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61.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65.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국장 제조를 위한 분리균은 포자형성율이 높은 Bacillus subtilis로 대사력이 활발한 대수증식기의 것을 콩에 1, 000CFU/g 이상의 균수를 접종하여 40℃와 상대습도 90%에서 배양하면 발효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발효가 종료되면 포자형성율이 95% 이상 되어야 저온의 후숙과정에서 재번식이 쉽게 일어나지 않았으며 발효취는 발효 중에서만 형성되었다. 중립콩과 대립콩의 발효율이 가장 좋았다. 저온의 후숙과정은 5℃에서 1∼2일 후 경과하면 Bacillus subtilis는 더 이상의 증식이 일어나지 않고 발효취가 소멸되므로 저온의 유통과정을 거쳐야 불쾌취가 없는 구수한 청국장의 맛을 유지할 수 있었다.
        4,000원
        66.
        199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세대 반도체 배선분야에서, Cu박막은 현재의 AI을 대체할 물질로서 대두되고 있으며 CVD에 의한 선택적 증착은 Cu의 patterning과 관련하여 상당한 관심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fac)Cu(VTMS)의 유기원료를 사용하여, CVD공정변수, 운반기체, 표면 처리 공정에 따른 SiO2, TiN, AI기판에 대한 선택성을조사하였다. 선택성은 저온(150˚C), 저합(0.3Torr)에서 향상될 수 있었으며, 특히, HMDS in-situ-predosing공정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대해, H2운반기체가 Ar 보다 짧은 incubation time과 높은 증착 속도가 얻어졌으며, Cu입자들의 크기가 작고 연결상태가 보다 양호하였다. 이는 H2경우에 기판표면에 원료가 흡착되어 핵을 형성시키는 위치 (-OH)가 보다 많이 제공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미세구조의 차이는 H2경우에 보다 낮은 비저항을 얻게 했다. HMDS in-situ predosing공정에 의한 Cu박막내 불순물 차이는 없었으며 뚜렷한 비저항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4,500원
        67.
        1996.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이아몬드 박막을 이용한 반도체소자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다이아몬드가 아닌 다른 재료의 기판위에 대면적에 걸쳐 다이아몬드막을 에피텍셜 성장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 분야의 연구는 아직 초보상태로 그 목표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의 ECR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CVD에 의하여 대면적의 Si(100)기판상에 방향성을 갖는 다이아몬드막을 성공적으로 성장시킨 결과를 보고자한다. 지금까지 얻어진 최적 핵생성 공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 반응압력 10Pa, 기판온도 800˚C(마이크로파 전력이 3kW일 때), 원료가스 CH4/He 계로 농도비 3%/97%, 가스총유량 100sccm, 바이어스 전압 + 30V, 마이크로파 전력(microwave power)4kW, 바이어스 처리 시간 10분간이며, 성장단계에서의 증착공정 조건은 기판온도 800˚C, 원료가스 CH4/CO2/H2계로 농도비 5%/15%/85%, 가스 총유량 1000sccm, 바이어스 전압 +30V, 마이크로파 전력 5kW, 성막시간 2시간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 조건하에서 기판 면적 3x4cm2의 대면적에 대해서 약 2x109cm-2의핵생성 밀도를 균일하게 재현성있게 얻었다. 원료가스로 CH4/H2를 사용한 경우보다 CH4/H2를 사용할 경우에 라디칼밀도의 증가에 의하여 더 높은 핵생성밀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저압의 ECR플라즈마 CVD의 경우에는 양의 바이어스전압이 막의 손상이 없어 다이아몬드 핵생성에 더 적합하였다.
