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내 주요 해안지역인 화북, 삼양, 대포, 중문, 표선, 안덕, 애월, 곽지에서 생산되는 해수, 갯벌, 해산물 등에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V. parahaemolyticus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가검물은 총 2,880건으로 각각 해수 960건, 갯벌 960건, 해산물 960건이었으며, 분리된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생화학적, 혈청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가검물 2,880건에 대한 분리 동정에서 417건(14.5%)이
        4,000원
        4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3년 동안 겨울철 제주도 지방에 눈이 내린 경우를 대상으로 대기가 해양으로부터 얻은 열교환량을 계산하여 보웬비(현열속/잠열속)와 강설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대상지역은 제주도 4개 관측지점인 제주, 서귀포, 성산포, 고산이다. 적설 예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바람과 같은 기상의 영향이 가미된 보웬비와 적설과의 관계를 해기차와 적설과의 관계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신적설 시, 지역별 최저 해기차는 제주시, 서귀포, 성산포, 고산에서 각각 10.9, 12.3, 11.5, 14.3˚C였고, 그 이상의 해기차에서 신적설 확률은 각각 26, 29, 13, 23%인데 비해, 신적설시 지역별 최저 보웬비는 각각 0.59, 0.60, 0.65, 0.65였고, 그 이상의 보웬비에서 신적설 확률은 33, 70, 31, 58%로 나타나 보웬비가 해기차보다 높은 확률을 보였다. 보웬비에 의한 확률이 해기차에 의한 확률보다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해기차에 의해 형성된 강설의 조건에 바람에 의한 열교환이 강설의 조건을 강화시킨 것이 보웬비에 나타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0년(’93~’02)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각 지역별 신적설이 10.0~0.9cm 일 때 평균 보웬비는 0.63~0.67이고 신적설이 1.0~4.9cm 일때 평균 보웬비는 0.72 이상으로 조사되어 강설시 적설량과 보웬비는 비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3.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연안 정치망 조업 시스템 개량과 개발분야에서 연안해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각망어구의 구조개량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물망을 1/20로 축소하여 개량된 입구 구조를 갖춘 모형 어구 8종류를 제작하고, 실험 수조에서 고등어 어군을 이용하여 모형 어구에 대한 어군의 입 · 출망 행동을 관찰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통그물내에서의 어군의 행동 패턴은 원형 모양으로 한쪽 원통그물내에 체류하는 행동과 긴 타원형 모양으로 좌 · 우 원통그물내를 왕복 유영하는 행동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모형 어구 내에서의 고등어 어군의 평균 유영 속도는 원통 그물 중간 부분에서 24.9cm/sec, 오른쪽 원통그물내에서 12.6cm/sec, 입구에서 32.0cm/sec였다. 3. 어군의 입망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47%였고, 깔대기 그물이 길이가 35cm 의 모형 어구에서는 4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7% 정도로 그다지 크지 않았다. 4. 어군의 출망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69%였고, 깔대기 그물의 길이가 35cm 의 모형 어구에서는 1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59% 정도로 그 폭이 컸다. 5. 어군의 잔여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31%였고, 깔대기 그물의 길이가 35cm의 모형 어구에서는 9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59% 정도였다.
        4,000원
        44.
        200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연안 정치망의 여름철 주 어획대상인 잿방어를 실험어로 하여, 음향을 이용한 어군행동 제어, 음향순치 등 바다목장 조성을 위한 어군의 관리, 사육, 어획기술에 이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육상수조에서 수중 가청 저주파음과 전기충격을 이용하여 음향 학습 시킨 후, 주파수와 음압을 변화시켜가면서 잿방어의 섬전도를 도출 하여 심박간격의 변화로부터 청각문턱치, 청각임계비를 측정하였다. 자연환경소음에서 잿방어의 청각문턱치는 측정 주파수 80∼800 HZ의 수중 가청음을 모두 인식하였고, 측정 주파수 200∼500 HZ 에서 청각 감도가 양호하였으며, 측정 주파수 300 Hz에서 평균 음압 94.5 dB, 표준편차 4.5 dB로 가장 낮은 청각문턱치를 보였다. 평균 음압을 65 dB, 70 dB, 75 dB의 3단계로 변화시킨 백색잡음 방성으로 측정한 잿방어의 청각임계비는 측정 주파수 80, 100, 200, 300, 400, 500, 800 HZ에서 각각 평균 음압 45.9, 52.8, 42.5, 36.4, 38.6, 39.4, 44.4 dB이었다. 측정 주파수 300 HZ, 400 HZ 그리고 500 HZ 에서는 백색잡음 중에서 측정음을 식별하는 능력이 다른 측정 주파수에 비하여 우수했다. 잿방어가 주파수 300 HZ의 수중 가청음을 충분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최저 100 dB 이상의 음압 강도가 펼요하며 환경 소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소음 스펙트럼 음압 레벨보다 약 35 dB 이상 크게 방성할 펼요가 있다.
