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1.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2000년)의 토지이용 및 지하수 취수량(2000년)을 토대로 유황곡선을 도출하고 개발이전의 토지이용(1975년)과 지하수 취수가 전혀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유황곡선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갈수량과 항목별 필요유량을 비교하여 큰 값으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한 것과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황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전, 삼성, 삼막, 수암천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42.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하천유역에서 집중호우에 따른 제방 범람과 이에 따른 침수 피해규모를 해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도시하천인 중랑천의 홍수 및 제방붕괴 특성을 시 공간적으로 다양한 조건에서 연구하였으며 실용적인 GIS 기법의 적용방법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98년 실제 홍수상황에 대하여 적용분석하였으며, 100년, 200년, PMP의 빈도별 강우 조건에서 홍수량을 각각 산정하였다. 또한, 제방붕괴 조건별 하천의 부정류 해석 및 제내지의 홍수범람
        43.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과거의 경년 항공사진과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천형태의 변화를 분석하고, 하천주위의 토지이용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안천 유역의 지방 1, 2급 하천에 해당하는 1966년, 1981년, 2000년 항공사진에 내, 외부표정을 실시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또한 1914 - 1915년 지형도를 이용하여 1966년, 1981년, 2000년의 하천과 비교하였다. 이 영상을 이용하여 경년 하천형태와 하천부지의
        44.
        200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ize of minimum order stream has a very sensitive effect on runoff analysis model using the divergence characteristic of strea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hreshold area of minimum order stream has been examined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topographical parameters. The subject basin of the research was the upper basin of the Kumho water gage station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Kumho river. The 1:25,000 numerical geography which was constructed 10×10m mesh was used. The range of investigation of topographical parameters are number of stream order, length, area, slope, basin relief, sinuosity ratio, drainage density and total stream length etc. It was found from the result of analysis that the threshold value of minimum order stream has a very big effect on topographical parameters of basin. It was found that the threshold area of minimum order stream revealed under 0.10km2. Furthermore, the parameters showed a serious change except for over 0.10km2.
        45.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측자료가 확보된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최대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을 밝혀내고, 결정된 시간분포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유역특성과 임계지속기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50-5,000의 44개 유역을 통하여 수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S 유효우량 산정방법으로 결정된 유효우량을 사용하여 최대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시간분포모형은 Huff의 4분위 시간분포모형으로 나타났다. 유역면적 50-600인 유역에서는 24시간 강우지속기간
        46.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ubject basin of the research was the basin of Yeongcheon Dam loca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Kumho River. The parameters of the model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bstracting topological properties out of rainfall-runoff observation data about heavy rains and Digital Elevation Modeling(DEM) materials. This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ELLMOD Model, a distribution-type model, in interpreting runoff based on the topological properties of a river basin, by carrying out runoff interpretation for heavy rains using the model.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calculated peaking characteristics in the hydrograph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observed values and interpretation results by the Clark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CELLMOD Model proposed in the present research for interpreting the rainfall-runoff process, the model reduced the physical uncertainty in the rainfall-runoff process, and consequently, generated improved results in forecasting river runoff.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algorithm is appropriate for interpreting rainfall-runoff in river basins. However, to enhance accuracy in interpreting rainfall-runoff,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heavy rain patterns in subject basins and to subdivide a basin into minor basins for analys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odel to basins that have sufficient observation data,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model parameters and the basin characteristics(channel characteristics).
        47.
