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9

        64.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圃場)에서 월동(越冬)하고 있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 균핵(菌核)의 밀도(密度)와 그 활성(活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1986년(年) 12월(月)에 이리(裡里), 나주(羅州), 진주(晋州), 대구(大邱)의 포장(圃場)에서 균핵(菌核)을 채집(採集)하여 발아력(發芽力)과 병원성(病原性)을 조사(調査)하였다. 균핵(菌核)의 밀도(密度)는 이리(裡里), 나주(羅州), 진주(晋州), 대구(大邱) 지역(地域)이 각각(各各) ha당 였으며 지역(地域)에 따라 그중 (평균(平均) 60%)가 발아력(發芽力)이 있었고 발아(發芽)된 균핵중(菌核中) 평균(平均) 49%가 벼품종(品種) 진흥(振興)에 병원성(病原性)이 있었다. 따라서 발아력(發芽力)과 병원성(病原性)을 동시(同時)에 가진 균핵(菌核)의 비율(比率)은 전체균핵(全體菌核)의 29%였다. 균핵(菌核)으로부터 분리(分離)한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은 배지(培地)에서의 균총형태(菌叢形態)에 따라 3가지 유형(類形)으로 대별(大別)되었으나 유형(類形)이나 균핵(菌核)의 크기, 균핵형성량(菌核形成量)은 진흥(振興)에 대(對)한 병원성(病原性)과 아무런 상관(相關)이 없었다. 10%의 편차(偏差)안에서 평균균핵밀도(平均菌核密度)를 95% 신뢰(信賴)하기 위하여 필요(必要)한 단순임의(單純任意) 표본수(標本數)는 이리(裡里), 나주(羅州), 진주(晋州), 대구(大邱)에서 각각(各各) 41, 132, 232, 395개소(個所)로 산출(算出)되었다.
        4,000원
        65.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1년도 사과 흰빛 썩음병(白腐病)의 발생은 지역에 따라 5%에서 16%에 달하였으며 평균발병 과율은 9%였다. 사과에서 분리한 병원균을 사과, 배, 복숭아, 포도의 잎, 가지, 과실에 상처 접종하였을때 접종 부위에 병반이 형성되었다. 병원균의 영양 생장은 감자설탕 한천배지와 귀리즙 한천배지에서 모두 좋았으며 특히 온도 , pH 4, 당도 의 광조사하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사과의 이병과실은 8월 초순에 포장에서 처음 관찰되었으며 이때의 과실 당도는 9.0%였다. 그 이후 과실의 당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병과실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과실의 이병정도와 과일즙내 산도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사과 과실의 이병시기를 과실을 일정기간동안 노출하는 방법으로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 과실의 이병은 과실이 형성되기 시작한 6월초순부터 가능하였다. 과실의 숙기별로 포장에서 과실을 채집하여 실내 유상접종 하였을때 접종 과실은 과실의 숙기와 상관없이 모두 병만을 형성하였다. 포장에서 병 발생 정도를 품종별로 조사한 결과, 골덴데리셔스, 육오가 가장 많이 이병되었고 조나단, 레드데리셔스가 가장 적었으며 아오리, 후지, 인도는 중간이었다.
