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

        61.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과서를 통해 쓰기가 실제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은 학생들의 쓰기 능력과 동기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과서의 쓰기 활동이 실제적인 맥락에서 실현되는지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활동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5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12종에 나타난 설득하는 글쓰기 단원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어교과서가 읽기와 연계해서 설득하는 글 쓰기를 지도하고 있어 쓰기ㅌ와 읽기의 소통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연계하여 제시 하는 읽기 자료의 유형이 다양하여 설득하는 글 쓰기 활동이 다양한 측면으로 강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쓰기 동기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적 맥락에서의 쓰기 가 중요하지만, 쓰기 맥락 요소 중 예상독자와 매체 분석 및 실제화는 다소 미흡한 양상을 보인다. 셋째, 쓰기 평가 단계를 제시하지 않는 국어교과서가 전체의 절반이었으며, 평가의 유형은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가 전부이다. 결국 교과서가 충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국어 교사의 보완이 발생할 것이며, 이는 국어 수업에서의 불필요한 편차를 불러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얻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추후 개발할 국어 교과서에는 설득하는 글 쓰기 단원의 학습 활동 이 실제적인 맥락을 반영하고 구체적 평가 과정을 지원하는 부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62.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국어 교사의 국어 수업 실연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수업 실연 역량 수준을 분석 하고 수준별 차이를 유발하는 역량 요소를 진단하여, 예비 국어 교사들의 수업 실연에 나타난 문제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 국어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4인의 현직 국어 교사가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기준별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이어 다국면 Rasch 모형 (Many-Facets Rasch Measurement, Linacre, 1989)으로 평가자, 수업 실연 평가 기준, 피험자 3국면을 적용해 각 국면에서 발생하는 변동성을 조정하여 평가자의 엄격성, 수업 실연 평가 기준별 난이도(difficulty)를 고려한 예비 국어 교사들의 국어 수업 실연 역량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실 제적인 수업 실연 역량 차이를 유발하는 수업 실연 역량 요소를 진단하기 위해 Rasch을 활용한 객관적 성취 수준 설정(Objective Standard Setting, OSS) 방법을 사용해 국어 수업 실연 역량을 기준으로 예비 국어 교사들을 4개의 수준별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수준별 집단의 차이를 검증해 국어 수업 실연 역량의 차이를 유발하는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수업 실연의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 매체 활용의 적절성’ ‘2. 국어 학습목표 제시’, ‘5. 설명의 적절성’, ‘12. 교사 화법 및 표현 능력’에서의 수업 실연 역량은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예비 국어 교사들은 ‘13. 학생 반응적 태도’, ‘9. 평가의 적절성’, ‘7. 학생 참여 촉진 및 유도’, ‘1. 국어 수업 동기유발’의 평가 기준에서 낮은 역량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13, 9, 7, 1번 평가 기준에서 4개의 수준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돼, 해당 평가 기준이 국어 수업 실연 역량의 차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실연에서 학생 중심의 맞춤형 수업 운영 부족, 활동 중심의 국어 수업 운영 미흡, 형성 평가의 시행을 통한 학생의 수업 목표 도달도 점검 부재 등이 주요 문제 양상으로 도출되었다.
        63.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어 관련 직업과 직업에서 많이 요구 하는 세부 전공 요건을 조사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광고언어학”, “언어와 시각 예술” 요건이 연결 중앙성 값이 높게 나타나 많은 국어 관련 직업에서 동시에 요구하는 요건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광고언어학”과 “신문방송학”이 사이 중앙성 값이 높게 나타나 국어 관련 직업들을 서로 이어주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요건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들 내용과 관련한 과목을 국어과 진로 선택 과목을 신설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선택 과목이 갖추어야 할 ‘위계성’, ‘총체성’, ‘실제성’, ‘완결성’을 다각도로 고려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지만,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탐색하기 위한 초기 연구로서, 추후 본격적인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64.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과서는 시대적 이념과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공식적인 지식 전달의 매체이다. 학습자는 교과목에 대한 첫 이미지를 교과서의 표지를 통해서 갖는다. 교과서 표지는 교과목에 대한 인지가 시작되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충분히 연구되어 오지 않았다. 초등학교 국어과는 언어 학습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더불어 창의적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초 교과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의 시각이미지에 대한 조형성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국내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국내외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의 시각이미지를 시각적 ⋅상관적 요소의 6가지 항목인 형상, 크기, 색채, 방향, 레이아웃, 배경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의 경우, 단일한 메인 오브제를 강조하고 제한된 색채를 적용하여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분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학습자의 창의력을 유발하기 위하여직 접적인 그래픽 모티브와 구체적인 공간과 상황의 묘사보다는 추상적 발상에 근거하여 시각이미지가 구성되어야 한다.
