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4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효모에서 과 발현하는 Bax inhibior와 관련된 유전자를 동정하여 특성화 하였다. Yeast functional screening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은 환경에서 재배된 벼의 cDNA를 QX95001에 형질전 환하여 SD-galactose-Leu--Ura-배지에서 생성된 8개의 클론을 선발하였다. 그 중 AtBI-1과 같은 domain이 있는 D2-234를 포함하여 5개의 클론을 선발하였다. D2-243는 741bp의 염기서열과 24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고 5 membrane-spanning 단편으로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D2-234는 SD-galactose--배지에서 세포성장이 왕성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벼 식물에서 나타나는 세포예정사와 관련된 단백질을 선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2.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단백질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천연 조미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쌀단백질을 프로테아제로 효소분해한 배지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배양하여 제조한 효모 추출물(Yx)에, 효소분해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를 Bacillus licheniformis 혹은 Bacillus subtilis로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Rfl, Rfs)을 각각 첨가하였다. 쌀단백질 잔사의 발효물이 첨가된 효모추출물(YxRfl, YxRfs)의 전체적 선호도는 첨가전의 효모추출물(Yx)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쌀단백질 발효물의 보충에 의해서 감칠맛과 같은 풍미가 증가함을 미각센서 분석 및 관능검사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쌀단백질 잔사발효물에 의한 감칠맛의 상승은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이 외에도 쌀단백질의 발효에 따라 유리된 다양한 펩타이드 분획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감칠맛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가 함유된 쌀단백질 발효물이 보충된 효모추출물은 감칠맛과 풍미의 상승작용으로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부가가치 천연조미소재의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4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tochondria diseases have been reported to involve structural and functional defects of complex I-V. Especially, many of these diseases are known to be related to dysfunction of mitochondrial proton-translocating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The dysfunction of mitochondria complex I is associated with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uch as Parkinson's disease, Huntington's disease, and Leber’s hereditary optic neuropathy (LHON). Mammalian mitochondrial proton-translocating NADH–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is largest and consists of at least 46 different subunits. In contrast, the NDI1 gene of is a single subunit rotenone-insensitive NADH-quinone oxidoreductase that is located on the matrix side of the inner mitochondrial membrane. The gene using a recombinant adeno-associated virus vector (rAAV-NDI1) was successfully expressed in AML12 mouse liver hepatocytes. The NDI1-transduced cells were able to grow in media containing rotenone. In contrast, control cells that did not receive the gene failed to survive. The expressed Ndi1 enzyme was recognized to be localized in mitochondria by confocal immunofluorescence microscopic analyses and immunoblotting. Using digitonin-permeabilized cells, it was shown that the NADH oxidase activity of the NDI1-transduced cells was not affected by rotenone which is inhibitor of complex I, but was inhibited by antimycin A. Furthermore, these results shown that Ndi1 can be functionally expressed in the AML12 mouse liver hepatocytes. It is conceivable that the gene is powerful tool for gene therapy of mitochondrial diseases caused by complex I deficiency. In the future, I will attempt to functionally express the NDI1 gene in mouse embryonic stem (mES) cell.
        4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tomopathogenic fungus Aschersonia aleyrodis naturally occurred on citrus whitefly, Dialeurodes citri nymph was often observed in organic citrus orchards, Jeju. The genus Aschersonia is also known to be toxic against scale insects and other pes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artificial media for mass production of spores of Aschersonia species. Grains are excellent sources of media for mass conidia production of various entomopathogenic fungi. The yeast extract, which converts carbohydrates to carbon dioxides and alcohols, contains a large amount of vitamin B complexes which facilitate the carbohydrate metabolism. The more yeast extract content the more conidia production on artificial medium made from commercial corn flour and corn gluten feed. The number of conidium produced on oat, millet, sorghum, and unhulled barley medium containing 1% yeast extract were 1.8, 1.8, 1.6, and 2.1×1010/plate (90mm × 15mm), respectively. However, the greatest yeast effect among four media showed appeared on sorghum medium, which produced 25 times higher spore production than sorghum alone. Furthermore, the conidia from solid sorghum medium could be easily harvested with cell scraper.
