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8

        4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라쉬모델을 적용하여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참여와 환경평가(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Children and Youth; PEM-CY)의 평정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5~13세 비장애 및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84명을 대상으로 PEM-CY의 자료를 수집하 였다. 원자료는 라쉬모델을 적용하여 PEM-CY의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 영역 척도(참여빈도, 몰입도, 환경적 촉진/방해요인)에 대한 평정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참여빈도 7점 척도는 가정 영역에서 3점 척도, 학교 및 지역사회 영역에서 4점 척도가 적합하였다. 몰입도 5점 척도는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 영역 모두 3점 척도가 적합하였다. 환경적 촉진/방해요인 3점 척도는 모든 영역에서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4점 척도는 학교 영역에서만 적합하였으며, 가정 및 지역사회 영역에서는 3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라쉬모델을 적용하여 PEM-CY의 영역별 측정 변수에 따른 평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새롭게 개발한 PEM-CY의 평정척도가 평가 과정에서 유용하게 적용되길 기대하며, 향후에는 다양한 대상자 및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활동참여 양상 및 환경적 촉진/방해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
        42.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K 지역 중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활용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실증 연구하였다. 중학생들의 인터넷 활용으로 인한 교육적 효과에 대한 방향과 실태를 살펴봄으로서 인터넷의 활용 방향에 대한 대안과 제안을 제시하려는 것 이다. 연구방법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계분 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교육목적으로 활용하는 내용은 학업과 과제를 수행하기위한 자료 탐색으로 대부분 활용하였고 그러한 연유로 인터넷은 중학생들에게 매우 유용한 교육 도구로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중학생들에게 인터넷 활용에서 교육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학력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고 느끼고 있었고 인터넷은 이와 같은 학습영역인 사고력 개발, 문제 해결능력, 자기통제능력에는 한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8,100원
        43.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자는 현대 청소년 사역이 현재 다양하게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는 청소년들이 교회를 계속해서 이탈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를 파악하였다. 이것은 그간의 기독교 교육학적이며 기독론 중심의 청소년 사역의 한계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교육학적이며 기독론적인 사역에서 벗어나 선교학적이며 성령론적인 청소년사역으로 청소년사역의 틀을 전환을 해야 하는 시기에 와있다. 이렇게 청소년 사역을 선교로 전환하며 성령론적으로 나아가기 위해 각각의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바로 남정우의 “미전도세대(Unreached Generation) 선교”1)와 바로 아모스 용(Amos Yong)의 성령론적 선교신학이다. 결국 이러한 용의 성령론적 선교신학을 통한 청소년 사역은 복음선포와 선한 사역 그리고 영적인 방법으로의 전도와 양육이 이루어져서 새로운 청소년 선교에 시대를 가져올 것이다.
        8,600원
        4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young people wearing hanbok are highly visible in the palace and in Hanok Village. However, there is much controversy regarding whether the hanbok the young people are wearing is traditional. Young people in Korea are exposed to hanbok through a variety of ways such as school education, games, webtoons, television shows, and movies. In this study, we presented teenagers with illustrations of hanbok to see which they preferred and which if any they recognized as traditional. The study respondents most preferred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but they considered the hanbok from the 20th century to be the traditional style. We next used text mining to analyze the students’ freely written, open-ended responses regarding the hanbok they preferred and the one they considered traditional.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the one the teenagers preferred, was a sexy, cool style related to gisaeng that emphasized the waist, whereas the hanbok they believed was traditional, the 20th-century hanbok, was simple, neat, comfortable, and plain. Among the young people’s responses regarding which hanbok was traditional, the text mining extracted the following repeated words related to both the 18th- and 20th-century hanbok: “dramas,” “mass media,” “historical dramas,” and “movies.” For the 18th-century hanbok only, we extracted “webtoons” and “Hanok Village,” and for only the 20th-century hanbok, we extracted “textbooks.”
