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0

        61.
        200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62.
        200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aster sintering curve (MSC) is derived from densification data over a range of heating rates and temperatures. To improve the accuracy, several modifications were proposed: multi-phase MSC for solid state sintering with phase changes, MSC for liquid phase sintering, and MSC with consideration of grain growth. The developed MSC models were applied to several material systems such as molybdenum, stainless steels, and tungsten heavy alloys (WHA),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paction pressure, phase change, grain growth, and composition on densification, to classify regions having different sintering mechanism, and to help engineer design, optimize, and monitor sintering cycles.
        64.
        200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수치적분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무요소 기법을 제안한파 저자들에 의해 페트로프-갤러킨 자연요소법(PG-NEM)이라 명명된 이 새로운 기법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델라우니 삼각화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BG-NEM이라 불리는 기존의 자연요소법과 개념적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동일한 시험 형상함수와 시도 형상함수를 선택하는 BG-NEM과는 달리, PG-NEM에서는 지지영역이 적분을 위한 배경격자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시험 형상함수를 독립적으로 선택하는 페트로프-갤러킨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제안된 기법은 BG-NEM과 비교하여 수치적분 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6.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사고양식 유형에 따라 두 집단이 가지고 있는 지구과학 개념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교 1학년 120명과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총 65문학의 자기보고식 사고양식 검사와 서술형 지구과학 개념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학생은 입법적, 사법적, 무정부제, 전체적, 진보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여 새로운 과제를 선호하고 자기 자신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일반학생은 행정적, 과두제, 보수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여 이미 짜여진 구조나 지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 모두 Type I 사고양식의 학생들이 Type II 사고양식의 학생들 보다 지질학 분야와 천문학 분야 공통적으로 심도 있고 복합적인 개념을 나타내었다.
        4,200원
        6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기와 물의 순환 개념에 대해 과제 상황(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에 따른 지식의 출처와 응답에 상황 의존성이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황 의존성과 학습자의 인지 양식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과제 상황에 따른 지구과학적 문제 해결 검사지와 인지 양식 검사지(GEFT)가 사용되었다. 지구과학적 문제해결 검사 문항은 동일한 개념에 대해 과학적 상황 10문항, 일상적 상황 10문항으로 총 10쌍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검사 문항은 지식의 출처를 선택하는 하위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상황에 따른 학생들의 지식의 출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과학적 상황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학교에서 과학수업시간’을 그리고 일상적 상황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이 주된 지식의 출처였다. 둘째, 과제 상황에 따른 응답의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상황에서 일치하는 응답 수를 일치 점수로 나타내어 비교한 결과, 불일치 점수가 일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p〈.01). 따라서 과제 상황에 따른 응답은 일관성 없으며 상황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의존형 학생은 장독립형 학생에 비해 일치 점수가 낮음을 보였는데 이는 인지 양식에 따라 상황의존성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68.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지구과학 전공 교들이 몇 가지 지구과학 개념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이해유형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한 개념은 저기압에서의 바람, 해류의 서안강화, 편서풍 파동, 온실효과, 오존층 그리고 대기압이며 중·고등학교 지구과학 전공교사 26명이다. 조사의 결과는 중·고등학교에서 교사들이 이들 개념을 학습지도할 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습의 객관적 자료의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구과학 전공교사들도 이 연구에서 선정된 몇 가지 개념에 대하여 학생의 학습지도에 부족한 여러 가지 이해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유형 중에는 오개념들도 포함하고 있음을 알았다. 교사들은 저기압에서의 바람에 대하여 경도풍과 관련된 이해유형을, 서안강화에 대해서는 지구자전과 관련된 오개념을, 편서풍 파동에 대해서는 각운동량 보존과 관련된 오개념을, 온실효과에 대해서는 주된 온실기체와 관련된 오개념을, 오존층에 대해서는 지표부근의 오존기체 생성과 관련된 오개넘을, 그리고 대기압에 대해서는 대기압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과 관련된 오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에서 발견된 교사의 여러 가지 이해유형은 지구과학개념의 힉습지도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69.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계절 변화에 관련된 개념 유형을 분석하고, 관련 개념들에 관한 토의에 의해 인지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을 강조한 발생학습 전략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절변화 관련 지구과학 개념 유형은 100가지 였으며, 그 중에서 66가지는 오개념을 포함한 비과학적 개념 유형이었다. 계절변화에 관련된 개념 평가도구는 R&D과정과 2번의 현장검증을 거쳐 개발되었다. 실험집단에는 지구과학개념 유형과 인지갈등을 반영한 4단계의 발생학습 전략을 적용하였다. 한편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 학습 전략을 적용하였다. 유의수준 .05에서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계절변화와 관련된 오개념을 지구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키는 데 발생학습전략이 하나의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300원
