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41.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는 높은 압축강도 및 높은 연성 등 재료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유망한 건설재 료로 분류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거동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 여 성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밀도, 압축강도, 일축인장실험 등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고연 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지만, 인장하중 하에서 알칼 리 활성 슬래그 기반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인장변형성능 및 인성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변형성능 및 인성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페이스트에 폴리에틸렌섬유를 보강하여 7.89 %에 달하는 높은 인장변형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gregate size on the tensile behavior of highly ductil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Partial applying 5.6mm coarse aggregate instead of micro silica sand was considered. It was revealed that the fiber-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s with 5.6 mm coarse aggregate as well as micro silica sand still showed enough tensile strain capacity more than 5% and limited crack width less than 150 ㎛.
        43.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gregate size on the tensile behavior of highly ductil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Partial applying 5.6mm coarse aggregate instead of micro silica sand was considered. It was revealed that the fiber-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s with 5.6 mm coarse aggregate as well as micro silica sand still showed enough tensile strain capacity more than 5% and limited crack width less than 150 ㎛.
        44.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gregate size on the tensile behavior of highly ductil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Partial applying 5.6mm coarse aggregate instead of micro silica sand was considered. It was revealed that the fiber-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s with 5.6 mm coarse aggregate as well as micro silica sand still showed enough tensile strain capacity more than 5% and limited crack width less than 150 ㎛.
        45.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고연성과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PET 섬유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착특성과 휨거동을 각각 부착실험 및 휨실 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착실험은 CSA S806에 따라 수행하였고, 실험변수는 섬유 종류와 보강량(CF 및 GF 시트 각 1겹, PET 시트 10겹)이었다. 총 8개의 보 실험에서 주요 실험변수는 단면의 연성비(μ = 3.4, 7.0), 보강섬유 종류(CF, GF, PET) 및 보강량이었다. 보 단면의 모 멘트-곡율 해석을 병행하였다. 부착실험의 결과, CF, GF 시트 1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각각 120, 60 mm 이었고 최대부착응력은 각각 3.25, 2.99 MPa 이었다. PET 10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60 mm, 최대 및 평균 부착응력은 각각 2.30, 2.10 MPa 이었다. 또한 최대 강도 시 CF, GF, PET의 변형율은 각각 0.36%, 0.49%, 6.29% 였으며 CF, GF 부착실험체는 계면에서 시트가 최종적으로 탈락하였지만 PET 부착 실험 체에서 박리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휨실험의 결과, PET 10, 20, 30겹으로 보강한 RC 보의 휨강도, 휨강성이 모두 무보강 보에 비해 증가하였 고, 연성적인 휨파괴 양상을 보였으나 PET 30겹의 경우 20겹에 비하여 연성이 감소하였다. 모멘트-곡율 해석의 결과, PET 보강 보에서 접착제 의 물성을 해석에 포함시키면 해석의 정확도가 향상하였다. 한편 PET 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문헌이 없어서 현재 연구 진행 중이다.
        46.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섬유의 일부를 철근집합체로 대체하여 초고강도 섬유보강 철근 콘크리트 I 형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강섬유와 철근집합체의 조합을 가진 초고강도 콘크리트 I 형보 대한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률은 0%, 0.7%, 1%, 1.5%, 2%이다. 철근집합체와 PS강연선 집합체가 압축구역에서 콘크리트를 구속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철근집합체와 강연선 집합체의 길이 도 실험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실험요소를 조합하여 9개의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 형보를 제작하였다. 강섬유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철근 집합체도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형 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강섬유 혼입률 0.7% 또는 1%와 철근집합체를 사용한 조합이 I형 보의 효과적인 연성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 하중과 처짐관계 및 균열양상 등이 좁은 간격을 가진 작은 직경의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유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47.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steel frame on seismic performance of non-ductile reinforced concrete (RC) frame. To achieve the this objective, RC frames were made based on existing school building constructed in 1980s. Test results indicated that RC frame retrofitted with steel frame was improved the seismic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RC frame.
        48.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및 강섬유를 체적비율로 1.5% 혼입한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에 대한 비상체의 고속충돌시험을 실시하고, 충돌조건에 따른 파괴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상체의 충돌에 의한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의 파괴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약압력식 충격시험장치를 활용하였으며, 충돌속도의 범위는 약 150 ~ 1,000m/s로 설정하였다. 파괴특성에 대한 평가결과,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는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Plain시험체의 약 3배 이상의 비상체 운동에너지가 작용하는 범위에서도 표면관입의 파괴등급으로 평가되었으며, 시험체가 파단되지 않는 내충격성능이 확인 되었다. 또한, 충돌시험 전후에 대한 시험체의 질량감소율의 경우, Plain시험체는 비상체의 운동에너지의 증가율과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지만,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는 비상체의 운동에너지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와 같은 경향은 시험체 배면의 파괴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S시험체에 비해 PVA시험체의 배면박리 억제효율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국부손상에 대한 표면관입깊이 및 배면박리깊이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는 Plain과 달리 시험체 단면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배면에 가까운 영역에서 배면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상체의 충돌에 대한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의 주요 파괴거동이 검토되었으며, Plain과 비교하여 내충격성능의 향상을 명확히 확인하였다.