        200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ream water quality in upper stream of Dongjin river, and to giv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Water samples were taken periodically at 9 sampling sites during 8 months from March to October in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water temperature and pH of stream water were ranged 9.0~29.4℃, 6.48~9.33, respectively. The COD values of stream water was ranged from 0.60 to 19.06. The contents of T-N and T-P mainly affected by the livestock wastes, and agricultural activity were 1.88~6.74 mg/L, ND(not deleted)~0.50 mg/L, respectively. 2. The SS, DO and BOD values of stream water were ranged 0.4mg/L~274.0mg/L, 0.5~6.0 mg/L, and 7.3~13.7 mg/L respectively. 3. The 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in analysis of stream water quality. The contents of analysis, Ca++, Mg++, Na+ and K+ were ranged 1.96~11.08 mg/L, 1.21~6.16 mg/L, 3.38~18.44 mg/L, 1.12~7.96 mg/L, respectively. SAR was ranged 0.31~1.63 below 2.0. The contents of cation showed in the order Na++>Ca++>K+>Mg+. 4. The contents of heavy metal Zn, Cu, and Pb were ND~0.071 mg/L, ND~0.012 mg/L, and ND~0.043 mg/L, respectively. Cd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5. As a result of these researches showed water quality in upper stream watershed of Dongjin river more affected by livestock wastes and living sewage than agricultural activity.
        48.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 계측유역이나 자료가 결핍된 유역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S-GIUH)를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IHP 위천대표시험유역의 6개지점(동곡, 고로, 미성, 병천, 효령, 무성)에 대하여 강우-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지형학적 순간단위도의 분석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GIS-GIUH 모형과 Rosso-GIUH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실측유출수문곡선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GIS-GIUH 모형이 Rosso-GI
        49.
        200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수계에서 수문학적 예측을 위하여 Hybrid Neural Networks의 일종인 반경기초함수(RBF) 신경망모형이 적용되었다. RBF 신경망모형은 4종류의 매개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율 및 지도훈련과정으로 이루어져있다. 반경기초함수로서 가우스핵함수(GKF)가 이용되었으며, GKF의 매개변수인 중심과 폭은 K-Means 군집알고리즘에 의해 최적화 된다. 그리고 RBF 신경망모형의 매개변수인 중심, 폭, 연결강도와 편차벡터는 훈련
        51.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 소하천의 수리학적 및 수질특성을 반영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구조 설계시 제어체적 기법을 활용하여 하천 형상, 수질 및 유량의 변화가 심한 농촌 유역의 소하천에 대한 수질의 모의하였다. 개발한 모형에 난수발생기법을 도입하여 최적 반응계수와 모형구조를 추정하였다. 또한 모형 보정기준의 일반화를 위해 동의지표와 효율계수를 도입하여 매개변수추정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했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남 김해시 한림면 용덕천에서 수질을 채취하여 분석
        52.
        199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남부 지방 농촌 소하천 제방 지역에 분포하는 죽림의 제방 보강역할을 파악하기 위해서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소하천 제방에 분포하는 죽림(분죽)과 잔디의 지중 뿌리 밀도 및 각 제방 토양의 관입 저항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나무의 경우 토양 깊이가 깊어질수록 뿌리 분포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잔디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지중 20-30cm 구간에서 가장 높고 지표면(0-l0cm)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잔디는 지표면(0-10cm)에서 가장 높은 뿌리 밀도를 보였으며, 지중 20-30cm 구간에서 가장 낮은 뿌리 밀도를 보였다. 또한, 지중 30cm까지의 전체 뿌리 분포량은 대나무가 잔디의 약 2.5배에 이른다. 죽근의 경우 지중 50cm 이상까지 분포함을 고려할 때, 실제로는 이보다 차이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 시료채취를 위한 관 삽입 시 소요되는 타격수는 지중 뿌리의 밀도에 따라서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데 죽근의 관입 저항치(평균 21회)가 잔디(평균 8회)의 3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53.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강유역 중소하천 계획하폭 산정공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216개 구간의 중소하천에서의 계획홍수량, 유역면적, 하상경사, 실제하폭을 수집한 후, 1) 최소자승법(least squares, LS), 2) 최소중간치자승법(least median squares, LMS) 및 3) 재가중최소자승법(reweighted least squares, RLS)을 이용하여 경험적인 계획 하폭 공식을 결정하였다. 한강유역에서의 기존하폭 산정공식과 비교하기 위하여 계
        54.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소하천으로 이루어지는 수계에서 복잡한 물수지 요소가 여러 지점에서 발생하는 하천 말단 특히 감조지역에 수자원 시설물을 설치하고자 할 때 유입량의 추정이 문제가 되며 물수지 요소의 변동에 따라 말단의 유출량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는 하천의 유입.유출요소의 정형화를 필요로하며 소유역의 일유출량 추정 모형을 필요로 한다. WWASS 모형은 일별 유입량과 펼요수량 추정 모형으로써 DIROM을 사용하고 있고 물수지 요소들을 하천의 조절점(contro
        55.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rainfall-runoff relatio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storms is very important in designing a hydraulic structure or evaluating an environmental influence for land usage. Because of this reason,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finite element model which consider the spatial movement of a stome and it was applied on a small river basin(Wi stream basin). In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he basin was treated as a pivot point and the storms are simulated with movement in each directions.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 storms moving from north to south have bigger peak discharge and faster peak time than the storms moving in other directions. So these characteristics have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ation of a hydraulic structure or evaluation of an environmental influence.