        4,000원
        66.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韓國)에서 발생(發生)하고 있는 흰잎마름병균의 병원성(病原性) 변이연구(變異硏究)는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에 의한 일본(日本) 분류체계(分類體系)를 이용(利用)하여 전국적(全國的)인 균형(菌型)의 분포상태(分布狀態)를 조사(調査)하여 왔으나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을 사용(使用)한 균형분류(菌型分類) 결과(結果) 동일(同一) 균군중(菌群中)에서도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에 따라 상이(相異)한 반응(反應)이 나타나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을 이용(利用)한 균형분류(菌型分類)가 부적합(不適合)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을 한국(韓國)에서 증식(增殖) 보존(保存)할때 출수(出穗)가 늦거나 도복(倒伏)에 약(弱)하여 채종(採種)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한국(韓國)에 알맞는 판별품종(判別品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한국품종중(韓國品種中)에서 선발(選拔)된 밀양(密陽) 23호(號), 청청(靑靑)벼 등(等) 7품종(品種)과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을 각(各) 균주별(菌株別)로 접종(接種)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우리나라 흰잎마름병균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과 이병성반응(罹病性反應)이 뚜렷하고 저항성유전자(抵抗性遺傳子)가 다르다고 추정(推定)되는 품종중(品種中)에서 밀양(密陽) 42호(號), 한강(漢江)찰벼, 풍산(豊産)벼, 청청(靑靑)벼, 밀양(密陽) 23호(號)가 한국(韓國) 흰잎마름병균의 병원성(病原性) 변이판별(變異判別)에 적합(適合)한 판별품종(判別品種)으로 선발(選拔)되었다. 우리나라 흰잎마름병 병원균(病原菌)의 병원성(病原性)은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의 반응(反應)에 의하여 I, II, III, IV, V 균군(菌群) 등(等)으로 분류(分類)되어 왔으나 한국판별품종(韓國判別品種)의 반응(反應)에 따라 Kl, K2, K3, K4, K5 레이스로 명명(命名)하였다.가 높았다. 5. 매몰병원균(埋沒病原菌)의 살균효과(殺菌效果)는 하우스-턴널-단열구(斷熱區)에서 15cm 깊이까지는 처리(處理) 7일간(日間)에 사멸(死滅)했고 20cm 깊이에서는 Pythium균(菌)과 Fusarium균(菌)을 제외(除外)하고 모두 14일간(日間)에 사멸(死滅)하였다. 6. 최고(最高)에 달(達)했다가 최저(最低)에 이르는 온도(溫度)의 반복적(反復的)인 파동(波動)이 있는 것에서 없는 것보다 단시간(短時間)에 사멸(死滅)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볼 때 하기고온기(夏期高溫期)의 재배(栽培) 휴한기(休閑期)에 PVC film을 사용(使用)하여 하우스를 밀폐(密閉)하거나 턴널을 만들어서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토양소독(土壤消毒)의 가능성(可能性)이 충분(充分)히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종합적(綜合的)으로 볼 때, diazinon 과 decamethrin의 처리(處理)는 포장(圃場)에서 벼멸구의 산란력(産卵力)과 성충수명을 증대(增大)시키고, 식이활동(食餌活動)을 촉진(促進)함으로서 벼멸구의 resurgence를 유발(誘發)하고 아울러 수도체(水稻體)의 hopperbun을 가속화시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점차 약하여 졌으나 catalase, invertase는 그 활성도가 일단 숙성중기에 높아졌다가 낮아졌다.n 이 pH 4.2이고 temperature는 이었다. 그리고 5'-phosphodiesterase 생성에서 최적 탄소원은 sucrose이고 질소원은 이고 corn steep liquor나 혹은 yeast extract를 각각 0.01%씩 첨가한 구는 첨가하지 않은 control 구보다 20%의 5'-phosphodiesterase 생성 증가를 나타 내었다. 이 균이 생성한 5'-ph
        4,000원
        67.
        197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발에 의하여 얻은 벼 흰빛잎마름병균 Xanthomonas oryzae의 Streptomycin 내성균에 대하여 병원성, 배지내에서의 생장량 및 자외선 감수성에 대한 변이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M 내성균은 Wase-Aikoku-3, Rant Emas-2 황옥 및 Kimmase의 4개 판별품종에 대한 병원성 비교에서 75-6의 내성균주가 황옥에 대하여 감수성 반응이 모균과 달리 중정도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2) SM-내성균은 정상배지에서 모균보다 약간 높은 생장량을 보였고 100ug/ml Agrepto 첨가 배지에서는 접종후 60시간까지 생장이 조지되었으나 70시간 이후에는 모균의 생장량을 능가하였다. (3) SM-내성균은 254mu 파장의 자외선 조사에서 모균과 동일한 감수성을 나타내어 내성인자는 안정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68.
        197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흰빛잎마름균을 이용하여 Streptomycin 계약제인 Agrepto에 대한 내성형질의 선발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용된 약제 Agrepto는 에서 20분간의 온도처리에서 약제의 안정성을 보였다. 2) 서로 다른 지역균주인 75-6 및 75-9 묘주는 선발영제농도 10ug/ml 및 100ug/ml에서 상이한 내성력을 나타내는 내성균이 선발되었다. 3) 저농도인 10ug/ml 및 100ug/ml의 선발농도에서도 10,000ug/ml에서 생장이 가능한 내성균이 선발될 수 있었다. 4) 전세대 100ug/ml에서 선발하고 재차 3,000ug/ml에서 선발된 선발균주는 처리농도 100ug/ml에서 무처리와 동일한 생장량을 보였다. 5) 자연집단의 균주 75-9를 100ug/ml에서 선발한 이들 분리균주는 내성 정도에 있어서 500ug/ml 이하, 500-1,000ug/ml 및 1,000-3,000ug/ml의 내성을 나타내는 몇단계의 내성력 정도가 상이한 균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4,000원
        69.