        4,000원
        4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 남동해역의 제주도 연안에 분포하고 있는 퇴적물의 근원지를 조사하기 위해 표층 퇴적물의 입자조직, 지화학 성분 그리고 점토광물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Ti/AI, Nb/Al 그리고 Rb/Al 비 등을 포함한 특징적인 원소성분도(geochemical discrimination diagram)와 희토류 원소들의 함량 특성은 퇴적물의 근원지를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시자들로 제시된다. 이들 결과에 의하면, 연구해역의 세립질 퇴적물은 대부분 증국의 양자강으로부터 기원 · 운반 퇴적되었으며, 조질질 퇴적물은 주변 화산암의 풍화 잔류물인 것으로 해석된다. 창해와 동중국해에서 치근 조사된 해수의 순환 패턴과 물리-화학적 특성은 양자강으로부터 기원된 세립 퇴적물이 연구해역을 포함한 한반도 남해(황해 남동해역) 연안역까지 운반 퇴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46.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연안 정치망의 어획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구구조개량과 조업방식의 생력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현재 제주도 연안정치망 어장에 부설하여 조업을 행하고 있는 각망어구와 낙망어구의 어획성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두 어장의 3년(1997~1999년)간 어획량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97~1999년까지의 3년간의 총어획량은 각망어구가 18.7톤 낙망어구가 36.5톤으로 낙망구의 어획량이 2배 정도 많았다. 2. 1997~1999년까지의 오징어, 전갱이, 독가시와 방어의 어획량은 전체적으로 각망어구보다 낙망어구의 어척량이 1.8배 정도 많았다. 3. CPUE는 각망어구에서는 전갱이가 10.01k 오징어가 20.5kg, 독가시치가 18.0kg 방어가 2.2kg이며 낙망어구에서는 전갱이가 57.5kg, 오징어가 30.0kg, 독가시치가 25.0kg, 방어가 4.7kg였는데 전반적으로 낙망어구의 CPUE가 높게 나타났다. 4. 유어율은 각망어구에서는 전갱이가 64%, 오징어가 79%, 독가시치가 39% 방어가 14%이고 낙망어구에서는 전갱이가 18%, 오징어가 85%, 독가시치가 40%, 방어가 14%로 전체적으로는 각망어구의 유어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여기서의 어획량은 낙망어구가 높게 나타났다.
        4,000원
        47.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연안 정치망의 어획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구구조개량과 조업방식의 생력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현재 제주도 연안 정치망 어장에 부설하여 조업을 행하고 있는 각망어구와 낙망어구의 어획성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이들 실물어구를 1/30로 축소하고 제작한 모형어구를 이용하여 수조실험을 실시하고 고등어어군, 전갱이 어군, 독가시치 어군의 입·출망 행동을 관찰하고 해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군의 입망율은 경과시간 60초일 때 각망어구에서는 고등어 50%, 전갱이 18%, 독가시치 28%였고, 낙망 어구에서는 고등어 70%, 전갱이 60%, 독가시치 30%였다. 2. 어군의 출망율은 경과시간 60초일 때 각망어구에서는 고등어 70%, 전갱이 40%, 독가시치 24%였고, 낙망어구에서는 고등어, 전갱이가 각각 0%, 독가시치가 3%였다. 3. 어군의 잔존율은 경과시간 60초일 때 각망어구 에서는 고등어 30%, 전갱이 60%, 독가시치 76%였고, 낙망어구에서는 고등어, 전갱이가 각각 100%, 독가시치가 97%였다.
        4,000원
        48.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s carried out a field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 of underwater sound on the luring of fish schools in a setnet in the coast of Cheju Island. The effects of the acoustic emission on the luring of fish schools were observed using a manufectured underwater speaker in the setnet, and pure sound, of which frequency was 600Hz and the source level was 126dB, was emitted on and off at 5 minutes intervals in the set net during the night of ,July 29 and ,July 31. So we had recorded behavior of fish schools by the telesounder with two channel and shape of the setnet by underwater video camera and analyzed them. When the flood and ebb currents were around the setnet, the nets rised to the surface of water and it happened occasionaly at the stand of tide. Therefore, it was in the state that fish schools feel constraint to enter into the setnet, and was required a new design of the setnet stand up to strong tidal current. As the pure sound, of which frequency was 600Hz was emitted for the luring of fish schools in a setnet, the catch ammounts of fish, the young horce mackereWI'rachllrlls japonicus), was increased 4~6 times than not emitted.
        4,000원
        49.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a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nutrients and chlorophyll-a have been studied around Hamduck in the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during July, 1989-July, 1990. In the surface water range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nitrate, phospate, silicate and chlorophyll-a have been 13.7-26.5℃, 28.51-34.37‰, 4.47-7.14㎖/ℓ, ND-15.42㎍-at/ℓ, ND-1.47㎍-at/ℓ, 2.33-24.1㎍-at/ℓ, and 0.02-2.24㎎/㎥, respectively. Yearly mean values of the near surface waters(0m-10m)at station 6 show high temperature, nitrate, chlorophyll-a, while the values of dissolved oxygen, phosphate, and silicate were low compared with the other stations. The vertical profiles are likely to show the possibility of upwelling in October and tidal front in July, suggesting high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round St.6. N1P ratio varies from 35 inshore to 15 offshore and from 45 in July to 15 in Ferbruary. These variation patterns are similar to those of water temperature.