        7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포트폴리오를 과학 수업에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과학 개념의 조직과 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경기도 평택시 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고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 실험반에는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수업을, 그리고 비교반에는 일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포트폴리오의 적용 효과는, 학생들의 마인드맵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참여한 학생들은 마인드맵 작성을 위한 기초훈련을 거친 후에 지층과 화석, 열과 물체의 변화 단원을 학습하는 동안 4번의 마인드맵을 작성하였다. 마인드맵을 채점하여, 그 결과를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학급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개념의 조직과 양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의미있는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학급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급의 학생들보다 개념을 균형있고 위계적으로 조직하고, 학습한 개념의 양도 더 풍부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7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per ways of implementation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concepts applicable to the current Korean food inspection system.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based on an in-depth review of the Canadian Food Safety Enhancement Program (FSEP), which is one of the leading HACCP programs adapted to the food industry. Since 1997, the HACCP system has been voluntarily applied to meat processing plants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Food Protection Law. But the guidelines are obscure and inadequate to expand to the diversity of food plants, and are therefore only applied to a limited number of plants of small scale enterprise.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nhanced food safety control program focused not only on the HACCP plants but also on the non-HACCP plants. The national program should be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a food safety control policy enforced by all the relevant authorities. The Prerequiste Program of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and 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SOP) of FSIS are good example programs for the non-HACCP plants. These programs, which are a major part of the HACCP system, could easily be adapted to the Korean food industry. To improve the current HACCP implementation guidelin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tailed implementation manual, generic HACCP model, training program, and an audit program.
        4,200원
        73.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engyo-jang has some characteristics as the most great house, the special functions, and the non-regional type of house form. And it has constructed continuously for two centuries by many owners in the different generations, It needs a special research method ; which are consist of a) comprehension of background information from documents and oral instructed materials, b) pursuit of design process through the building survey, and c) theoretical interpretation about 'collectivism'.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revealed that the architectural purpose of this house was constructing 'a great manor'. At first phase, it had been a single ordinary house, at second, it had expanded to a complex including many housing clusters, and finally became to expand its dwelling territory into whole village. Its expansion was progressed by the four collecting phases of which were building, building cluster, group of clusters, and topological setting. Main design elements operated in each of collecting phases ; they were partial element of <Ondol+Floor>, exterior spaces of <Madang>, a linear building of <Haenglang>, and a pavilion of (Hwalleajeong>. The last two elements were also powerful datum.
        5,200원
        7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ype of student's misconceptions on earth science concepts and its sources in grades 7 to 9. The test questionnaire was develpoed to investigate their misconceptions to the selected stud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sellected students had the various types of misconceptions on earth science concepts. 2) There were no grad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the misconceptions. 3) The sources of student's misconceptions were resulted from the poor development of cognitive structures,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s, the error of information processing. 4) The misconceptions were not changed and corrected easily.
        5,400원
        79.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 studies about students' intuitive ideas in earth science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classical and actional views, according to researchers perspectives on prior knowledge. The topics of the studies reviewed here are $quot;the earth and the sun$quot;, $quot;earth science$quot;, $quot;season$quot;, $quot;air pressure$quot;, and $quot;water in the atmosphere.$quot; Several intuitive ideas showed quite strong stability across task context. Cultural influence on a few intuitive ideas were reported and should be studied further. Students may commonly hold various intuitive ideas about some instruments used for instruction. For example, humidifier may be used for the relative humidity class. Students views about humidifier seems to b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eachers, and should be studied further.
        4,000원
        80.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