        197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벼흰빛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계통선발에 필요한 인공접종법 개발을 위해 시도한 것으로서 병원균의 접종농도와 식물체의 노유가 본병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중점을 두었다. 일정한 환경조건하에서 본병에 대한 식물의 감수성은 식물의 묘령이 어릴 때 일수록 예민하게 나타났으며 식물의 생장과 더불어 점차 둔감해지는 경향이었다. 파종후 14, 37, 48 및 58일째 되는 식물에서 본병에 대한 저항성과 이병성 계통을 선별할 수 있는 병원균의 적정농도는 각각 및였다. 어린 식물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농도의 접종액은 식물의 품종에 관계없이 단시일에 고사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묘령이 많은 식물에 대해 일정수준 이하의 세균접종농도를 적용했을 때는 식물의 품종간 특성을 구별할 수 없었다.
        4,000원
        71.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의 병원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생리적 성질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시균주로는 가지과작물인 도마도(7), 가지(3), 고추(6),에서 분리한 16균주를 공시하였다. 2. 탄소원에 따른 분해에서는 Glactose는 16균주가 전부 이용하였으나 Saccharose, Lactose, Starch는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이외의 탄소원에서는 균주에 따라 이용 반응이 각기 틀렸다. 3. 균주에 의한 탄소원의 산도변화에서는 Glucose, Saccharose, Raffinose, Starch는 산성을 나타냈으나 Galactose, Salicin, Lactose, Dextrin, Mannitol, Esculin은 알카리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4. 생리적성질에서는 Gelatin 반응에서 균주에 따라 용해정도의 차가 나타났으며, methylene blue에서는 환원균주토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이외의 반응에서는 같은 성질을 보여주었다.
        4,000원
        72.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흰빛잎마름병의 병원균의 생리적 성질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곁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시균주로는 본 병리 연구 담당관실 보존균주 및 일본, 비율빈에서 분양받은 균주와 최근 IR 계통품종과 이병성 품종에서 채집 분리된 10균주를 공시하였다. 2. 탄소원의 분해 및 산도변화에서는 Glucose, Galactose는 모든 균주가 이용하였고 Esculin, Mannitol, Raffinose Salicin, Saccharose는 몇몇균주가 이용했으며 lactose, Starch, Dextrin은 이용하지 못하였다. 3. 시험에 사용된 공시균주는 유화수소 및 암모니아를 생성하였으며 methylene blue 환원시험에서는 환인이 일어났으며 인돌생성은 하지 않았고 젤라틴은 서서히 액화시켰지만 균중간에는 액화정토가 서로 차이가 났으며 우유의 소화 및 응결은 없었으며 리트머스 우유를 청변시켰다.
        4,000원
        73.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essential oils on pH, pathogens, and volatile fatty acids (VFA) in two poultry litt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lab study. Essential oil-added poultry litters were randomly divided to two groups: control (200 g poultry litter) and Treatment (50 g thymol/Briefly, 200 g broiler litter was treated with or without 50 g thymol (Control and T1, respectively; 1 groups) and 200 g duck litter was treated with or without 50 g carvacrol (Control and T2, respectively; 2 group). Adding thymol to broiler litter increased the pH, reduced pathogens, and did not affect VFA. Interestingly, adding carvacrol slightly reduced the pH of duck litter,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pathogens and VFA. This difference is probably because the essential oil used and the properties of the two litters are different. In addition, pH was thought to control the odor generated from the litter, but this has not been proven. Further field studies should focus on clarifying this point.