        4,000원
        50.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orm surge height in the coastal area of Jeju Island was examined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POM) with a sigma coordinate system. Amongst the typhoons that had affected to Jeju Island for six years(1987 to 2003), the eight typhoons(Maemi, Rusa, Prapiroon, Olga, Yanni, Janis, Gladys and Thelma) were found to bring relatively huge damage . The storm surge height of these typhoons simulated in Jeju harbour and Seogwipo harbour corresponded relatively well with the observed value. The occurrence time of the storm surge height was different, but mostly, it was a little later than the observed time. Jeju harbour showed a higher storm surge height than Seogwipo harbour, and the storm surge height didn't exceed 1m in both of Jeju harbour and Seogwipo harbour. Maemi out of the eight typhoons showed the maximum storm surge height(77.97 cm) in Jeju harbour, and Janis showed the lowest storm surge height(5.3 cm) in Seogwipo harbour.
        5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 성산 연안 지역에 서식하는 오분자기의 생식주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채집된 개체를 대상으로 생식소지수와 생식세포 발달단계, 황색 과립세포 출현양상과 생식상피의 형태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식소지수(GI)의 월별 변화는 암컷과 수컷 개체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암컷 GI는 2006년 5월 에서 6~8월 으로 최대값을 보였고, 9월 으로 감소하였다가 10월 증가한 후 2007년 4월까지 낮은 값()을 유지하였다.
        5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in the coastal area of Jeju Harbor in Korea was examined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POM) with a sigma coordinate system.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well corresponded to the observed current data. The velocity at offshore was stronger compared to coastal area during the both period of in maximum flood and maximum ebb of spring tide. According to mean wind velocity, the tidal velocity at the shallow area of Jocheon was slightly increasing during maximum ebb. The effect of wind on the circulation was stronger in shallow area and showed rapid change with depth.
        53.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용치놀래기, 어렝놀래기, 황놀래기, 놀래기를 대상으로 체장에 따른 성 분포와 생식소의 성 특성을 조직학적으로 탐색하여 성 전환 양상을 조사 비교하였다. 용치놀래기, 어렝놀래가, 황놀래기, 놀래기는 자성선숙형 자웅동체어로 조직학적 관찰 결과 정소조직(정자형성부위)이 퇴화기 난소의 전역에 출현하는 혼재형 2에 속하는 어종이었다. 용치놀래기, 황놀래기 그리고 놀래기는 1차 수컷과 2차 수컷이 존재하는 복웅성 어류이고, 조사된 어렝놀래기는
        54.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microbial population, in ten stations at water region of coastal area of Chagwi-Do, Nutritive salts,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suspended solid, salinity, COD, DO, pH, heterotrophic bacteria, coliform group and Vibrio spp. were analysed three times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Heterotrophic bacteria in surface water was 3.5×101~1.16×103 cfu/ml, 1.0×102~5.2×101 cfu/ml, 2.0×101~7.6×101 and bottom water counted 7.0×102~1.0×103 cfu/ml, 1.4×101~2.5×102 cfu/ml, 2.0×102~4.2×101 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2005, respectively. The cell number of total coliform bacteria in the surface water amounted to 0~4.3×102 cfu/ml, 0~6.0×101 cfu/ml, 0~1.0×101 cfu/ml and bottom water amounted 0~2.2×102 cfu/ml, 0~5.4×102 cfu/ml, 0~2.0×101 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respectively. As for Vibrio spp., the cell number in the surface water was 1.0×101~2.5×102 cfu/ml, 1.0×101~2.0×101 cfu/ml, 0 cfu/㎖ and bottom water counted 1.0×101~5.2×102 cfu/ml, 0 cfu/㎖, 2.0×101 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respectively.
        55.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tudy the residu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the ocean environment on the Cheju island, EPN[O-ethyl-O-4-nitrophenyl phenylphosphonothioate] and monocrotophos [Dimethyl-1-methyl-2-methy] carbamoylvinylphosphat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re surveyed on coastal environment of Cheju city and Wimi in May and October 1996. The qualified limit detection of EPN and monocrotophos are 0.005ng/mL and 0.006ng/mL., in the water by GC-FPD, respectively. The qualified limit detection of EPN and monocrotophos are 0.010ng/g and 0.012ng/g in the solid such as sediment and sea organism by GC-FPD, respectively. EPN and monocrotophos are not detected in seawater and sediment. Moreover EPN and monocrotophos are neither detected in seaweed cava (Ecklonia cava), Agar (Gelidium amansii), turban sell(Batillus cornutus) and sea urchin(Anthocidaris Crassispina). EPN, monocrotophos used in the farm on the Cheju island are not residued in the coastal environment in the Cheju island.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