        65.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지도안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준거를 개발하고,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된 평가 준거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예비 국어 교사가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대하여 개발된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를 적용하여 4명의 현직 국어교사가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평가 준거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 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자 간 신뢰도와 평가자 내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가자가 수업지도안 설계 과정이나 수업시연을 함께 공유하며, 수업지도안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둘째, 평가 준거 적합도의 경우 평가 준거 1(국어 학습목표의 명료한 설정)만 1.58 logit으로 부적합한 (misfitting) 평가 준거로 판정되었다. 이에 평가 준거 1은 학습목표의 개수, 학습목표의 설정 및 진술 방식, 교수학습 내용과의 유관함 등을 타당하고 평가할 수 있는 준거 설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평가 준거의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점과 2점의 척도 사용이 많지 않았고 4점 척도의 경우 척도의 대표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의 척도 수준을 여기서 제시 한 5점보다 낮춰 상, 중, 하 등의 3점 척도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6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실연 평가의 준거는 수업 전문성에 대한 개념과 수업 평가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학습 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의 연계성’, ‘교실 상호작용’, ‘교사의 언어· 행동 자질’의 3가지 하위 요인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14가지 준거의 5점 척도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등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수업 실연 평가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어교육과 2학년 재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현직 국어 교사 4인이 수업 실연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국면 Rasch 모형을 근거로 제작된 Facets Minifa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실연 평가에 나타난 평가자의 엄격성 차이는 –1.34 ~ -.99 logit까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평가자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평가자 내 일관성은 내적합도 기준(0.5~1.5 logit)에 따라 적절한 점수를 부여하고 있음을 보였다. 수업 실연 평가 범주별 타당성에 대한 분석 결과, 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4) 피험자가 느끼는 곤란함은 모든 평가기준에서 동일하였다. 평가자와 평가기준의 편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편향은 도출되지 않아 평가 기준을 해석 및 적용하는 기준이 신뢰할 수 있음을 밝혔다. 평가 도구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2점 척도의 적합도에 다소 문제가 있으나 피험자와 평가자 수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므로 추후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추가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 수업 실연의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고 학교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6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gyung Im. 2017. Word Formation and Merge of Korean Personal Pronouns Based on Feature Agreement Theory and Distributed Morphology. Studies in Modern Grammar 96, 23-50.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ersonal pronouns in Korean have depended on the typological studies of English pronouns. I argue, in this study, that the recent theories of the Distributed Morphology and the Strongest Uniformity Hypothesis show the process of morphological formation of Korean pronouns and featural agreement in the process of their Merge. I also argue that the hyper structure of Speech Act Phrase is needed to license the computational process among the speaker, the hearer, and the arguments in the sentence.
        68.
        2017.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교육용 한자 제정을 위한 기본 사항에 관한 연구이다. 기금까지의 기초한자 1800자는 제정 과정에서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학생들의 어휘력 신장이라는 측면에서는 부족한 면이 많았다. 본고는 이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어 휘의 빈도를 조사하여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기초한자에 설정되어 있지만 국어 교과서에는 나타나지 않는 한자가 있었으며(佳, 却, 甘, 鋼, 皆, 慨, 更), 반면에 기초한자에는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빈도수가 높게 나타나는 한자(匣, 葛)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한자어도 발견할 수 있었다.