        7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lants cultivation is hindered by root rot, a major disease caused by the soil-born fungi. The ginseng-cultivated soil is one of the nutritious habitats for soil-borne microorganisms. Bacteria from ginseng-cultivated soil can increase plant growth by supplying nutrients and hormones as well as protecting against pathogenic fungal infections and induced systematic resistance. Methods and Results : The novel species DCY115T was isolated from ginseng-cultivated soil in Gocha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The isolate was assigned to the genus Paraburkholderia due to its 16S rRNA gene sequence closely proximity to P. xenovorans LB400T (98.8%). Strain DCY115T is gram-negative, facultative aerobic, rod-shaped, non-flagellated, oxidase and catalase positive. The predominant isoprenoid quinone is ubiquinone Q-8. The genomic DNA G + C content is 61.3 mol%. Phenotypic tests and chemotaxonomic analysis place strain DCY115T in the genus Paraburkholderia. DNA-DNA hybridization values between strain DCY115T and closely related reference strains were lower than 51%. The DNA relatedness data in combination with phylogenetic and biochemical tests showed that strain DCY115T could not be assigned to any recognized species. Finally, strain DCY115T showed the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ies of siderophores production, phosphate solubilization, and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root rot fungal pathogen Fusarium solani (KACC 44891T) and Cylindrocarpon destructans (KACC 44660T). Conclusion : The results support the novel strain DCY115T as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against root rot fungal pathogen within the genus Paraburkholderia for which the name Paraburkholderia panacihumi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DCY115T (= KCTC52952T = JCM32099T).
        75.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dried ripe fruits, leaf and root of boxthorn are widely used for medicinal purposes and as a functional food. Among them, frut is the most susceptible to anthracnose in the open field. Currently, there are only 5 fungicides registered in boxthorn anthracnose. In addition, resistance to fungicides caused by frequent use occurred in many open field, Therefore, a study on the fungicide resistance of boxthorn anthracnose was needed. Methods and Results : In 2017, collected anthracnose from boxthorn fruit. The collected samples were isolated by a single spore isolation method and 20 isolates of Collectotrichum spp. were obtained To test for anthracnose fungicide resistance, propineb, tebuconazole, azoxystrobin and pyraclostrobin fungicide were used. Monitoring for fungicide resistance of Collectotrichum spp. causing boxthorn anthracnos to test fungicide were conducted by agar dilution method. The assay concentration were control, 0.01, 0.1, 1, 10, 100 ㎍/㎖ and strobilurin group of azoxystrobin and pyraclostrobin were treated salicylhydroxamic acid (SHAM) to the alternative breath suppression at a concentration of 100 ㎍/㎖. In the result, Prevention of fungicide propineb was more than 100 ㎍/㎖ of EC50, and tebuconazole was less than 1 ㎍/㎖ except for 1 isolate of EC50 azoxystrobin and pyraclostrobin showed a difference even though they had the same mode of action. Azoxystrobin showed almost no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except 6 isolates and remaining 6 isolates had EC50 of less than 1 ㎍/㎖, pyraclostrobin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EC50, 6 isolates were less than 0.1 ㎍ /㎖ and 14 isolates were more than 1 ㎍/㎖. Conclusion : In summary, response to fungicides of anthracnose, azoxystrobin of strobilurin group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fungicide. As these fungicide resistance continues to develop, we plan to register a new anthracnose fungicide and improve the control method.
        7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cinal plants in Korea, but its yields are often reduced by a variety of root pathogens. The root rot of ginseng is a destructive soil-borne disease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teleomorph: Ilyonectria radicicola). Methods and Results : Ilyonectria radicicola and its Cylindrocarpon-like anamorph represent a species complex that is commonly associated with root rot disease symptoms on virulence.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several specie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I. radicicola sensu stricto based on morphological and culture characteristics. As results of investigated culture characteristics, optimal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isolates were 20℃, and colony pattern and color were slightly different on PDA. Isolates of I. radicicola were analyzed for their genetic relatedness based on several genes and microsatellite region. I. radicicola group was divided into two small groups. Conclusion : Therefore, we were able to confirm pathogenicity and genetic difference between the isolates in each of the groups of the pathogen. Among these isolates, 21.5% were classified as highly virulent and 78.5% were weakly virulent. *(Corresponding
        80.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S (Bacillus subtilis 10%), WS (Microbial extract 70%), and DS (Sulfur 78%) agents were selected by mycelial growth inhibitory effect test against kiwifruit soft rot pathogen (B. dothidea) with 11 kind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PDA medium for 10 days. They showed at 94.2%, 65.2%, 58.9%, respectively. The control value of WS and SS agents were better than DS in storage experiment. It was effective SS and WS single application, DS-WS and WS-SS alternate application in the field trial.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