 정식 후 1차 절곡시기와 2차 절곡방법이 절화품질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심 후 절곡시기까지의 경과일수가 길어질수록 주당 엽수, 줄기수, 줄기 굵기 및 1차 측지수가 증가되었다. 특히 ‘White Zen’, ‘Glory Purple’ 및‘Live Pink’는 적심 25일 이후에 충분한 엽수가 확보되었다. 품종별 개화는 절곡시기가 늦어질수록 빨라졌고, 절화장, 마디수와 7매엽은 시험품종 모두 절곡시기가 늦어질수록 우수해지는 경향이었다. 1차 절곡 후 발생한 줄기수는 절곡시기가 늦어질수록 많았으나, 상품 줄기수와수출 가능한 줄기수는 적뢰 25-35일 후 절곡처리에서 대체로 높았다. 2차 절곡방법에 따른 절화장, 소화수 및 줄기 굵기 등의 절화품질은 1차 절곡 후 발생한 줄기 중상품성 있는 줄기 1본을 수확하고 나머지를 절곡한 처리(T2)가 모두 절곡한 처리(T3, T4)보다 우수하거나 유사하였고, 상품성 있는 줄기를 모두 수확하고 비상품 줄기만 절곡한 처리(T1)에서 저조하였다. 상품성 줄기와 수출 가능한 줄기수는 T1 처리가 낮았고 나머지 처리는 유사하였으며, 1차 절곡 후 발생한 상품성 있는 줄기 1본을수확하는 T2 처리가 적절한 2차 절곡방법이라고 생각된다.
        4,000원
        4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장미 수경재배시 채화 높이가 절화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스프레이 절화장미 ‘옐로킹’을 모델작물로 이용하여 2011년 4월 정식하여 11월까지 4회의 수확을 통해 확인하였다. 단위면적당 절화수량(본/m2)은 채화 높이가 높아질수록 많았고 반대로 절화중과 상품률은 떨어졌는데 0과 1cm 높이는 수량과 품질면에 있어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절화중과 상품률도 0과 1cm 높이에서 수확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cm 이상 채화 높이가 높았을 경우 10g 정도로 0과 1cm 높이 수확보다 떨어졌다. 상품수량은 0이나 3cm 높이 수확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5cm 높이 수확 시에는 65.1본/m2으로 다른 처리에 비해 현저히 떨어져 5cm 이상으로 채화 높이를 높이는 것은 상품생산에 적절치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식물체에서 발생하는 직경이 다른 신초를 일제히 같은 높이에서 수확한 결과 새로 발생하는 신초의 직경은 채화모지 직경에 비례하였다(Table 3). 채화모지 직경이 5mm 이하인 가지는 기부에서 수확을 한다 하더라도 상품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특히 블라인드지 발생률이 높았는데 이러한 경향은 채화 높이가 높을수록 더 심해졌다. 결론적으로 절화장미는 기부로부터 3cm 높이 이내의 높이에서 수확하는 것이 적절하고 이 때 직경이 5mm 이하인 가는 가지는 발생위치에 따라서는 수확하는 것보다 적심을 통해 측지를 발생시킨 다음 절곡하여 엽면적 확보에 이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절화장미의 생산에 있어서, 겨울철 부족한 광량과 저온은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에 일몰 후 고압나트륨등을 보광하여 생산량을 증가하고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절화장미 ‘챠밍블랙’, ‘핑키걸’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400W의 고압나트룸등을 이용해 35µmol•m−2•s−1의 광을 일몰 후 18시부터 4시간, 8시간, 12시간을 보광하였다. 고압나트륨등을 보광 하였을 때 온실내의 온도는 2~4oC가 상승하였고, 습도는 15~20%가 하락하였다. 고압나트륨 보광에 의한 온도의 상승과 습도의 하락은 절화장미 재배에서 노균병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보광시간이 길어질수록 절화장미의 노균병 발생율이 감소하였다. ‘챠밍블랙’은 8시간 이상의 보광처리구에서, ‘핑키걸’은 12시간보광 시 노균병이 100% 억제되었다. 절화장미에서 일몰후 보광시간이 길어질수록 블라인드의 발생률은 감소하였으나 생산량은 8시간 보광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가장많았다. 절화장미의 절화장은 보광을 실시하였을 때 길어졌으며, 보광시간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000원
