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1

        4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was a qualitative study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meaning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simulation education with standardized patients. Methods: This study’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6 senior employees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two universities. They had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simulation education with standardized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December 31, 2021,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1978)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After analyzing the meaning of simulation experiences with the standardized patients, 101 meaning formations were deduced. From this, 13 theme, 4 theme clusters and 2 categories—effective lesson, tasks to solve. Conclusion: Simulation with standardized patients is a recent approach that has been actively applied in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colleges.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students’ experiences with standardized patients and analyzed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simulation education content with standardized patients is developed. This can be achieved by optimizing the advantages of standardized patients with various clinical cases in other subjects besides psychiatry.
        4,900원
        42.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국내·외에서 보고된 뇌졸중 환자 대상의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연구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 경향과 대상자 특성, 사용 방법 및 시뮬레이터를 통한 중재의 효과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RISS, PubMed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5편의 국내·외 연구를 검색하였 다. 분석 대상 연구들은 연구의 근거 기반 질적 수준 분석 모델에 따라 분류하였고, 임상적 분석 방법인 P.I.C.O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결과 : 고찰한 연구는 총 5개로 근거 수준은 I, IV였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로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중재 를 통해 운전 기능 향상의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중재 결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향상이 보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1편의 논문을 제외한 4편의 논문에서 운전 기능의 유의미한 향상을 보고하였다. 결론 :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중재는 많은 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되고 있었다. 추후 연구 대상자를 더욱 다양하 게 하여 도로 주행 능력 및 다양한 영역에서의 기능 향상을 위한 운전재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00원
        44.
        2022.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낭암은 드물지만 치명적인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대부분의 담낭암이 늦게 진단되고, 급속하게 인접 장기로 전이되기 때문에 예후가 불량하다. 따라서 담낭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는 드물고, 담낭담석이나 용종으로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후 우연히 발견되는 때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급성 무결석 담낭염 환자에서 초음파 내시경을 통해 비교적 조기에 담낭관암을 발견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던 증례를 경험하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45.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원격재활이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원격재활 중재를 사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국내외 무작위 실험연구 중, 2000년 1월에서 2022년 1월 사이에 출판된 논문들로 분석하였다. 검색을 위한 학술 데이터베이스 로는 Embase, MEDLINE, PubMed, RISS를 사용하였고, PEDro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 였다. 메타분석은 샘플 수, 평균, 표준 편차와 같이 통계학적 수치를 사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검색 결과 최종 10편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연구가 선정되었고, PEDro 척도를 이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한 결과 6점 이상에 해당되었다. 참여대상자의 총 인원은 실험군이 343명, 대조군이 332명이 었다. 효과크기는 Cohen의 d값과 램덤효과 모델로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원격재활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향상에는 0.22 (95% Confidence Interval[CI]: -0.02 – 0.46; p = 0.07)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원격재활 프로그램에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포함된 중재들은 뇌졸중 환자의 일상 생활활동에 0.48 (95% CI: 0.15 – 0.81; p = 0.004)로 중간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 고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는 0.68(95% CI: -1.24 – 2.59; p = 0.49)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원격재활 프로그램에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포함된 경우,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 동에 효과가 있는 걸 알 수 있었다. 또한 원격재활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제공되는 원격재활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에 대한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효과를 알아보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4,600원
        46.
        202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traints are us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s a way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whole body or part of the body for the safety of the patient, such as maintaining medical equipment, preventing falls and patient self tube removal through regulating the patient's behavior. However, the physical restraints are used for the physical safety of the patient, but that is cause a variety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mplications. Thus,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who apply restraint on face an ethical dilemma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nurse's duty to improve the patient's health and protect the patient's safety and the value of the patient's autonomy and dignity. We have two examples are proposed to identify the ethical dilemma situation faced by nurses, to induce an active attitude towards elimination by establishing exactly restraint - removal criteria.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seek a balance of individual value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patient and the medical staff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restraint.
        4,000원
        47.
        202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in February 2018, discussion on advanced care planning (ACP) has increased. However, as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are still made in the intensive care unit, deaths related to the suspens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death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nurses encounter challenges in supporting the patient's dignified death; they experience an ethical dilemma in the ambiguity due to a lack of guidance on legal responsibilities regarding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order for the nurses to perform as a supporter providing care to the patients and as a advocate during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 should be a systemic change to ensure the nurses' participation. In addition, an open and continuous discussion should be proposed to cultivate nurses’ ethical sensitivity and moral courage. This paper reports two ethical examples related to the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occurred in intensive care units of a tertiary hospital.
        4,000원
        48.
        202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perception of,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and identify factors that affected patients’ attitude towards patient safety. In this descriptiv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96 patients hospitalized at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s patient safety were measure with a tool developed by Ahn Jin-ok, and the questionnaire for knowledge of patient safety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validated by an expert group.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was 35.48(±6.80) out of 50; the average knowledge of patient safety was 84.33(±8.66) out of 100; and the average attitude towards patient safety was 36.88(±3.74) out of 50. The perception and knowledge of patient safety, level of hospital safety, and age were identified as influential factors explaining 13% of the variation in attitude towards patient safe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ducational experience of patients may increase their perception and knowledge of patient safety that can influence their attitude towards patient safety. Therefore, patient education would be an important intervention to improve patients’ attitude towards patient safety. We recommend further studies with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activities.