        49.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섬유 대신 철근집합체를 사용하여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최대하중 이후 연성거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섬유와 철근집합체의 조합을 가진 직사각형 콘크리트 보에 대한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률은 0%, 0.7%, 1%, 1.5%, 2%이고, 연성거동을 유도하기 위한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철근비는 0.0036, 0.016, 0.028 그리고 0.036이다. 이러한 실험 요소의 조합으로 15개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보가 제작되었다. 강섬유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철근 집합체도 초고강도 콘크리트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강섬유 혼입률 0.7%와 철근비 0.028인 철근집합체를 사용할 경우 가장 경제적인 조합임을 볼 수 있다. 하중과 처짐관계, 콘크리트 응력의 변화 및 균열양상 등이 좁은 간격을 가진 작은 직경의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유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5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experimental study of composite slab systems was performed. The slab system could minimize reinforcements and improve crack control by applying high-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s. In the application of the field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half-precast system could minimize the formwork of concrete construction.
        5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high strength RC ex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using reinforcing detailings and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Test results showed that specimen BCJISP were increased th maximum load-carrying capacity and showed stable hysteresis behavior and satisfactory crack pattern in comparison with th standard specimen BCJC.
        5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high-ductile and low-fiber composites have been mixed using Alkali-activated cement-free binders combined with PVA fibers of the volume fraction of 1.0~1.5%. From the direct tensile test of the composites, the low-fiber cement-free composites could exhibit high-ductile tensile behaviors about 4.0~7.0% tensile strains after cracks.
        5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hear assessment eq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interior beam-column joint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 reinforced mortar based on the test results was proposed. Suggested equation was proposed to modify Hegger's seismic design equation. It was reflected the effect of high ductile fiber incorporated
        5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improve the construct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R/C in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 or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Specimens designed by retrofitting the interior beam-column joint regions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showed a stable mode of failure and an increase in load-carrying capacity due to the effect of enhancing dispersion of crack control at the time of initial loading and bridging of fiber from retrofitting new high ductile materials during testing.
        5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high strength RC ex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Test results showed that specimen BCJNSP1.0 were increased th maximum load-carrying capacity and showed stable hysteresis behavior and satisfactory crack pattern in comparison with th specimen BCJN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in the beam-column joint region.
        5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high strength RC ex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Specimens designed by retrofitting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regions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showed a stable mode of failure and an increase in shear strength capacity due to the effect of enhancing dispersion of crack control at the time of initial loading and bridging of fiber from retrofitting new high ductile materials during testing.
        5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 of tensile strength of PP fiber on the fiber bridging behavior and density, compression, and tension test results of high strength PP fiber based fiber reinforced composite that has high strength as well as high ductility.
        58.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rder type modular bridge requires using ductile fiber reinforced concrete slab(link slab) structure to connect each girder modules at interior support points.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valuation on the properties and fracture energy of ductile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jointless modular bridge.
        59.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표준실험체인 전단보강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SSS)와 전단보강근이 있는 철근콘크리트 보(BSS), 성능개선실험체로는 전단보강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고로슬래그미분말을 혼입한 고인성섬유 복합모르타르를 타설한 실험체(SHF시리즈, SHFSC시리즈)로 총 11개의 실험체를 축소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하중-변위, 파괴형태, 최대내력, 전단응력 등을 규명함으로써 구조성능의 개선정도를 평가하였다. 고로슬래그미분말을 혼입한 고인성섬유 복합모르타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SHF시리즈, SHFSC시리즈)의 경우 전단보강근이 없는 표준실험체(SSS)보다 전단응력은 각각 26%, 28%, 연성능력은 각각 5.27, 5.75배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충분한 연성적인 거동과 안정적인 휨인장 파괴를 나타내었다.
        60.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내에서도 지진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교량 및 터널 등의 시설물에 대한 지진과 같은 예상하지 못한 작용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1988년 이전 건설된 도시철도 시설물의 대부분은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아 지진하중에 대해 취약할 수 있으므로, 내진안전성에 대한 검토와 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개착식 터널의 내진성능 향상을 도모하고자, 구조적 취약부분인 내측 기둥에 내진보강을 위한 새로운 FRP-연성재 적층복합체를 제안하였다. 적층조건에 따른 FRP-연성재 적층복합체에 대한 실험을 통해 재료물성치를 산출하여, 이를 근간으로 수치모델을 작성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제안된 보강재로 보강된 RC기둥의 내진성능이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섬유보강재의 적층조건 (연성재의 종류, FRP 적층수, 섬유배향각)에 따라 성능 향상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