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41.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수확시기와 횟수를 달리함으로써 생육과 경엽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회 수확시의 생육은 7월 16일과 7월 31일 수확에서 가장 왕성하였으며, 2회 수확시는 1회 수확시기가 빠를수록 양호하였다. 2. 상품 경엽수량은 7월 31일까지는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많았으나, 이후 10월 16일에서는 41% 수준으로 감소폭이 컸다. 3. 건물율은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4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근경 수확방법을 인력수확에서 생력기계화 수확기술로 개선코자 트랙터부착 굴취기 등 4종의 수확기기의 기계수확 효율을 비교,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생력시간은 인력에 비하여 경운기 경운 60%, 경운기부착 굴취기 64%, 트랙터부착 굴취기 67%절감되었다. 2. 근경의 손실율은 인력수확 13.9%, 경운기 경운 11.7%, 경운기부착 굴취기 9.8%, 트랙터부착 굴취기 5.1%로 기계수확에서 낮았다. 3. 상품 근경수량은 인력수확 3,032 kg/10a에 비하여 경운기 경운은 248 kg 감소하였으나, 경운기부착 굴취기와 트랙터부착 굴취기는 56kg, 320kg각각 증가되었으며, 총 근경수량은 인력수확에 비하여 기계수확에서 3-10%증가되었는데, 트랙터부착 굴취기는 10%의 증가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4. 경제성은 인력수확에 비하여 기계수확에서 13-27%높았으며, 트랙터 부착 굴취기는 27%로 가장 높았다. 5. 트랙터부착 굴취기는 생력효율, 상품수량, 총 근경수량 그리고 경제성에서 가장 높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나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3.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3요소 시비 적량을 구명하고자 3요소 시비수준을 무비구 등 3요소별 4수준으로 11조합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는 pH, 유기물, 마그네슘, CEC 그리고 EC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인산, 칼리 그리고 칼슘은 상반된 경향이었다. 2. 건엽중은 무비구 281kg/10a에 비하여 3요소 시비구에서 26~108kg가 많았으며, 건근중은 무비구 610kg/10a에 비하여 3요소 시비구에서 19~157kg가 많았다. 3. 2년생 삼백초의 3요소 시비적량은 질소 7.1, 인산 2.5, 칼리 4.2kg/10a이었다.
        44.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작물은 재배 환경이나 재배 년수, 생육 시기, 부위별로 약리성분 함량에 차이가 많은데, 본 연구에서 해독, 소종, 소변불리, 간염, 황달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삼백초를 퇴비시용량과 재배방법을 달리하여 생육상황, 수량 및 유효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백초는 퇴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지상부 생체수량이 높았으며, 유효성분으로 quercetin, quercitrin 및 tannin 함량을 분석한 결과 퇴비 2,000kg/10a 처리시 가장 높았다. 예취 회수별 지상부 수량은 년 1회와 2회 수확간 차이가 없었으며, 유효성분 함량은 년 2회 수확하였을 때 7월 16일에 비해 10월 16일 수확시 함량이 높았다. 재배방법별로는 노지재배시 하우스재배에 비해 지상부 생체수량은 낮았지만 quercetin, quercitrin 및 tannin 함량은 높았다.
        45.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oprevetiv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water extract on several tumor cells and Chinese hamster V79 cells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showed a higher cytotoxicity effect on the human histiocytic leukemia cells(U937)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cytotoxicity of HO.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may useful as potential soures of chemopreventive and antioxidative agents.
        46.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작물은 재배 환경이나 재배 년수, 생육시기 , 부위별로 약리성분 함량에 차이가 많은데, 본 연구에서 해독, 소종, 소변불리, 간염, 황달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삼백초를 생육 시기별 및 부위별로 유효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 시기별 quercetin, quercitrin 및 tannin 함량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 전까지 감소하다가 개화기 이후로 약간 증가 하였다. 7월 26일 수확했을 때 quercetin, quercitrin 및 tannin함량은 각각 5.72, 5.45g/kg 및 1.5%였다. 부위별 유효성분을 분석 한 결과 quercetin은 횐잎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고, quercitrin은 잎에서 가장 높았으며, tannin은 꽃에서 가장 높았다. 부위별 무기성분 함량은 꽃에서 K, Ca, Mg, Cu, Zn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횐잎에서는 K, Zn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으며, 잎에서는 Fe가 가장 많았고 뿌리 에서 는 Na가 가장 많았다.
        47.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생육 특성을 구명하여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정식 후 165일에 최고에 이르렀고, 건물율 및 엽면적지수 (LAI)도 29%와 4.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근경의 생육은 정식 후 165일까지 꾸준히 증가 하였고, 이후는 둔화되는 경향 이었다. 3.근경의 건물중은 정식 후 180일에 961g/m2로 가장 높았고, 건물율은 정식 후 150일에 26%에 이르렀으며, 이후는 증가되지 않았다. 4. CGR, RGR및 NAR는 정식 후 150일에 높았고, 정식 165일 이후는 CGR 및 RGR의 증가량이 둔화되었으며, NAR는 감소되었다.
        48.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향성 약용작물인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향기 성분 조성과 식물정유 함량을 조사하여 향료업과 관련된 다양한 식품첨가물 또는 향원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몇가지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삼백초의 향기성분은 22종으로 1,6-octadien-3-ol, 1, 3-benzodioxole, myristicin, α-cadinol, patchouene였고 조성은 alcohol류 6종, ester류 1종, ether류 2종, hydrocarbon류 11종, ketone류 1종, fatty acid류 1종이었다. 2. 구릿대의 향기성분은 14종으로 주요 성분은 3-carene, β-caryophyllene, β-cubebene, butylated hydroxytoluene, caryophyllene oxide, piperonal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1종, ester류 1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0종, aldehyde류 1종이었다. 3. 천궁의 향기성분은 16종으로 주요성분은 aristolene, benzocycloheptene, ylangene, valencene, β-cedrene, satene, and menthofuran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2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2종. furan류 1종이었다. 4. 삼백초, 구릿대 및 천궁 잎의 식물정유 함량은 각각 0.987%, 0.452%, 0.439%로 삼백초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49.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종근으로 사용한 부위와 마디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6~1997년 2년간 충북 농촌진흥원 시험포장에서 상위부, 중위부, 하위부를 각각 1마디, 2마디, 3마디씩 절단하여 분할구배치법 3반복으로 재식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근부위별 출아율은 중위부 재식에서 82%로 가장 양호하였고, 심는 마디수가 증가할수록 출아율이 향상되었다. 2. 중위부 3마디를 재식하였을 때 LAI도 3.10으로 높았고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도 가장 양호하였다. 3. 근경의 건물중 및 건물율은 중위부의 3마디 재식에서 821g/m2와 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건엽과 건근경의 수량은 중위부 3마디 재식에서 272kg/10a과 821kg/10a로 높게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