        4,300원
        4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게임 엔진을 통하여 게임개발 전 과정을 경험해 볼 수 있는 게임창작활동이 청소년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효과적인 수단임을 검증하고자 한다. 기존의 게임창작활동들은 프로그래밍을 위주로 게임개발 과정의 일부분만에 치우쳐 있거나 단순화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를 통한 일회성 체험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게임 현업에서 사용되는 게임엔진을 기반으로 PBL(Project-Based Learning) 모형과 재구성 중심 모델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수업의 구성은 실제 게임창작 전반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한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스토리텔링, 그래픽 디자인, 프로그래밍 과정을 통해 게임을 제작하고, 제작한 게임을 출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게임창작활동이 교육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나타낸다. 실제적인 게임창작활동의 경험은 발전된 형태의 융·복합적 소프트웨어 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4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城北地帶』는 蘇童의 ‘참죽나무 거리 텍스트’ 중의 대표작으로 작가가 자신의 유소년 시절을 反芻하며, 상처와 결핍으로 얼룩진 성장과정을 復原해 낸 자전적 장편소설이다. 蘇童은 문혁이라는 억압된 사회구조에서 문혁이 개인의 삶에 어떻게 작동했고, 어떤 상처와 흉터를 남겼는가에 주목한다. 이는 문혁이라는 암흑의 터널 속에서 비정상적인 성장통을 겪어야했던 청소년들의 결핍과 상처에 대한 穿鑿으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가정과 학교,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방치된 채 방황과 일탈로 점철된 성장통을 겪는 청소년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그들 내면의 상처와 결핍, 고독과 소외, 좌절과 절망감을 고찰한다. 청소년 인물형상을 둘러싼 불투명한 잿빛 미래와 비극적 파국을 통해서, 蘇童은 청춘과 꿈을 박탈해가고 거세해버린 억압적 문혁의 시대와 그 역사적 과오와 상처에 대해 작가로서의 비판적 성찰을 보여준다.
        5,200원
        4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적 공간이자 상호작용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청소년 온라인 게임문화에 대해 다양한 논의의 시발점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심층적 고찰을 하였다. 특히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온라인 게임이용에 주목하여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적 변수는 무엇인지 알아보았고 아울러 일상문화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모든 문화는 일상에서 나온다. 일상이 모여 다양한 생활양식이 형성되고 전파되어 하위문화가 정립된다. 때문에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과몰입을 포함해 게임을 기준으로 발생한 다양한 사회적 현상과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일상에 주목하여 단순한 매체로서의 게임이 아닌 일상으로서의 게임과 관련된 문화기술적 연구가 절실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온라인게임 문화 연구의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여가문화를 포함한 청소년 일상문화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700원
        48.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 수련활동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해 만족도 향상에 관한 연구를 위해 현장조사방법을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다. 부산과 경상 남도에 소재한 총 10개의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 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과 경상남도의 청소년수련시설 이용실 태 및 개선점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이 수련활동에 참여하고 지도하는 지도사에 대한 요구와 요구도를 조사 분석 하였다. 셋째, 생활권 수련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들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시설이 청소년에게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를 수련활동에 전념하는 문화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시설의 적극적인 개선과 홍보가 필요하다. 수련시설에 있어서 는 직접적인 활용과 운영절차를 통해 문화인으로서의 청소년의 자부심을 높이고, 불편함 의 파악과 개선점 및 운영상 반영을 통해 청소년 문화의 메카로 자리잡기 위한 편의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부산과 경상남도 생활권에서의 청소년수련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는 각 지역의 청소년전문가, 학교교육자, 건축가 등 전문가의 행보가 수련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취미활동, 영상매체 이해 왈동, IT캠프활동, 장애청소년 의 스포츠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청소년의 주요 목표인 창조, 진보적 도덕, 미래를 위한 준비에 보다 다양하고 매력적인 시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지도사에 대한 재교육과 함께 다양한 활동 장비와 교보재를 친숙하게 해야 하며, 필요한 지도사를 위한 원활한 교수법과 재교육 시설이 필요하다.