        4,000원
        68.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토양 중에 벼의 근권에 서식하여 벼에 협력적인 관계로 질소를 공급해 주는 질소고정 미생물인 Klebsiella oxytoca를 미생물 비료로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질소고정 균주의 육종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Klebsiella oxytoca NG13, Klebsiella oxytoca SH31, Klebsiella oxytoca SH161에 pMC71A를 형질전환 한 경우, 무질소 배지에서 원래의 균주의 질소고정력에 비해 질소고정력이 각각 6.4배, 17.2배, 13.5배 증진되었다. 2. 15mM의 NH_4^+ 존재하에서, Klebsiella oxytoca NG13, Klebsiella oxytoca SH31, Klebsiella oxytoca SH161의 경우는 모두 질소고정능의 완전한 저해를 받은 반면 pMC71A가 도입된 Klebsiella oxytoca NG13 /pMC71A, Klebsiella oxytoca SH31 /pMC71A, Klebsiella oxytoca SH161/pMC71A, 의 경우는 무질소 배지에서의 질소고정력에 비해 각각 13.7%, 7.7%, 6.2%의 질소고정 활성을 보였다.
        4,000원
        69.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among the representative probiotic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fermented food.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detect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AB,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mprove scavenging ac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of Kimchi-derived Lactobacillus plantarum K-21 with antihypertensive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optimal conditions for scavenging DPPH radicals were glucose 2%, bactopeptone 0.5%, Tween 80 0.05%, L-cysteine 0.05%, and an initial pH 6.5 at 35℃. Under optimal condition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94.8±2.2%, which wa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asic medium. In addition, L. plantarum K-21 had other antioxidant activities; ABTS radical scavenging (93.6±1.5%), hydroxyl radical scavenging (8.5±0.9%), metal chelating (65.9±0.5%), NO scavenging (53.1±19%), SOD-like (25.1±1.5%), and reducing power (11.7±1.4%) activities were detected. Therefore, L. plantarum K-21 may act not only as a starter for lactic acid-fermented food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but also as a drug for various diseases caused by oxidative stress.
        70.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의 무용전공 고등교육은 여전히 발전단계에 있다. 어떤 대학은 교육의 중점을 단순히 전공 지식 학습 측면에만 두어 학생들의 의지력 발전 등의 심리교육 문제를 소홀히 하고 있다. 학생들의 전공학습의지력이 발전하면 학생 개인에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전체 교육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는 중국 A예술직업학원 무용과 중에서 무작위로 30명의 3학년 학생을 선정하여 설문조사, 실험, 비교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로젠탈 효과의 지도에 따라 대학 무용전공 학생들의 의지력 발전문제에 대한 연구전개를 촉진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기대형성과 교사의 기대전달, 교사의 교정적 피드백 활동을 통해 교육의 주체인 학생들은 전문 학습에 대한 자신감 확립 에 주의를 기울이고 긍정적 경험 속에서 의지력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었다.
        7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새로운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화장품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항산화와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진 두 가지 성분을 혼합한 새로운 조성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가지 성분은 항산화와 멜라닌 생성억제 기능이 알려진 sulforaphane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알려진 PF-3758309이다. 각 성분 및 혼합 조성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여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를 결정하였다. 단독 처리 시 sulforaphane는 10 μ M까지, PF-3758309는 100 nM까지 세포독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화합물 10 μ M sulforaphane과 1 nM PF-3758309를 병합 처리 시 세포독성은 없었다. LPS 자극에 의해 생성된 일산화질소는 sulforaphane과 PF-3758309의 병합 처리시 현저히 감소되었다. α-MSH 에 의한 멜라닌 생성 역시 병합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화장품 소재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혼합 조성 시료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혼합조성 시료는 피부첩포에 의한 안전성 평가는 무자극으로 판정되었고, 피부밝기 증가효과와 피부 멜라닌 침착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혼합 조성물이 항산화와 미백 기능이 있는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조성으로 개발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72.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ochujang, a traditional Korean food, is fermented by mixing red pepper powder, various grain, meju and salt. Changes in the kind of ingredients and fermentation method could increase health functionalities. In this study, in vivo anti-colitis effects of gochujang prepared with mixed grains, bamboo salt baked 3 times and meju starters on DSS-induced colitis in C57BL/6 mice were studied. We prepared gochujang prepared with mixed grains (MG), bamboo salt, and Aspergillus oryzae (A) and Baccillus subtilis (B) mixed starters (MG-AB) and gochujang prepared with MG, bamboo salt and A, B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 mixed starters (MG-ABL). MG-AB and MG-ABL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 and colon length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MG-ABL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nterleukin-6 (IL-6) expression in serum compared to the control and MG-AB group (p<0.05). MG-ABL also regulated mRNA and protein levels of pro-apoptotic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and anti-apoptotic B-cell lymphoma-2 (Bcl-2) in the mice colon tissue (p<0.05). Therefore, MG-ABL exhibited the increased anticolitis effects by inhibiting damage of colon tissue, probably by regulating a pro-inflammatory cytokine of IL-6 and regulated apoptosis related gen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ochujang changed with good ingredients and starters had colitis preventive effects and might be due to active compounds in mixed grain and bamboo salt, and produced by L during the fermentation of gochujang.