        69.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estion of how and where adverbs are licensed has relatively been discussed less vigorously. It will be argued here that though the hierarchy suggested in Cinque(1999) reflects the cross-linguistic order of functional heads, it leaves room for a revision for the so-called sentential adverbs and the adverbs modifying NP/DP found in English and Korean. Based on the observations in Bogal-Allbritten(2014) and Lee(2008), the licens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yntactic heads and adverbs suggested in Potsdam(1998) will be revised. Also, the hierarchy for adverbs suggested in 박(2000) will be slightly revised for the adverbs modifying NP/DP found in English and Korean.
        70.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현직 및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태도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 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쓰기 평가 태도 검사도구를 현직(33명) 및 예비 국어교사 (80명) 총 113명에게 투입하여 쓰기 평가 태도에 대한 반응을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쓰기 평가 태도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집단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직 국어교사에 비해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태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두 집단의 쓰기 평 가 태도는 모두 척도 평균보다 낮았다. 한편 쓰기 평가 태도 하위 요인 및 하위 요인의 각 문 항에 대한 집단 간 차이에서 쓰기 평가에 대한 경험과 관련된 요인 및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쓰기 평가의 경험이 쓰기 평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영향이 부정적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쓰기 평가 태도 형성을 위 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마련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71.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genre awareness among Korean language teachers. Accordingly, a survey and writing assessment for two sample papers were conducted with 43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 of survey and writing assessment for investigation is following: First, This study found 3 factors for the constructions of Genre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factors consist of awareness of explicit genre instruction, critical genre instruction and genre expansion. Korean language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both explicit genre instruction and critical genre instruction, however, Compared to an explicit genre instruction, Teachers are more positive response to critical genre instruction. but Given that the emphasis on a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Korean teachers not focus on the critical perceptions of the genre itself. and this genre awareness of instruction did not apply in the context of writing assessment. but genre awareness of expansion that means openness to different genre have a certain correlation with critical genre awareness and also contribute to assess the value of untypical text.
        72.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식기반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교육의 모습 역시 달라졌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디지털 교과 서의 출현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디지털 이주민 세대와는 다른 디지털 원주민 세대에 적합하게 개발 및 적용되어야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디지털 교 과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한계 를 보완해 나가며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연 구 중 국내 국어과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전반적인 연구 흐름과 일맥상통하며, 현재 국어과 디지털 교과 서 모형 개발 및 이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대상이 초등학교급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국 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연구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연구의 미흡은 대표적으로 국내 국어과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연구물의 수 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심의 부족은 향후 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및 활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많은 관심 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7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기 술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교과서가 실현하고 있는 다문화 관련 내 용들이 다문화를 어떤 방향으로 구현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국어교육에서 인식하고 있는 다문화관련 담론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비판적 담론의 관점에서 다문화 관련 담론의 기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 13종,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11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교육과정 내의 다문화 담론을 분석하고, 그를 통해 교과서를 분석할 관점과 방법을 도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특히 다문화성을 논의할 수 있는 핵심으로 설 정된 타자의 문제에 중점을 두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동일시에 가까운 타자는 한 정된 존재로 규정되어 있었고, 의도적 거리두기의 대상으로 설정된 존재는 그 거리감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규범과 질서를 강조하고 그것이 지켜지는 범주 속에서 다문화 담론이 이야기되고 있었다. 즉 ‘우리’라는 다수의 편향된 시각이 바라보는 ‘그들’로 다문화가 설정되어 있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7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validate the argument that SpeechActPhrase shell structure is needed to explain some constructions with modal expressions in English and Korean. Specifically, some epistemic modal constructions in English and –keyss-, -ullay, -la, -ca, and -ma constructions in Korean, with their speaker/hearer oriented meaning,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root modal constructions in their structure. This paper also shows that simple syntactic hierarchy does not fully explains the scope relations between modal constituents and other tense/aspect constituents.