        4,000원
        49.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a future program by analyzing studies on diabetes programs from 2000 to 2020. Among the studies wi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selected studies included ones that provided intervention to patients with diabetes and ones that contained descriptive statistics. Sixteen studies were sele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homogeneity of the data coding meta-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in the diabetes program combined estimate was 0.398 (95% CI: 0.268, 0.425, p=0.000).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fasting blood glucose (-0.616) and glycated hemoglobin (-0.442) showed median effect sizes, but the effect of fasting blood gluco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study design, non-randomized control trials (NRCTs) (-0.543) was more effective than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s) (0.719). Among, the counseling and self-management program (-3.241) showed a very large effect size. Furthermore, the cognitive-behavioral (-0.828) and self-management (-0.482) programs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fasting blood glucose. A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anagement increases, further studies based on RCT should be actively performed, and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diabetes intervention plans need to be established.
        4,200원
        50.
        202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cutaneous balloon dilation with or without placement of an external biliary drain is a nonoperative alternative method for treating benign bilioenteric anastomotic strictures. Although this procedure has a high technical success rate, outcomes are less optimal when attempting to dilate refractory tight strictures. For the stricture, cutting balloon can be an option. We present four patients with benign bilioenteric anastomotic strictures refractory to conventional balloon dilation. To the patients, a peripheral cutting balloon over-the-wire system was inflated, following subsequent conventional non-compliant balloon dilation. After the balloon dilation treatment, an external drainage catheter was placed through the stricture site and maintained for up to 30 days. Technical and end-treatment success was achieved in all four patients. In conclusion, the use of cutting balloon dilation may appear to be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method of treatment in patients with benign bilioenteric anastomotic strictures refractory to conventional balloon dilation.
        4,000원
        5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sphosphonate-associated osteonecrosis (BRONJ) is an adverse event associated with bisphosphonate drug treatment. An 81-year-old female has been taking bisphosphonates orally once a month for three years complained of pain in the left mandibular molar area after implant placement. Tenderness and fistula were formed. Extensive osteosclerosis in posterior area of the left mandible and bone resorption around distal side of #37i were shown on radiographs. She was given oral antibiotics for 6 weeks and bone resorption was improved. A 70-year-old male had a history of intravenous injection of bisphosphonates for blood cancer complained of #46i implant mobility. There was buccal fistula on #45 site. Radiographically, severe bone resorption and extensive osteosclerosis were shown. He was treated with removal of implant and inflammatory tissue. Patients who have taken bisphosphonates may develop BRONJ after tooth extraction or implant placement and are needed to meticulous plaque control for preventing BRONJ.
        4,000원
        5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on caregivers’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toward safety.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at applied before-and-after designs for the test and control groups. It was configured focusing on “infectious disease,” “fires,” “falls,” and “drug abus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nd patient safety perform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safe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atient safety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pply and evaluate the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training program to enable caregivers to develop professional prevention and management capabilities within elderly care facilities
        4,500원
        5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료분야에서 정확한 환자 확인(patient identification)을 위한 의료생체인식기술(medical biometrics)을 소개하고 자 한다. 첫째, 생체인식기술(biometrics)에 대한 정의, 분류 및 종류와 같은 기본 정보다. 둘째, 생체신호 (biological signal)와 의료영상(medical imaging)을 활용한 의료생체인식기술의 종류와 최근 연구에 관한 정보를 기술했 다. 마지막으로 의료 환경에서 적용되는 생체인식기술의 종류와 사례와 함께 의료 환경의 현주소를 언급했다. 환자확인이 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진 의료생체인식기술은 의료 현장에 점진적으로 도입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본 연구가 정확 한 환자확인을 위한 의료생체인식기술을 이해하고 연구방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54.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families caring for patients with home mechanical ventilation. The question was, “What is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a family who has a member with home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and describe the implications of experiences of families caring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amily caregivers who worked as full-time for caring for patients with home mechanical ventil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1978) phenomenological method. Participants’ relationships to patients were 1 spouse, 1 father, and 6 mother.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between 33 and 59, with an average of 45.1. Results: In this study, family members’ caregiving experience was emerged.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themes: Felt burdened but had to accept it; Seized by fear; The weight I must bear alone; Everything is difficult and unfamiliar; Still, my home; and Sorry for the other family members. It was found that caregivers had decided to discharge their loved ones from the hospital out of a sense of duty. Conclusion: The families took care of the patients with responsibility and love. The study results should help with the understanding of a family with a member with home mechanical ventilation and should be used to develop nursing, mediating, and consulting programs for these caregivers
        4,200원
        56.