        7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금(Scutellariae baicalensis)은 항염 작용이 뛰어나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약재로, 본 연구는 인삼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 (L. mesenteroides)을 이용해 황금 발효물을 제조하고 항산화와 미백 효과를 조사하였다. 황금 발효물은 황금을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L. mesenteroides를 접종하여 발효 제조하였다. 발효 전 황금과 황금 발효물에서 2가지 지표 성분 baicalin과 baicalein을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을 이용하여 retention times (tR)과 UV spectra를 확인함으로써 정성 및 정량 분석하였다. 세포 생존율 실험 결과, 발효 전후 황금 모두 독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은 발효물의 SC50 값이 34.43 μ g/mL로 발효 전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 도에서 흑색종 세포인 B16F10을 이용한 melanin 생성 억제 활성 실험 결과, 황금 발효물은 우수한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IC50 = 68.17 μ g/mL).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황금 발효물이 항산화 효능뿐만 아 니라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이 시사되었다.
        74.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xtraction conditions under which white ginseng has cognition-improving efficacy.Methods and Results: Extracts from white ginseng under different solvent and temperature conditions were analyzed for ginsenoside content and inhibitory effect on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d acetylcholinesterase.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s and amounts of ginsenoside Rb1 plus ginsenoside Rg1 from the 1st extracts (prepared with EtOH/H2O as solvent)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2nd extracts (extracted with H2O after the 1st EtOH/H2O extraction). The contents in the 1st and 2nd extracts produced at 80°C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btained at 50°C. Samples from the 1st extraction at 80°C indicated higher inhibitory activities on NMDA receptors-whose excessive activation is thought to mediate the calcium-dependent neurotoxicity associated with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eases-than those from the 2nd extraction. Among the samples prepared at varying temperatures, the extract prepared at 50°C showed the highest suppression activity on NMDA receptors. Note, however, that the extracts from the 2nd extraction at 50°C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whose inhibition could be a therapeutic strategy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with cognitive deficits and memory malfunction-more effectively than those from the 1st extraction.Conclusions: To enhance the cognition-improving activity of white ginseng extract, it is suggested that the extracts be utilized after being combined the 1st extracts (made with EtOH/H2O solvent) and the 2nd extracts (prepared with H2O) at low temperature.
        75.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erilla frutescens L. is a bisexual, annual plant belonging to the Labiatae. Dormancy period of Perilla seed usually ranged from 85-200 days. The germination enhancing effects in a reduced seed vigor during the GA3 treatment has been reported.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GA3 on germination rate and the expression of germination-related genes expression by using perilla seeds. Methods and Results : Three different cultivars (Saeyeopsil, Okdong) and accession (line 141) of perilla were used in the experiment and treated with GA3 at different concentration (50, 100, 300, 500 μM) for one day at dark condition. Germination test for perilla seed was carried out by using 100 perilla seeds treated with GA3 at 25℃. Rate of germination were evaluated after 10 days and the experi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in similar condi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cultivar and accessions for RNA extraction. After cDNA synthesis quantification, templates were subjected to RT-PCR using actin primers. EST blast performed for sequencing the RT-PCR products. Conclusion : Result showed that 100μM GA3 treated seeds of three perilla cultivars and accessions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However, concentration of GA3 over 100 μM and lower than 100 μM resulted into reduced germination rate. Furthermore, expression of germination-related genes from 100 μM treated GA3 was higher compared to untreated sample by using 100 μM GA3 treated sample by using pC12, pJ14 primers.
