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61.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to evaluat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simulator sickness in the controlled condition of driving a car (1 hr. at speed of 60 km/h) in a graphic simulator. Simulator sickness was measured and analyzed every 5 min using both su
        4,000원
        6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의 각성은 감성의 한 차원을 차지하여 인간의 작업수행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각성의 정확한 측정 및 분석은 인간의 작업에 생산성 극대화를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각성은 자극유형에 따라 종류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각성의 유형에 따른 생리신호의 반응을 측정하여 각성종류별 생리적 반응차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20명의 대학생이 각기 다른 각성자극인 신체적 각성 및 인지적 각성을 유발하여 생리신호 반응을 측정,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인지적 각성과 신체적 각성은 자율신경계 반응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인지적 각성에서 중추신경계 반응이 작업계획 단계에서 신체적 각성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000원
        63.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how to show physiological responses comparing exercise group and non exercise group for progressive maximal wheelchair ergometer exercise loading in complete paraplegia. It also examined the various factors which would be influenced physiological responses. Sixteen subject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1) exercise group (7 subjects) 2) non exercise group (9 subjects). Each test was terminated by physical exhaustion and/or an inability to maintain a flywheel velo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difference was noted in pulmonary function test between two groups. 2) Emax value during maximal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05). The mean Emax of exercise group was , non exercise group was . 3) () value during maximal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05). The mean () of exercise group was , non exercise group was . 4) max(ml/kg/min) value during maximal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05). The mean () of exercise group was , non exercise group was . 5) Maximal heart rate(HRmax) value during maximal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05). The mean HRmax of exercise group was 180.43 beats/min, non exercise group was 175.00 beats/min. 6) value during maximal exerci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05). The mean of exercise group was , non exercise group was . Considering the results which explore the exercise group with paraplegia has shown the maximal aerobic power compared with non exercise group, regular and consistent physical training is highly assumed as a main factor to improve cardiopulmonary fitness.
        4,200원
        64.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단기간의 체중감량에 따른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무드상태와 생리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방법: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24명의 남자 유도선수들은 실험집단(12명) 또는 통제집단(12명)에 무선으로 배정되었다. 두 집단은 주 7회로 정해진 운동프로그램에 따라 하루 총 4회의 운동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은 운동과 함께 식이조절을 통하여 체중감량을 실시하였다. SPSS Ver 22.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료처리는 두 집단을 대상으로 체중감량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각각 무드상태와 생리적 변인들을 측정하여 각 항목의 사전검사 값을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분석 전에 회귀동등성(homogeneity of regression) 검증을 통해서 위배되는 경우에는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무드상태에서 실험집단의 긴장, 우울, 피로, 혼란, 총정서장애는 통제집단보다 높았고, 활력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평균을 나타냈다. 생리적 변인들 중 혈당과 제지방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균을 보여주었다. 결론: 단기간의 체중감량은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무드상태와 생리적 변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65.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 12-week experiment, the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arvation on their physiological parameters. The protein and DNA contents of the starved 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itial values and those of the fed fish. The RNA contents and RNA/DNA ratios of the fed 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05). The hematocrit, hemoglobin, red blood cells (RBC), and mean corpuscular volume (MCV) of the fed rock bre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at baseline (P<0.05), whereas the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of the fed fish was lower than at baseline (P<0.05). The hematocrit, hemoglobin, RBC, and MCHC of the starve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baseline values, whereas the MCV of the starv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aseline value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nine aminotransferase was observed between the fed fish and baseline, whereas the starved fish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aseline value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tisol levels. However, the glucose level in the f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aseline level and that in the starv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baseline level (P<0.05).
        66.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waterlogging on the growth, physiological responses, and yield of Kimchi cabbage. The growth of Kimchi cabbage with applied optimized air temperature (set to 20℃) was greater than those with high air temperature (set to 30℃) and the growth significantly decreased by severe waterlogging treatment. The net photosynthetic rate of outer leaves on one hour after waterlogging treatment was higher at 72 hours waterlogging treatment in 20℃ and lower at 24 hours of waterlogging treatment in 30℃. The root activity was decreased by the elevation of waterlogging periods in 20℃ treatment and lower by the short of waterlogging periods in 30℃ treatment. The ratio of formality with non-waterlogging treatment was approximately 64% under 20℃ air temperature and that of range was from 16 to 30% under 30℃. The yield under 20℃ showed higher than that under high air temperature. The non-waterlogging treatment in 20℃ had 4,463 kg/10a, which was the greatest among all treatments, while yields of non-waterlogging treatment at 30℃ were significantly low as 1,082 kg/10a. Results suggested that additional drainage work should be needed to overcome waterlogged conditions of open field during heavy rainfall and should be drainage as soon as possible if there are waterlogging.