        4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스프레이 장미의 수출 상품성 향상과 농가보급 확대를 위하여 정아 제거시기(정아 직경, 3, 5,7mm) 및 묘종(접목묘와 삽목묘)에 따른 절화품질과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적뢰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장미의본당 분화된 소화수와 수출 상품률은 ‘매직스칼렛’과 ‘옐로킹’의 경우 정아 직경이 5mm와 7mm시에 적뢰 처리구에서 우수하였으나, ‘모닝샤인’과 ‘리틀썬’은 적뢰시기간 차이가 없었다. 묘종에 따른 품종별 절화장은 ‘매직스칼렛’, ‘핑키’, ‘러블리핑크’ 및 ‘리틀썬’ 모두 삽목묘가접목묘보다 길었고, 줄기 굵기, 꽃목 길이와 굵기, 마디수 및 7매 소엽수는 접목묘가 삽목묘다 더 우수하였다.본당 소화수, 꽃잎수, 주당 발생 줄기수 및 수출 가능한상품 줄기수 역시 시험품종 모두 삽목묘보다 접목묘가 우수하였다.
        4,000원
        4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농업기술원 구미화훼시험장에서 육성한 장미 ‘Hanaro Pink’ 는 분홍색의 ‘Noblesse’를 모본, 황색의 ‘Sahara’를 부본으로 2002년에 인공교배 한 후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간 특성검 정을 하여 2008년에 최종 선발되어 ‘Hanaro Pink’로 명명하였다. 분홍색 스탠다드 절화장미 ‘Hanaro Pink’는 화형이 고심형이고 가 시가 거의 없으며 연간 절화수량이 122.7본/m2이며, 절화장 64.0cm, 꽃직경 10.6cm, 줄기직경 6.3mm, 절화수명 13.7일이며 특히, 개화지 중간부의 가시가 아주 적어 취급이 용이하였다.
        3,000원
        4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장미의 수송 중에 문제가 되고 있는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SO2가 발생하는 sodium metabisulfite(SMS) 2.5g/m3, 5.0g/m3, 7.5g/m3을 저장온도(상온: 24-28οC, 저온: 9- 12οC, 변온: 저온저장하면서 하루 2시간씩 상온에 노출)와 포장방법 (폴리에틸렌 비닐로 포장한 박스, 폴리에틸렌 비닐을 포장하지 않은 박스) 달리하여 상자의 상단부에 처리하였다. 저장온도에 의한 잿빛 곰팡이병의 발생률은 상온에서 가장 높았고, 변온, 저온 순으로 낮 아졌다. 수출용 상자를 밀폐하였을 때 잿빛곰팡이병의 발생률이 높았 고 발현시기도 1-2일 빨랐다. SMS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상자 내 부의 SO2 농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잿빛곰팡이병의 발생률이 감소하 였다. 특히 7.5g/m3 SMS 처리시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은 무처리에 비해 20% 정도가 억제되었다. SMS 처리는 포장방법별, 온도별 처리 모두에서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상온과 변 온에서 포장상자를 밀폐한 처리구에서 효과가 높았다. 이는 수송 중 온도 변화가 심한 하절기나 수송 중 컨테이너 중앙에서 공기의 이 동이 원활하지 않은 포장상자의 잿빛곰팡이병 발생억제에 효과가 높 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9.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육성 장미 2품종 ‘Propose’, ‘Beast’, 국외육성 장미 4품종 ‘Revue’, ‘Ocean Song’, ‘Iguana’, ‘Legato’를 대상으로 시설재배 시 발생하는 꽃목굽음 현상의 형태적 양상을 조사하였다. 꽃목굽음지는 모든 품종에서 특정 꽃받침조각이 나머지 4개의 꽃받침조각의 위치에서 이탈되어 형성되었다. 이때 이탈한 꽃받침조각은 엽상화되었고 꽃목은 같은 방향으로 굽었다. 꽃목굽음 각도와 엽상화 형태는 품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BPP에서 꽃목 조직은 좌우 비대칭적으로 발달했으며, 세포 신장의 불균형과 함께 대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화기 구조에서 특히 자방의 길이는 BPP와 유의적으로 음의 상관관계(r = -0.8*)를 나타냈다. 화기길이에 대한 자방 길이의 비율이 15% 이상일 때 꽃목굽음률이 5% 이하로 낮게 유지되었다.