        7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rmanium treatment on the growth and organic germanium production in the roots of Oplopanax elatus plantlets. Methods and Results: O. elatus plantlets were cultured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ermanium dioxide (GeO2) to analyze optimum growth conditions. Exogenous treatment of 10 ㎎/ℓ GeO2 promoted growth and an increase in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 b and carotenoid in O. elatus. The germanium accumulation and production in roots of O. elatus plantlets treated with organic germanium reached the highest levels. The growth of the aerial and underground portion of O. elatus with organic germanium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accumulation and production of organic germanium reached the highest level (40.89 ㎍/plantlet) with the treatment of 50 ㎎/ℓ GeO2.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by DPPH and ABTS assays also increased with the germanium treatment and improved the DPPH and ABTS radical activity by 200%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In addition,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plantlets with a treatment of 50 ㎎/ℓ GeO2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Conclusions: Taken together, the growth of O. elatus was increased with the treatment of 50 ㎎/ℓ GeO2 germanium and the biological references improved, with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and organic germanium production.
        7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s and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The soybean sprout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ngth (more than 43.0%), the thickness (more than 0.5~0.7 mm), fresh weight (more than 2.9~3.7 g)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in vitro. In organic soybean sprouts farm, the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applied to mass culture of soybean sprout and the fresh weight of soybean sprouts increased by more than 25% and the yield was very high as 598.33%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of sensory test, there is no fishy odor and better crunchy texture and nutty flavor for the treatment soybean sprouts compared to untreated soybean sprouts. Particularly,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of the soybean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26.1% and 40.4%, respectively by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nsequently, the treatment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to grow soybean sprouts is also promoting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promoting the growth of sprouts. Therefore, chlorella is considered to be worth as functional materials for high-quality sprouts grown.
        78.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총 136명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며, 실험집단 67명과 통제집단 69명이었다.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그 내용은 ‘친밀감형성’ ‘자존감’, ‘사회기술’, ‘소속감’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는 학교적응유연성, 또래관계, 공감능력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대기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학교적응유연성이 유의하게 증진되었으며, 또래관계 및 공감능력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개발된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학교적응력을 높이며 또래관계를 증진시키며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7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쓰레기 줄이기 활동과 관련하여 환경심리학적 강화물이 환경태도 와 실천의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강화물 중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무엇이며, 환경심리학적 접근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J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70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수업 대상 학생들에게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환경 친화적 행동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환경심리학적 강화접근법은 환경태도와 실천의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시키데 사용한 강화물의 경우 즐거움이 가 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쿠폰 혜택, 명예, 현금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규범 활성화와 정적⋅부적 강화접근 및 환경 교육은 환경 친화적 행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함으 로써 환경 보호 기능이 가능하다.
        8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료맥류의 생산이 적은 중 북부지역에서 안정적인 조사료 최대생산과 사료가치 향상 을 위한 최적 혼파조합, 혼파비율, 재배법 확립을 위하여 연 구한 결과 트리티케일과 크림슨클로버 혼파에서는 건물수 량은 트리티케일에 크림슨클로버를 8:2의 비율로 처리한 혼 파조합에서 1,464 kg/10a로 가장 많았으며, 트리티케일이나 크림슨클로버 단파보다 혼파에서 수량이 많았다. 혼파 비율 에 따른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파종유형에 따른 수량차이를 보면 조파보다는 산파에서 수량이 많았다. 트리티케일과 콩과작물의 혼파조합 및 비율에 따른 사료가 치에서 조지방(CP) 함량은 크림슨클로버 단파구가 17.2%로 트 리티케일 단파구의 7.4%에 비해 높았으며, 트리티케일과 크림 슨클로버를 7:3의 비율로 혼파한 시험구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9.0%로 개선되어 트리티케일과 콩과 작물의 혼파에 의하여 단 백질을 포함한 사료가치의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