        6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earch on salinity stress has strongly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 as salinity stress is a main key factor limiting the global crop production in many regions of the world.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amount of genotypic data in a short time due to a reduction in genotyping costs. This wave of genomic information has effected the development of new strategies for the integration of molecular information in breeding programs. However, phenotyping is still a manual activity, and different from each species, environment, and trait. It often generates high labor costs, and can b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sometimes includes the individual biased assessments from different people.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phenotypic data of high quality. The current objective of phenomics is phenotyping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for many traits in a nondestructive manner and with good accuracy. Here we described the image-based technology as applied to alleviate the bottleneck for the development of high-throughput phenotyping platforms. Several trials to measure stress responses of rice plantlets based on image data under the salinity condition are underway to develop automation for the next-level of phenotyping.
        69.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physiological responses, e.g. growth, photosynthetic activity and water potential, and photoinhibition tolerance in photosystem between superior and inferior families of Pinus densiflora under drought condition. Superior which is KW85 and inferior which is KW40 families were selected using progeny test results of height growth. In 2007, seeds were collected from seed orchard. In 2008, seedlings were produced and cultivated, and from April 2009 drought treatment was started with shading treatment and plants were harvested in Sept. 200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growth between families. In case of leaf water potential, KW85 showed higher water potential under drought condi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ought with shading treat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otosynthetic rate but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of KW85 showed lower value than KW40. So water use efficiency of KW85 showed higher value in every treatment. Non-photochemical quenching of KW40 showed higher value in drought treat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and drought with shading treatment. Xanthophyll cycle pool size of KW85 showed higher value in drought treatment, but in drought with shading treatment KW40 showed higher value. Selected superior family showed higher drought tolerance according to water use efficiency, and it also has effective non-photochemical quenching ability. In contrast inferior family respond more sensitively in photoinhibition under drought condition.
        70.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NaCl 및 JA 처리 시 애플민트(Mentha suaveolens Ehrh.)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애플민트는 대조구, JA(20μM JA 전처리), JA(20μM JA 전처리) + 50mM NaCl, 50mM NaCl 처리로 0.5배 Hoagland 용액에서 3주간 수경 재배하였다. 생장 반응과 엽록소, 비타민 C, 프롤린, 무기물, DPPH 라디컬 소거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와 비교해서 엽장,엽폭과 지상부 생체중은 NaCl와 JA+NaCl 처리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에 비해, JA 처리된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리된 대조구보다 높아졌다. 전체 엽록소 함량과 비타민 C는 JA처리에서 다른 처리보다 높아졌고, 염 스트레스 처리(NaCl 처리, JA+NaCl 처리)된 식물의 Na+, K+, 프롤린 함량은 대조구보다 증가되었다. 지상부 프롤린의 함량은 JA+NaCl 혼용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또한, 모든 염처리구에서 잎, 줄기, 뿌리의 모든 식물 부위의 항산화 활성이 무처리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하지만, 모든 식물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낮은 염 스트레스나 JA 처리 같은 적절한 스트레스 처리가 항산화 활성과 정유를 포함하는 이차대사물질의 축적을 유도함으로써 애플민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71.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rfitt, Rose & Markland(2000)는 건강운동 촉진과 관련하여 운동 강도의 선택은 개인의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자기결정에 대한 느낌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증가된 자결성은 내적동기를 증가시키고, 내적동기의 증가는 더욱 강력하게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참가자들이 운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정서적 경험과 생리적인 반응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호/비선호 운동유형(선호/비선호)과×운동 강도(55%, 70%, 85%)에 따른 심리·생리적 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는 대부분 대학생으로서, 65명(남=47, 여=18)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집단×시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시점간의 차이 비교를 위해 paired-t 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와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경험이 높고, 부정적 정서 경험은 더 낮다. 둘째, 동일한 운동 강도에서 선호된 운동유형 집단이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보다 지각된 피로 수준과 운동 강도 지각이 더 낮다. 셋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운동 강도 70%가 55%와 85%의 운동 강도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넷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감정수준(feeling scale; FS)과 각성수준(felt arousal scale; FAS)의 2차원 원형 모델은 선호 운동유형 집단이 긍정적인 형태로,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부정적인 상태를 나타냈다. 다섯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긍정적인 감정수준(feeling scale; FS)은 70% 집단이 55%와 85%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각성수준(felt arousal scale; FAS)은 운동 강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운동강도 측정을 위한 객관적인 지표의 사용(예, VO2max의 사용), 성별에 따른 차이 점검, 생태학적 타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등을 제안하였다.