        56.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1) 운동과 이론에 기초한 강우,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 (2) 강우 및 유수에 의해서 발생하는 침식, 퇴적량을 산정하는 모형을 연구하며, (3) 유사량 산정식, 유역의 불할 수 등이 하상변동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4) 평창강 유역에서 하도자료, 강우, 유츨량, 유사량 등을 실측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운동파 방정식을 평창강 유역에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실시한 결과, 첨두 유량의 발생시간은 다소 빠르게 계산되었으나 전
        57.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소하천 유역에서 강우-유출과정의 모의절 위한 정도 높은 개념적 모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개념적 선형 모형인 Clark 모형, Nash 모형과 개념적 비선형 모형인 Laurenson 모형과 WBN 모형을 위천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 및 비교검토를 하였다. 선형 모형에서 산정된 매개변수들의 변동성은 비선형 모형의 매개변수의 변동성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계측유역에서 4개 개념적 모형으로부터 합성한 수문곡선을 분석한 결과 첨두유량은 4개 모형
        58.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t a farm village stream. The framework design of the system and the ecological monitoring of a test watershed were carried out, The system consists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database, pollution source management, water quality and hydrologic analysis. Suri watershed located on Idong, Yongin city, Kyunggi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test watersh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The fifteen's monitoring stations were chooses at up- and down-stream of the watershed. The results of an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were analyzed by the GPI(Group Pollution Index) method. The GPI revealed that water quality was varied within the stream. GPI and DO map for the watershed stream were developed, These maps facilitated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water quality.
        59.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the estimation of a river management flow in urban basin analyzing Sinchun basin to be the tributary of Kumho river basin. The river management flow has to satisfy a low flow as natural flow and 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flow estimated by a dilution flow to satisfy a target water quality in drought flow. Therefore for the estimation of a river management flow in Sinchun in this study, first Tank model as a basin runoff model estimates a low flow, a drought flow from a flow duration curve in Sinchun, second QUAL2E model as water quality model simulates water quality in Sinchun and estimates environmental preservation flow to satisfy a target water quality, BOD 8 ㎎/ℓ by a dilution flow derived from Kumho river, Nakdong river and ground water. And the river management flow is estimated by addition of a use flow and a loss flow to more flow between a low flow and 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flow.
        60.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using Kalman filter theory which removes a physical uncertainty of rainfall-runoff process. A linear reservoir model, which is the basic model of Kalman filter, is used to calculate runoff from rainfall in river basin. A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is composed of a state-space model using a system model and a observation model. The state-vector of system model in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takes the ordinate of IUH from linear reservoir model. The average value of the ordinate of IUH for a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is used as the initial value of state-vector. A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shows better results than those by linear reserevoir model, and decreases a physical uncertainty of rainfall-runoff process in river basi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