        45.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단백질을 효소분해하여 제조한 배양액으로 천연조미소재로 사용할 효모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 공정조건을 조사하였다. 쌀단백질(5%, w/w)을 단백분해효소인 Delvolase®로 효소분해한 상등분획에 3%(w/w) 수준으로 포도당을 첨가한 배지 조건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 조건에서 2.3 g/L의 효모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효모에는 RNA가 188.1 mg/g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GMP 및 IMP는 각각 650.33±48 μg/g, 69±21 μg/g 함유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효모추출물에 효모배양액의 제조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Rrh)을 혼합하면 감칠맛이 상승하였는데 미각센서 분석기로 측정한 결과 효모추출물의 감칠맛이 4.88에서 Rrh의 첨가 후에는 9.25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에서도 감칠맛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효모추출물에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이 추가되면 효소분해 과정 중 생성된 다양한 맛 성분으로 인해 감칠맛이 상승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지므로 천연조미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6.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세포외 β-glucosidase를 생산하는 효모 37개 균주와 Lactobacillus 젖산균 5개 균주 중에서 세포외 β-glucosidase 효소활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zeae와 Pichia pijperi을 선발하였고, 2-MBQ와 2,6-DMBQ 생산을 위한 밀배아 발효의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P. pijperi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 2-MBQ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2,6-DMBQ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 0.02±0.01 mg/g 및 0.02±0.001 mg/g의 농도로 생성되었고 Lb. zeae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에는 발효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2-MBQ는 0.21±0.02 mg/g에서 0.28±0.06 mg/g으로 증가하였고 2,6-DMBQ 생성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효모와 젖산균을 동시에 사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했을 때에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이 경과한 후 2,6-DMBQ의 생성량은 효모 및 젖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MBQ의 농도는 0.39±0.06 mg/g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48시간이 경과하면 더욱 증가하여 0.46± 0.07 mg/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젖산균인 Lb. zeae 균주가 효모인 P. pjperi보다 상대적으로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두 균주를 동시에 사용하면 각 균주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al ions are essential to life. However, some metals such as mercury are harmful, even when present at trace amounts. Toxicity of mercury arises mainly from its oxidizing properties. Ionizing radiation (IR) is an active tool for destruction of cancer ce
        4,000원
        48.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기 육묘에 있어 초래되는 문제는 저온에 의한 생육부진으로, 본 시험에서는 식물의 생육을 촉진 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 미생물중 효모를 이용하여 그 처리방법과 시용농도가 저온기 고추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효모제제 시용에 의한 고추묘의 초장, 절간장, 생체중과 건물중 등의 생육이 유의성 있게 촉진되었다. 효모제제의 시용방법은 침지처리가 엽면시비보다 효과가 더 있었으며 처리농도는 1,000배 희석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3,000원
        4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strogenic activity of Cucurbita pepo seed extract which includes β-sitosterol and other phytosterols. Sample was extracted from Cucurbita pepo seed by supercritical carbondioxide method and resuspended with ethanol. Estrogenic activity was measured by recombinant yeast assay which detects estrogenic activity using recombinant yeast with high level of estrogenic receptor. However, estrogenic activity of pumpkin seed extract was not found in this study. Based on this data, pumpkin seed extract will not cause estrogenic disturbance.
        3,000원
        50.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was added (3, 6, 9%) during yeast bread preparation and its effect on product quality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ough pH increased as the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ntent increased. However, dough volume during ferment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samples. Bread volume decreased (p<0.001)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Also, as the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value of the crust decreased and the ‘a’ value increased, and for the crumb, the ‘L’ value decreased and the ‘a’ value increased. Textural property analysis indicated that hardness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However, up to the 6% level, there were no sensory attribute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4,000원
        56.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vious stud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bp140p (actin binding protein 140) fused to GFP has been only a protein that can label actin cables of yeast cells so far. However, the role of Abp140p in actin dynamics was remained elusive. In this study, the function of Abp140p was investigated with a deletion mutant and overexpression of GFP fused Abp140p. The deletion mutant was slightly more susceptible to Latrunculin-A (Lat-A), an actin-monomer sequestering agent, than wild type, although no significant deformation of actin structures was caused by ABP 140 deletion. Overexpression of Abp140p-GFP retarded cell growth, and produced thick and robust actin cables. Lat-A was not able to destabilize the thick actin cables, which suggests that actin dynamics was compromised in the cells with surplus of Abp140p. Therefore, Abp140p seems to stabilize actin cables together with other bundling proteins. Recently, actin cable dynamics of budding yeast was found to have a resemblance to that of filopodial tip of cultured mammalian cells. Retrograde movement of actin cables from buds to mother cells indicated local generation of the cable at bud sites. By using Abp140p-GFP, we traced the steps in the generation of a new actin cable after elimination of old cables by sodium azide. Before the appearance of a new actin cable, Abp140p-GFP concentrated in buds and disappeared, as mother cells became abundant in actin cables. Our observations provide a direct evidence of actin cable formation at buds of budding cells.
        4,000원
        57.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약용식물내 에스트로겐성과 항-에스트로겐성을 조사하고 항암인자를 발견하기 위하여, 본연구는 에탄올추출로 제조된 9종류의 한국산 약용식물에 대하여 재조합효모와 MCF-7 사람유방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스크리닝하고 비교하였다. 재조합효모를 이용한 실험결과, 7종류의 약용식물에서 에스트로겐성이 나타났고, 4종류에서 안드로겐성이 나타났다. 또한 MCF-7 사람유방암세포주를 이용한 실험결과, 8종류의 추출물이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스페놀 A와 동시 처치한 경우에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yeyrrhiza uralensis, Cassia tora, Syringa velutina, Zingiber officinale, Malva verticillata, Panax ginseng C.A. Meyer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서 에스트로겐에 양성인 사람유방암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티는 흥미로운 결과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한국산 약용식물이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항암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의 활성을 조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8.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식빵의 표준 묘사분석 절차를 확립하였으며, 그 결과, 식빵에서 23가지의 특성 묘사 용어를 선정하고 개발하였으며 평가 절차를 확립하였다. 개발된 표준 묘사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숙성온도와 배합비가 다른 4종류의 식빵에 대해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4종류의 식빵 간에는 23개의 관능적 특성에서 모두 유의전인 차이(p<0.05)가 있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개발된 식빵의 특성 용어와 그 정의 및 평가 기술이 종류가 다른 식빵의 관능적 특성의 차이를 잘 설명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식빵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원료와 제조 방법에 따른 식빵의 품질평가에 묘사 분석이 적용되고, 이 결과와 소비자 기호도 검사 또는 기계적 측정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4,000원
        60.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ignificance of cell ploidy and repair ability for the radioprotective efficiency of cysteamine was studied in DNA repair - proficient and repair - deficient yeast cells irradiated 60C0 γ-rays. Results have been obtained for the cell surviv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