        4,000원
        5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절화용 장미 시설재배 시 BPP 발생 빈도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절화 장미 6품종 ‘Propose’, ‘Beast’, ‘Revue’, ‘Ocean Song’, ‘Iguana’, ‘Legato’를 대 상으로 하였으며, 재배시설의 광과 기온을 2012년 연중 조사하 였다. 그 결과, 일평균기온은 겨울철(1, 2월)보다 여름철(7, 8월) 에 5oC 증가하였으며, 일누적광량은 봄철(3, 4월)에 가장 높았 다(11,704mol·m-2·d-1 PPFD). BPP 발생 빈도는 품종간 차이 (2-20%)는 있었으나, 6월까지 다소 낮게 유지되다가 일평균기온 이 증가하는 여름철에 최대 10-15%까지 급증하고, 9월 이후 다시 감소하는 계절적 양상은 유사하였다. ‘Revue’ 품종을 제외 한 나머지 5품종에서 BPP 발생 빈도는 일평균기온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r = 0.7-0.9**)를 나타냈다.
        3,000원
        51.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새로운 색상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백색 장미 데니스(R. hybrida'Denice')를 사용하여 무지개 색상의 장미를 만들고자 하였다. 온도가 높을수록 염색 시간은 빨랐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절화의 개화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4시간 이상에서는꽃잎의 끝이 너무 진하게 염색되거나 건조되는 현상이나타났다. 7.5g·L-1보다 11g·L-1이상의 염료농도에서 염색되는 속도가 빨랐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개화정도는 완전봉오리에서 시각적으로는 빨리 염색이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속 꽃잎까지 흡수되는 시간은 3처리모두 유사하였다. 그러나 상품가치 면에서는 바깥꽃잎이3~4장 정도 개화했을 때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단색 실험의 결과에서 가장 적합한 조건 즉, 20℃염료 용액에 3시간 침지, 화경장 30cm, 11g·L-1의 염료 농도, 바깥꽃잎이 3~4장 개화한 ‘Denice’ 장미에 Hot Pink, True Blue,Yellow 3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염료를 물올림 한 결과,6가지 색상을 지닌 무지개색의 장미를 착색, 발현시킬 수있었다.
        4,000원
        5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 수경재배시 적절한 엽면적확보와 상품생산에 미치는 절곡 지 굵기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처 리별 절곡지 생장특성과 절화수량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상품생 산을 위해 굵은 가지를 절곡할수록 절곡지 생체중과 절곡각도가 커진 반면 잎의 량은 6~8mm 굵기의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 엽 면적지수가 3.5로 가장 높았고,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오히려 2.7로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상품수량은 엽면적 지수와 같은 경향을 보였고, 상품률과 절화중, 절화직경은 절곡지 굵기에 비례하였다. 절화 길이와 꽃의 볼륨감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상품성이 좋았던 등급은 절화 길이가 60~80cm였고, 80cm 이상 지나치게 굵은 가지는 줄기와 잎에 비해 꽃의 볼륨 감이 떨어져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은 이상적인 절 화 생산비율이 6~8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63.4%로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보다 8%가 높았고, 한편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굵은 절화 비율은 9~11mm인 가지를 절곡하 였을때 28.8%로 6~8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보다 10% 높았다. 지나치게 굵은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절곡지 엽면적 감소와 지나치게 굵은 가지의 발생으로 인해 절화수량이 감소하 였다. 절곡후 잎과 상품수량 확보를 위해서는 줄기 굵기가 6~8mm 두께의 가지를 절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5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물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절화장미 수경재배시 유묘기 급액농도가 장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0.6, 1.0, 1.4, 1.8dS·m-1로 다른 농도로 공급하였다. 배지 추출액의 EC와 무기이온은 정식 22일까지는 높은 농도로 양액을 공급하여도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후 급액농도가 높을수록 빠른 속도로 배지내 양분농도도 높아졌다. 