        7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atropha (Jatropha curcas L.) is a shrub or tree belonging the genus Euphorbiaceae and is cultivated in a tropical regions including South America, South-East Asia, India and Africa. Jatropha possibly is adapted to grow in a wide range of environments for producing non-edible oil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effect of salt and drought on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Treatments are thus followed, 100 and 200 mM NaCl and 5 and 10% PEG. Various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leaf length and width, stomatal conductance,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ene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from 2 days onwards, 100 and 200mM NaC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leaf length, width, and stomatal conductance, but 5% and 10% PEG treatments showed a similar trend of control plants. Gene expression of JcACBP of the 100 mM NaCl was slightly decreased compred to those of other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100 and 200 mM NaCl treatments significantly showed negative response, but 5 and 10% PEG treatments improved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of Jatropha.
        7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onducted this study to compare physiological response according to growing conditions between superior and inferior family of Pinus densiflora. In 1981, open-pollinated (OP) progenies of P. densiflora were planted in Chuncheon (CC) and Naju (NJ). We selected KW2 as a superior family and KW23 as a inferior family based on volume index among 30 OP progenies. We calculated general combining ability of each 30 OP progenies in each sites, and compared family growth rank. We collected needles of selected families in CC and NJ, and analyzed chlorophyll content, nitrated reductase (NR) activity, nitrogen content,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itivity. In CC, chlorophyll content and nitrogen content were more in needles of KW2 than those of KW23. In NJ, KW2 showed higher NR activity than KW23, and according to site, families in CC showed higher NR activity than those in NJ. SOD activities of both families were higher in NJ, and KW23 showed higher activity than KW2 in both sites. Consequently, inconsistency of the growth performance of two families was caused by different genetic and physiological responses.
        75.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against UV-B radiation in the seedling of 15 different rice cultivars, having the different physiological sensitivities. Out of 15 rice cultivars tested, moderate and susceptible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biomass and RGR (relative growth rate). Contents of total chlorophyll were reduced remarkedly by irradiation of UV-B. In all rice cultivars tested, the content of chlorophyll a was strongly decreased, while the contents of chlorophyll b were slightly reduced without showing clear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and 15 cultivars. Carotenoid content was largely reduced by UV-B radiation, whereas polyamine content was moderately increased. The contents of MDA (malondialdehyde) that reflect th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of cell membranes were clearly increased by UV-B stress, showing higher content in susceptible cultivars than moderate and torelant cultivars. The physiological important parameters highly related to visible injury were leaf color, chlorophyll, carotenoid, and lipid peroxidation, whereas biomass and polyamines were not closely correlated. Based on this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changes of visible injury and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nd MDA could be adequately applied and utilized as physiological indicators to UV-B radiation
        76.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x soybean cultivars having different SDS susceptibility were planted with sorghum seedinoculum infested with F. solani isolate 171 in the greenhouse. First leaf symptoms appeared on unifoliar leaves at 9 days after inoculation and all cultivars showed the typical leaf symptoms at 13 days after inoculation, when trifoliar leaves emerged. Leaf symptoms development in susceptible cultivars was faster than in resistant cultivars. Leaf symptom severities during the period of 25 to 29 days after inocul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which had SDS resistance and sus ceptibility. In this period, area under the diseaseprogress curve (AUDPC) of Hartz 6686 was the highest and that of PI 520733 was the lowest. SDS caused serious damage to the growth of soybean in all cultivars. Average reductions of growth rate of roo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greater than those of plant tops. Duyu-kong showed less severe leaf symptoms than that of SDS suscetible cultivars; however, average growth rate of plants top and roots of this cultivar was les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ose of SDS susceptible cultivars. In all cultivars, as severity of leaf symptoms increased, plant top weight decreased. Root rot symptoms were observed in all cultivars before leaf symptoms appeared. Average proportions of tap root reddish-brown discoloration of all cultivars was up to 75 % at 15 days after inoculati 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 between cultivars at each rating date. Appearances of leaf symptoms on leaves varied in each cultivar. SDS resistant cultiv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rinkling than susceptible cultivars and SDS susceptible cultiv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necrosis than resistant cultivars.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ological growth rate and SDS severities in soybeans.