        6,100원
        4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 성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모들의 코칭역량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검토, 정리, 분석하여 청소년 부모코칭역량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역량, 청소년 부모역량, 코칭역량 관련 문헌 및 기존 코칭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청소년 부모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여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예비문항 121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코칭 전문가 10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청소년 부모 20인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04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정리된 예비문항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경기, 충남, 경북 지역의 청소년 부모 20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의 30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수렴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성장역량, 자녀이해역량, 경청스킬역량, 실행촉진역량, 목표수립역량으로 명명한 최종 5개 요인 23개 문항의 청소년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6,100원
        5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우리나라 A교정시설에서 소년수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파악하여, 향후 관련 연구 및 유사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 소년수용자의 관리, 상담, 및 교육에 반영할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자아존중감의 향상이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발달상의 심리적 어려움 해소 및 교정시설 적응, 출소 후 재범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소년수용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전문 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소년수용자 상담 실시 전후의 자아존중감 변화 추이를 비교함으로써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전문 상담심리사에 의한 상담 프로그램 실시 결과, 참여한 소년수용자의 자아존중감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 타났다. 자아존중감 측정 척도로는 Coppersmith가 개발한 self-esteem inventory 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시행 전후 효과성은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자아존중감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의 하위척도인 자기표현, 자아인식, 가족 및 대인관계 모두 프로그램 참여 이후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상담에 참여한 소년수용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5,500원
        5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업 중단 과정과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업 중단 후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를 이용하였던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학업 중단 계기는 주로 학교 관련 요인과 가정 및 개인 관련 요인을 들 수 있었다. 이들의 학업 중단 이후 경험은 계획 없이 막연한 시간을 보내는 생활을 하거나, 학업 계획을 세웠지만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였다. 일부 청소년들은 학교를 그만 둔 후 가족 구성원들과 부정적인 관계가 형성되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일부 참가자들은 지속적으로 가족 구성원의 심리적 지지를 얻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자신의 처지에 대해 다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며, 긍정적인 진로 전망을 갖게 되었다.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에 대한 정보는 주변 지인이나 친구를 통해 얻거나 적극적으로 검색 후 얻고 있었다. 지인으로부터 정보를 얻은 청소년의 초기 경험은 부정적 선입견이나 자신에 대한 정보 노출을 꺼려 방문을 기피하지만 일단 방문 후에 호감을 갖고 센터 이용을 지속함을 알 수 있었다.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아 센터를 방문한 청소년들의 경우 바로 프로그램 참가를 결심하고 있었다. 이들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프로그램 중 고졸 자격 취득을 위한 검정고시 준비 과정에서 센터 선생님들로부터 칭찬과 격려를 받으며 도전의 의지를 키우게 된다. 그리고 문화체험이나 캠프 등 활동 참여 과정에서 또래 유대를 형성하기도 하는 등 심리적 지원 및 사회적 지지를 얻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체험을 통하여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탐색을 함으로써 진로 계획 수립에도 도움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000원
        53.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요리활동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방법 : 대상자들은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1급 진단을 받은 여성 3인이었다. 중재프로그램인 요리활동은 주1회 회기 당 5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요리활동에 대한 작업치료는 대상자들이 좋아하는 요리를 직접 만드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은 자리이탈, 불필요한 말하기, 지시를 따르지 않기, 다른 것에 관심보이기의 총 4개 항목에 대해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고, 매 회기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대상자 3인 모두 주의집중력 관련 항목들이 향상되었고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상호작용도 향상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결론 :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요리활동의 참여를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집중력 외에 긍정적 정서표현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여, 의미 있는 활동의 참여를 통한 중재가 지적장애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 및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54.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허영심은 청소년들이 어떤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주로 청소년 기 교육 과정에서 허영심 자체가 위험하기 때문이다. 청소년기는 성인기에 접어드는 준비기이다. 이 시기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그들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칭찬과 인정받고 싶어함, 자신의 우월성 과시, 권력 추구 등은 청소년기의 특징이면서 곧 허영심의 표현 양상이다. 무조건적인 권력의 경쟁은 폭력과 비극을 초래한다. 청소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은 바로 허영심의 결과물이다. 이런 문제를 피하고 청소년들을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소설을 활용한 청소년들의 허영심 치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김성한의 「개구리」는 개구리 세계의 우화를 통해 인간 사회의 비극을 보여준다. 독자들은 이 소설을 통해 권력욕망이 허영심을 유발 하는 원인이며, 허영심이 폭력과 비극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소설 중의 등장인물과 독자 자신을 비교함으로써 자아 성찰도 할 수 있다.