신초의 발생량은 정식후 30일째에 해당하는 2차 신장기에는 1.8dS·m-1로 급액한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3차와 4차에는 0.6dS·m-1 처리구를 제외하고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급액농도가 높을수록 신초의 발생량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장미 유묘기(수체형성기간 약 6개월 정도)의 급액농도는 기존의 무기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에서는 3~4월에 정식한 이후 고온기로 갈수록 급액농도 점진적으로 낮추어 1.0dS·m-1 내외로 낮게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에서는 코이어 배지가 양분을 흡착하기 때문에 정식 후 약 3개월은 EC 1.8dS·m-1로, 이후에는 약 3개월은 1.4dS·m-1 정도로 관행적인 농도보다 높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5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염료가 절화 장미 ‘Akito’ 품종의 염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2가지 색상의 염료를 이용한 염색 결과, 다채로운 색상을 구현해 내고 관상 가치를 높일 수 있었지만 절화수명은 대조구보다 1-3일 단축되었다. 4종류의 blue 염색염료를 비교한 결과 Fantasy blue (Palace Chemical Co., Japan)와 Blue No.1(Vidhi Dyestuff Mfg LTD, India)의 색상이 좋았다. 고농도 (7.5g •L-1와 10.0g •L-1)의 blue 염색의 경우 잎의 착 색이 심하고 불균일 하였으며 꽃잎의 가장자리가 짙어 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4,000원
        5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육성 스프레이 장미 품종의 농가 보급 확대와 수출 상품성 향상을 위해 PE 비닐하우스와 유리온실, 두 재배시설 환경관리에 따른 절화품질 및 절화 생산 성을 조사하였다. 재배시설에 따른 기상환경을 조사한 결과, 시간당 적산 일사량, 최고온도 및 습도, 변이(최 고값-최저값) 정도가 유리온실보다 PE 비닐하우스에서 높았다. 절화장은 시험품종 모두 유리온실에서 컸고, 줄 기 굵기와 소화수는 품종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대 체로 PE 비닐하우스에서 우수하였으며, 분화된 총 분 지수와 수출 상품량은 적산 일사량이 높은 PE 비닐하 우스에서 많았다. 한편 흰가루병, 노균병, 잿빛곰팡이병 은 대기습도가 높게 관리되었던 PE 비닐하우스에서 발 생이 많았다. 따라서 스프레이 장미 수출 상품성 향상 을 위해서는 품종 특성 발현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일사량, 대기온도 및 습도 등 재배환경 관리가 무엇보 다도 중요하였다.
        4,000원
        5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의 노화를 지연시킨다고 알려져 있는 사이토키 닌을 정식시 접삽묘에 처리하여 국내 육성 스프레이 절화장미 ‘New Man’과 ‘New Lady’의 이후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 다. 발근한 장미 접삽묘에 무처리(대조구), kinetin 10 mg·L-1 또는 BA 50 mg·L-1를 엽면살포(신초처리 ) 또는 관주(뿌리처리) 처리한 후, 암면 슬래브에 즉시 (0일) 또는 처리 7일 후(7일)에 정식하여 이후의 생장 을 비교하였다. ‘New Man’의 정식 후 초기 신초장은 kinetin 또는 BA를 엽면살포 또는 관주 처리하여 0 또는 7일 후 정식했을 때 무처리에 비해 약간 촉진되 었으나 ‘New Lady’의 경우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토키닌을 엽면살포 또는 관주 처리 하여도 두 품종 모두의 최초 3회 수확시까지의 절화 수량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무처리 0일 정식구는 무 처리 7일 정식구의 식물에 비해 최초 3회 수확시까지 의 절화 수량이 우수하였다. 이와 같이 발근한 접삽묘 의 정식시 사이토키닌을 지상부나 뿌리에 처리하여도 이후의 수량성에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New Man’과 ‘New Lady’의 접삽묘에는 사이토키닌을 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이다. 또한 발근한 접삽묘의 뿌리가 노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빨리 발근 된 식물을 정식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4,000원
        5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삽지각도, sucrose 전처리 시간 그리고 sucrose 농도가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Sucrose soaking 처리시 sucrose 농도는 0.5, 1 및 2% 그리고 sucrose pulsing 처리시 sucrose 농도는 0, 1, 2, 및 4%를 이용하였다. Sucrose pulsing처리는 2 hrs 및 20 hrs 전처리 한 다음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관에 100 mL씩 각각의 보존용액을 채 운 후 삽지각도는 수평(0o), 수직(90o) 그리고 중간정도 (45o)를 유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Sucrose soaking 처리시 sucrose 농도와 각도에 따라서 꽃잎의 개화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아 절화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sucrose 농도를 높게 하고 각도를 수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sucrose pulsing 2hrs 및 20 hrs 전처리 후, 삽지각도 45o 처리구에서는 개화가 지연되고 색상의 유지가 양호하였으나 90o 처 리구에서는 조사 시작일 부터 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색상도 빠르게 변색이 진행되므로 절화수명연장의 측 면에서 삽지각도 90o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 된다.