        77.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는 생식생장기에 수분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량에 크게 영향을 준다. 보리 5품종 (겉보리 : 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 쌀보리: 백동, 맥주보리: 향맥)을 공시하여 생식생장기에 해당되는 출수전 20일, 출수전 10일 및 출수기에 각각 10일간씩 단수처리를 하여 한발을 유발하였으며 처리 후에는 관수를 하여 정상적으로 재배하였다. 보리 품종들을 10월에 포장에 파종하여 익년 2월에 대형 폿트에 이식하여 재배하였으며, 건물중, 유효경비을, 간장,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를 조사하였고, 유리 proline함량과 상대팽압도를 측정하였다. 1. 한발에 의한 피해는 출수전 10일>출수기>출수전 20일 처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출수전 10일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간장은 85∼98%, 주당수수는 52∼83%, 일수립수는 71∼86%, 천립중은 80∼84%, 그리고 10주당 수량은 60∼94%를 나타내었다. 2. 출수 10일전 단수처理에서 수량 및 수량구성 요소들의 감소율이 가장 컸고, 수량구성요소 중에 주당수수와 일수립수가 비교적 한해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3. 올보리>밀양 1002ㆍ두루보리>향맥>백동의 순으로 내한성이 약하였다. 4. 한발처리를 끝낸 후에 다시 관수하여 지엽의 유리 proline함량의 감소율과 상대팽압도의 회복율을 품종별로 보면 피맥 3품종이 높고 백동과 향맥이 매우 낮았다.
        78.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유묘기의 수분스트레스가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품종간 차이를 밝히고자 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 백동 및 향맥을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공시종자를 폿트에 파종하여 발아 후 10일이 경과한 다음 단수처리를 10일간 한후 다시 관수하여 40시간 및 88시간에 초장, 건물 중, 엽록소함량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발아 후 10일된 유묘를 P.E.G.로-20bar가 되도록 조정한 용액에 48시간 처리한 후 다시 재 관수하여 48시간 후에 엽록소함량, 잎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1. 초장과 건물중은 10일간의 단수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 5 품종의 평균으로 보면 초장보다는 건물중의 감소가 심하였고, 백동과 향맥이 밀양 1002, 올보리 및 두루보리보다 감소 정도가 심하였다. 2. 엽록소함량 및 잎의 수분포텐셜은 10일간의 단수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재관수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 proline 함량은 단수처리 종료시에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재 관수 후에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재 관수후 40시간에는 42%를, 88시간 후에는 14%를 나타내었다. 3. 단수처리에 의한 한해유발처리 종료시의 엽록소와 유리 proline 함량의 변화, 잎의 생존율 및 건물중 감소율을 근거로 한 품종들의 내한성을 보면 공시품종내에서는 겉보리(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쌀보리(백동)>맥주보리(향맥)의 순이었으며, 겉보리 품종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4. P.E.G. 용액 (Ψ~pi =-20bar)으로 조정 한 48시간의 한해유발처리의 결과는 엽록소함량, 일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 모두 10일간단수처리 한 결과와 일양성을 나타내었다. 품종간에는 백동과 향맥이 수분스트레스시의 증가 및 관수시의 멸소반응이 모두 둔하여 수분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해 야 할지를 모르는 여러 기술자(技術者)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얻어짐을 알았다. 여기서의 합성분말을 이용하여 실