        75.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거꾸로 교실에서는 학생들이 수업 전에 미리 동영상 강의를 보고, 수업 중에는 학생들의 활동이 중심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업을 하기 위해 교사는 핵심 지식을 추출하여 동영상 강의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수업 중에는 학생들의 활동에 대한 모둠별 지도 혹은 개별 지도를 해야 한다. 기존의 수업에 비해 교사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지만, ‘거꾸로 교실’은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학생의 미래 사회 핵심 역량과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신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의의가 있다. 국어과에서는 수업 중 학생들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면서, 글쓰기, 토론하기 등의 활동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을 적용하기 위해 국어 수업의 주요 변인 분석, 교수학습 과정 설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수업 실행 및 평가 단계별 요소와 유의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76.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결과 중심의 평가에서 학습 지향적 평가로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 국어교 과를 중심으로 국외의 온라인 형성평가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국어과 온라인 형성평가 시 스템의 발전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최근 학생평가 패러다임인 ‘학습을 위한 평가’와 ‘학습으로서의 평가’에 대해서 탐색하고, 이러한 평가 패러다 임에서의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우리나라 온라인 형성평 가 시스템의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Ⅳ 장에서는 향후 국어과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향후 국어과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 중점을 두어 개발되어야 한다. 첫째는 국어과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은 국어과의 세부 학습요소별로 문항을 제공해야 한다 는 것이고, 둘째는 학습순서도 및 학습요소별 강약점 피드백을 통해서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가 학급당 학생 수가 많은 우리나라 공교육 상황 에서 질 높고 만족도가 높은 학생 맞춤형 국어 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 보다 실효성 있는 방 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77.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행의 국어과 평가 개선의 방안으로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돕는 학습 지향적 평가 로의 변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2011년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에 따라 서 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는 교과서 형태인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여 그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교과서는 현재 2014년 전국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 과학 등의 일부 디지털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보급되면서 그 실현 가능성을 확인 중에 있다. 분명한 것은 현 시점은 학습자의 발달과 학교 및 교과 특성을 반영하면서 현행의 교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교과서의 모형 개발이 필요한 시기라는 점이다. 그리고 디지털 교과서가 반영해 야 할 교육 생태계의 주된 변화는 평가 체제의 변환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여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돕는 국어과 평가로의 전환 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하였다. 특히, 국어 학습자의 학업적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고 개별 학업 수준과 특성을 고려 한 교수적 피드백을 연계하도록 하여 본질적인 학업적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학 습 지향적 평가가 내재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모형의 실현태를 제안해 보았다.
        78.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reviews adjunctive characteristics of Pre-nouns in Korean. The contents discussed are as follows. First, previous studies on the Adjuncts and Specifier in NP. Second, adjunctive characteristics of Pre-nouns. Third, adjunction structure and levels of Pre-nouns in NP. In this paper, we will see the following three facts. First, demonstrative Pre-nouns is Adjunct. Second, Korean Pre-nouns are component of 'Structure island'. Therefore adjunctive characteristics of Pre-nouns shall be apply. Third, adjunction principle of Pre-nouns as a adjunct is proposed. In addition, the noun phrase structure is proposed.
        7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rgues for an operation in Korean, called N'-Ellipsis, also known as NP-Ellipsis (henceforth, NPE) under the DP structure, found in possessive constructions. Since An (2012) argues for a different analysis, namely, a pro analysis, instead of the NPE analysis, this paper mostly takes a careful examination of his arguments and contends that the pro analysis is not viable in favor of the NPE analysis. I show that An's claim that the NPE construction is derived from the multiple Case-marking construction is in fact way too weak. I further argue that the contrasts arising from the construction in ques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possessor raising and thereby ill-formed cases of NPE can be attributed to the widely assumed convention that bar-level category is blind to syntactic operations.
        80.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쓰기 채점 방식에 따른 국어 교사의 채점 신뢰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채점 방식 별로 총체적 채점, 분석적 채점, 주요 특성 채점(1, 2)의 네 집단에 각 4명씩 총 16명의 국어교사에게 고등학생의 비평문 20편을 채점하게 하였다. 그 결과 채점자내 일관성에 있어서는 분석적 채점을 시행한 채점자들이 가장 적합한 일관성을 보였으며 총체적 채점이 중간 정도의 적합성을, 주요 특성 채점 방식이 가장 낮은 적합성을 보였다. 채점자 간 엄격성의 차이를 의미하는 채점자간 신뢰도에 있어서는 총체적 채점에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인 반면 분석적 채점이나 주요 특성 채점 방식에서는 매우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볼 때, 각각의 채점 방식에서 비롯된 채점 신뢰도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채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