        4,000원
        59.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병의 재질과 절화보존제 처리 여부가 절화의 화색, 엽색, 그리고 화경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절화 장미 (Rosa hybrida) ‘Aqua’와 ‘Corvernet’ 및 거베라 (Gebera jamesonii) ‘Honeymoon’과 ‘Golden Time’을 수돗물 또는 절화보존제 용액이 들어있는 유리, 자기 및 옹 기 화병에 꽂고 화색, 엽색, 최대화경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 8일 후 화색에 있어서 장미 ‘Aqua’의 ΔE값은 옹기와 자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작게 나타났다. 장미 ‘Covernet’은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ΔE값이 가장 작았고, L값도 처리 직전의 꽃잎 (대조구)과 가장 근접하였다. 거베라 ‘Honeymoon’의 경우 절화보존제 처리와 옹기화병에 의해 ΔE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a와 b값도 58.81, 34.29로 대조구와 가장 유사하였기 때문에 옹기화병에 꽂은 절화의 화색이 처리 직전의 화색과 유사하였다. 거베라 ‘Golden Time’의 ΔE값은 옹기화병이 자기나 유리화병보다 크게 작았는데, a값은 옹 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7.81로 가장 근접하였고, b값 역시 옹기화병에서 높게 나타났다. 장미의 엽 색에 있어서는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L, a, b값이 처리 직전의 잎과 가까웠고 ΔE값은 옹기화병에 서 3.25로 나타나 자기나 유리에 비해 작았다. 화경은 장미 ‘Covernet’과 거베라 ‘Golden Time’ 모두 옹 기의 보존제 처리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존용액에 절화보존제를 첨가함으로써 미생물 번 식을 감소시켜 절화수명이 연장되어 장미와 거베라의 품질 및 신선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다공질의 옹 기 화병을 사용하여 통기성을 증가시키면 화색과 엽색을 좀 더 좋게 하고, 화경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4,000원
        6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장미의 새로운 수경재배 방식으로 용기재배를 제시하기 위하여 배수구의 높이와 적정 배지를 설정하는 두가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용기재배 시 적정한 배수구 높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규격이 30×30×25cm인 사각용기에 배수구를 0, 3, 6, 9cm 높이로 처리하였을 때 수량은 3cm 배수구 처리가 많았으나 절화품질은 처리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정식후 생존율은 각각 100, 100, 92, 92%였다. 배수구 높이와 배지조성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배수구 높아가 0, 3cm인 용기에 배지을 코이어와 펄라이트 단용 및 혼용하여 7가지 배지를 조성하였다. 수분센서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이 -5kPa에 도달했을 때 급액을 했을 때 코이어 혼합비율이 높은 배지와 3cm 배수구 높이 처리가 급액횟수가 감소하였다. 화중을 제외한 절화의 상품성과 2차 수확까지의 절화 수량은 배수구의 높이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 3차 수확이후의 수량은 3cm 배수구 처리가 많았다. 배지별로는 코이어의 혼합 비율이 높은 처리에서 수량과 상품성이 우수하였다. 수량은 배수구를 높인 처리구가 절화품질과 수량이 많았으며,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높은 배지에서 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