        79.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톨페스큐의 엽과 뿌리생장 및 탄수화물의 저장이동 양상과 관련하여 뿌리 생장부위의 횡적 해부구조 고찰을 통해 표피세포, 피층세포, 및 통도조직세포들의 횡적 신장과 이들 세포의 생리적 생장반응에 대한 질소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경당 수량성이 높은 HYT 품종과 경당 수량성이 낮은 LYT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잎과 뿌리신장 및 분얼성등 생리적 특성이 다른 품종이었다. 1. 뿌리 생장부위의 횡적 신장은 첨단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약 1.0 mm이내에서 표피세포, 통도조직세포, 및 특히 피층세포에 의해 횡적신장이 이루어지며, 1.0mm이후에는 서서히 이루어지다가 3.0 mm 부위에서 제2차 횡적신장이 이루어졌다. 2. 뿌리의 제2차 횡적 신장은 주로 피층세포의 신장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HYT와 LYT품종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질소수준간에는 차이를 보여 200 ppm N 수준에서 뿌리의 횡적신장이 뚜렷하였다. 3. 뿌리의 횡적 신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피층세포의 경우,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0.5 mm 이후 횡적 세포분열이 발견되지 않아 피층세포의 횡적 분열보다는 주로 횡적 신장에 의존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3 mm 이후 피층세포들이 서로 합쳐져 큰 피층세포들을 생성되었는데, 6 mm 부위에서는 아주 큰 피층세포들이 외부층에 많이 생성되었다. 4. 통도조직세포의 경우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1 mm부위까지 급격한 횡적 신장을 보였으며, 그 이후 3 mm까지는 감소하다가 다시 서서히 증가하였다.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1mm 부위까지 급격한 횡적 신장시 품종과 질소수준간에 차이를 보여 HYT품종은 50 ppm N 수준에서, LYT품종은 200 ppm N 수준에서 높은 횡적 신장을 보였으나, 3 mm 이후에서는 두 품종 모두 200 ppm N 수준에서 넓은 통도조직세포를 가졌다. 5.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약 6 mm부위까지 뿌리의 횡적 신장에 관여하는 세포들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표피세포는 약 10∼18 %, 피층세포는 약 67∼79%, 그리고 통도조직세포는 약 10∼22 %가 뿌리 직경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0.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톨페스큐의 잎과 뿌리신장 및 동화산물의 생장점부위의 종적인 해부학적 고찰을 통해 세포분열, 신장, 그리고 성숙속도등 세포역학 및 세포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질소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경당 수량성이 높은 HYT 품종과 경당 수량성이 낮은 LYT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엽신장 및 분얼성 등 생리적 특성이 다른 품종이다. 1. 근관, 표피세포, 피층세포, 도관세포로 크게 구분되는 뿌리생장부위는 약 3.2mm로 잎생장부위(약 25~30 mm)보다 훨씬 짧았으며, 근관부위는 약 0.4~0.5 mm였다. 2. 근관세포의 경우 분열시 크기는 약 5 um, 최종크기는 약 40 um였으며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분열시 크기는 각가 8.5 um와 13.0 um, 최종 크기는 각각 120um와 650um로 큰 차이가 있었다. 3. 뿌리생장부위의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분열 직후 또는 최종크기는 질소시용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세포신장속도는 질소시용수준에 영향을 받아 높은 질소수준(200ppm)에서 보다 낮은 질소수준(50ppm)에서 약 2배 정도 빨랐다. 4. 뿌리세포의 분열속도는 질소의 영향을 받아 피층세포의 경우 50ppm N 수준에서 시간당 약 4.5 세포, 200ppm N 수준에서는 시간당 약 2.3 세포였으며, 도관세포의 경우는 각각 시간당 0.9 세포와 0.6 세포였다. 5. 뿌리세포가 분열 후 최대로 신장하기까지는 시간은 피층세포의 경우 50ppm N에서 약 21 시간, 200ppm N에서 약 4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도관세포의 경우는 각각 약 37 시간과 73 시간이 소요되었다. 6. 뿌리생장부위의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세포 분열부위에서는 1:1이었으나, 세포신장부위에서는 그 비율이 증가해 생장점으로부터 1.0 mm 위치에서 5:1로 증가해 계속 유지되었다. 7. 뿌리생장에 대한 질소의 효과를 분석해 볼 때, 질소는 뿌리세포의 크기보다는 세포분열과 세포신장속도에 크게 영향함을 알 수 있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