        2022.04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국내외에서 보고된 치매 보조기기 적용 연구의 고찰을 통해 보조기기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외 에서 사용되는 보조기기의 종류와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RISS와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3편의 국내외 연구를 대상으로 하 였다. 검색단어로는 “치매” AND “보조기기”OR“보조공학”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들은 연구의 근거기반 질적 수준 분석모델에 따라 분류하였고 PICO로 정리하였다. 결과 : 선별된 1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13편 중 8편의 연구가 치매환자의 정서상태인 기분, 우울, 불안에 긍정적인 효 과를 보였다. 로봇 종류 보조기기의 효과성으로는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과 긍정적 정서상태 및 행동 증진이 있다. 배회감 지기의 사용은 치매 노인의 배회행동과 불안의 감소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T 기반장치는 사용성과 유용성 면에서 사 용자들의 만족이 높았으며 디지털 보조장치는 치매 노인의 가정생활 지속 능력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결론 : 치매 보조기기는 정서, 문제행동, 의사소통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등 기본 일상생활 전반에서 어려움을 겪는 치매 노인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치매 노인 개개 인의 특성에 알맞은 보조기기를 적용하는 데에 적절한 참고자료가 됨으로써 이에 따라 다양한 치매 보조기기 적용 중재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57.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작업기반 가정방문 작업치료 중재를 통해 신경행동 문제와 일상생활활동 및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4명을 모집하여 무작위 배분으로 실험군 7명, 대조군 7명을 나누었고, 대조군은 사전·사후 평가만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주 2회, 총 8회기동안 작업기반 가정방문 작업치료 중재를 제공 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한 실험군에서 전반적 신경행동손상의 감정적/정서적 장애, 그 밖의 장애 항목과 구체적 신경행동손상의 조직화/순서화 항목에서 유의미한 장애 감소가 나타났으며, 일상생활활동 옷 입기 항목에서도 유의미한 기능 증진이 나타났다. 작업수행에서는 수행도와 만족도 항목에서도 유의미한 증진이 나타났으며,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않았다. 결론 : 작업기반의 가정방문 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하여 신경행동 문제와 일상생활활동 및 작업수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를 위해 다양한 중재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하길 권고한다.
        4,500원
        58.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일상생활활동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엉덩관절치환술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작 업치료 인식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엉덩관절치환술을 받은 노인 40명(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이었고,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주 5회 30분씩, 4주간,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결과 : 일상생활활동 훈련프로그램 실험군은 일상생활활동 비디오 시청 대조군과 비교하여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작업치료 인식도 및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의 일상생활활동 훈련프로그램은 엉덩관절치환술을 받은 노인들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작 업치료 인식도 및 만족도를 향상시키어 작업치료의 전문성과 가치를 높였다. 이에 엉덩관절치환술 환자 의 재활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4,800원
        59.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ngi have been known as an irritant or causal agent of asthma. Thus, information on their concentration and diversity in indoor air of asthmatic patient’s houses is valuable for the management of these micro-organism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fungal concentration and diversity in indoor air of resident spaces in two adult patient’s houses in winter. Air samples were collected in February of 2018 from living rooms and bedrooms of two asthma patients’ houses located in two different places in Incheon city using an impaction metho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irborne fungi did not exceed the 500 CFU/m3 level which is recommended by the Enforcement Managements of the Indoor Air Qualit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 total of four genera and 23 species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Aspergillus and Penicillium were two major genera. Aspergillus pseudoglaucus and Penicillium citrinum were commonly found between the two patient’s houses. Among the identified fungi, three species, Aspergillus venenatus, Penicillium jamesonlandense, and Penicillium salami were found to b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unrecorded species were described. Since these species produce spores well and a lot, they are considered to be a species that needs management.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fungi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the living spaces of asthma patients in winter in Korea.
        4,000원
        60.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압력 이미지 센서를 활용한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정이 척수손 상 환자들의 주요 합병증인 욕창의 예방에 있어서 실제로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후 향적 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병 기간이 1년 미만인 척수손상 환자들 1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다. 실험 군은 휠체어 방석 압력분포 조정 당시 본인 소유의 휠체어 방석으로 진행하여 본인에게 맞추어 압력 치 가 조정된 휠체어 방석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66명의 환자로 분류하였고, 대조군은 다양한 이유로 조정된 휠체어 방석을 지속하여 사용할 수 없는 66명의 환자로 분류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는 휠체어 방석 압력분포 조정 이후 1년과 2년 뒤에 한 차례씩의 욕창 발생과 시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 조사결과에 따른 두 군 간의 욕창 발생률과 발생 시기를 비교 분석하여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 정평가가 척수손상 환자들의 욕창 예방에 미치는지 영향을 확인하였다. 자료의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 은 p < .05로 정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 두 군 간에 욕창이 발생 된 확률의 차이 결과는 모두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 났으나(p > .05), 욕창의 발생 시기에 대한 두 군 간의 비교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 < .05) 결론 : 한 번의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정만으로는 욕창 예방효과의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웠다. 하지만 시기에 맞는 유지 관리를 지속할 수 있다면 향후 척수손상 환자들의 욕창 예방 관리에 매우 좋은 방안 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