        6,400원
        55.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studies can now confirm that the body growth of youths aged 6 to 17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dietary habits and lifestyles in Korea. If the growth of youths increase continuously, many companies that make chairs for youths must prepare anything. Youth's chairs, which are being produced at present companies, are produced by companies with multiple data. Looking at this chair, it may not fit the body of youths of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esign dimension of the chair for that. In this research, we try to predict how the body of youths in the future will become bigger by using physical data of youths aged 6 to 17 years old. Then, using the predicted physical data, we will propose the dimensions of the design of the chair for youth.
        56.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을 원인을 조사하여 예방하기위한 청소년 활동 응용을 제안하고 현재의 정책과 내용 및 클럽 활동을 탐구하여 다양한 청소년 활동의 활성화에 대해 논의했다. 청소년의 자발적 참여는 청소년의 필요, 재능 및 직업 탐구 등 다양한 현장 기반 활동을 통해 활성화됩니다.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은 가상 세계에서 인터넷 게임에 빠져드는 실제 활동에 관심과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잠재력을 개발하 는 것을 선호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4,000원
        5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직장적응일치도가 경력성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청소년지도사의 조직일치도, 직무일치도, 그룹일치도가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조직몰입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청소년시설 39개소에 재직하고 있는 5년차 이하 초기경력 청소년지도사 17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속한 조직과 자신과의 일치도(조직-개인 일치도), 그들의 직무와 자신과의 일치도(직무-개인 일치도), 그들이 일하는 팀 또는 그룹과 자신과의 일치도 (그룹-개인일치도), 조직이 얼마나 지지하는지의 조직지원인식, 경력성공 변수로 조직몰입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SPSS v.22.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개인 일치도, 직무-개인 일치도, 그룹-개인 일치도 모두 조직지원인식을 부분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입직한지 얼마 안되는 초기경력 청소년지도사의 직장적응일치도가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그들 인식하는 조직의 자신에 대한 지원인식을 통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지도사의 경력성공을 향상하기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6,100원
        59.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lobal apparel market is estimated to increase from US$1,105 billion in 2012 to US$2,110 billion in 2025 (Statista, 2014), with women’s wear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55% of the total within the United Kingdom (UK) (Verdict, 2015). In 2013 and 2014 market research performed by Mintel identified the ‘shopping experience’ as one of the key factors in women’s shopping habits, noting that consumers aged 16-24, in particular, tended to browse online but to buy in-store, still seeing shopping for clothes as a day out with friends (Mintel, 2013). Nevertheless, the growing influence of social media was noted, and by 2015 this age group had overtaken the 25-34 year olds to become the main online clothes shoppers. Despite this, young people aged 16-24, all of whom potentially qualify as digital natives, still show a preference for shopping in-store (Mintel, 2015), although preliminary research indicates that more of them are now shopping alone than with friends. This suggests that there has been a shift in consumer shopping habits within the youth sector, with less importance being placed on the shopping experience. Given tha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media behaviours of the youngers aged between 18-24 with a particular focus on fashion consumption. Crowd sourcing has been identified as an emerging practice found in several sectors including fashion (Yeomans, 2013). Preliminary research suggests that the shift is just a perceived one and that technology savvy young fashion consumers are using smart-technology to upload ‘chelfies’ (‘selfies direct from the changing rooms’) to crowd source opinion about proposed purchases (Soar and Torn, 2015), using social media to replace ‘physical friends’ with ‘digital friends’. To explore this phenomenon further, this study employ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uses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ides evidence of crowd sourcing behaviours via social media, as well as indicates the complex communication mechanism that embeds within fashion consumption among the generation of the youth.
        60.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금융 이해력을 연구하기 위해 총 10회에 걸쳐 시 행된 경제금융이해력인증시험의 측정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국내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금융이해력은 2학년이 1학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 으나 2학년과 3학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제별로는 복리 이자 계산, 주식시세표 해석과 같은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 해결능력을 검증하는 문 제의 정답률은 낮았다. 반면 금융 상품의 종류를 분류하고 그 특성을 묻는 전형적 인 이론 문제의 정답률은 높았다. 문제 유형별 정답률은 계산형과 도표 해석형 문 제의 정답률은 평균보다 낮았으며, 상황분석형과 단순지식형 문제의 정답률은 평균 보다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현재 청소년들의 금융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금융 개념 및 관련 사고력에 대한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 함을 보여주고 있다.
        6,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