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rvice volume for signal metering on roundabouts to increase applicability of roundabout in Korea.
METHODS: To develop the service volume for signal metering on roundabouts, traffic simulation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VISSIM software for various scenarios based on traffic volumes as approaches and location of detectors on controlling approach lane. Typically, the Vehicle Actuated Programming module in VISSIM was applied for analyzing more realistic traffic signal control conditions.
RESULTS: As the left-turning volume is increased, the delay reduction rates were increased. And the case of 40 meter distance of a detector and 20 seconds red signal phase made better results.
CONCLUSIONS: The signal metering on roundabout should be applied carefully because it is possible to lose roundabout strengthen in traffic operation aspect. The service volume for signal metering on roundabouts that suggested from this study is useful to decide the application of signal metering on roundabout.
오래된 구조물의 내부 결함은 그 구조물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안전에 문제가 생기기 전에 미리 검사를 진행하고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쉽고 효율적인 방법은 육안으로 구조물을 진단하는 것이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서 부식이나 공극 같은 결함들은 피복으로 감싸져 있어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하다. 따라서 내부 결함도 진단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방법을 이용하여 진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전력용 케이블을 진단할 때 주로 사용되는 시간 영역의 반사파 계측법과 시간-주파수 영역의 반사파를 적용하여 종단지점에 부착된 측정기계에서 인가한 신호가 이동하는 중 전기적 임피던스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파를 분석하는 기술로 측정시간 단축, 검사의 간편성과 같은 측면에서 훨씬 큰 효율성을 가진다. 하지만 토목 구조물은 전력용 케이블과 달리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실제 진단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실험과 COMSOL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확인 및 비교하여 시뮬레이션의 정확도와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반사파 계측법이 복잡한 구조물을 대상으로도 사용 가능한지 그 가능성 또한 보았다. 또한 더 나아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교량의 덕트 내부에 공극 및 부식과 같은 결함이 생겼을 때, 그 결함들이 반사파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해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조가 심장활동 신호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활동 신호 측정을 위하여 전극의 크기와 구성방식을 조작한 6종의 접촉식 직물전극을 컴퓨터 자수 방식으로 구현하였고, 이를 가슴밴드에 부착하여 응용형 리드 II(modified Lead II) 방식으로 심장활동 신호를 검출하였다. 건강한 신체의 남성 4명을 대상으로 서서 정지한 자세에서 각 직물전극을 사용하여 심장활동 신호를 검출하였으며, 모든 유형의 전극에 걸쳐 4회씩 반복측정 하였다. 심장활동 신호의 수집을 위해 BIOPAC ECG100 장비를 사용하여 1 ㎑로 샘플링하였으며, 검출된 원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하였다. 직물전극의 구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신호의 파형과 크기를 파라미터로 하여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전극을 통하여 획득된 심장활동 신호의 SPR(signal power ratio)을 산출함으로써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출된 SPR 값을 대상으로 하여 비모수 통계분석 방식의 차이검정과 사후검정을 실시함으로써 6개 전극의 구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 차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조에 따라 심장활동 신호의 품질에는 정성적, 정량적 측면에 걸쳐 모두 주요한 차이가 있는 것이 고찰되었다. 접촉식 직물전극의 구성 측면에 있어서는 입체전극이 평면전극에 비해 더 우수한 품질의 신호가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가지 전극 크기에 따른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유의한 성능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심장활동 신호 획득을 위한 접촉식 직물전극 구조의 두 가지 요건 중 구성방식(평면/입체)이 웨어러블 헬스케어를 위한 심장활동 신호 획득의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직물전극이 일체형으로 통합된 의복형 플랫폼을 구현하고 성능 고도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시공간의 제약 없이 고품질의 심장활동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의류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하폐수처리를 위한 분리막 생물반응기에서 막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물질로 알려진 정족수감지 신호분자인 AHL과 AI-2를 동시 억제하는 연구를 하였다. AHL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BH4와 AI-2 불활성 물질을 분비하는 DKY-1를 각각 하이드로겔 담체에 고정시켜 분리막 생물반응기에 적용시킴으로써 막오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자 한다. 주기적으로 반응기의 신호분자 농도를 LC/MS/MS로 측정하였으며, 막투과 압력 증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막오염의 완화 정도를 살펴보았다. 이외에 총질소, 화학적 산소요구량, 미생물 플록 크기, 미생물 농도 등을 측정하여 반응기의 상태와 폐수의 처리효율을 비교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재단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NRF-2016R1A2B2013776)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rc homology 2-containing
phosphotyrosine phosphatase SHP2 in intricate signaling network invoked by oocyte to
achieve cytoplasmic maturation and also blastocyst development. Activation of SHP2
regulates multicellular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and survival through numerous signal
pathways. The most prominent pathway is RAS/PI3K and p-AKT signaling cascade, as
a result mitogenic effect become enhanced. Oocytes were cultured in cisplatin an
anticancer drug, but selective activator of SHP2 and our grouping were SOF medium alone,
SOF + EGF, SOF + CISPLATIN 0.3 μM, and SOF + EGF + CISPLATIN 0.3 μM. We
evaluated that EGF neutralizes the apoptotic effect of cisplatin as well as maintain the
high expression of SHP2, as a result blastocyst development become boosted up. We
also found that inhibition of SHP2 with its specific inhibitor PHPS1 5 μM decreases the
blastocyst development and neutralizes growth factors effect. The developmental ability
and quality of bovine embryos were determined by assessing their cell number, gene
expression, immunofluorescence, and immunoblot. The differences in embryo
developm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Our
results show that SHP2 have significant effect on MAP kinase pathways which expand
the cumulus cells during oocyte maturation and blastocyst development as compare to
inhibition of SHP2 with PHPS1. SHP2 not only transduce the signaling of epidermal growth
factor but it also has a role in signal transduction of FGF and IGF. The expression of
ERK, PI3K/p-AKT and mTOR was increased with EGF, but with the treatment of SHP2
inhibitor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become drop done. So we can conclude from these
results that SHP2 is important for oocyte maturation as well as for blastocyst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leak signal was measured by using an accelerometer to analyze the basic data and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k point estimation method in the water supply pipe. The measured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ross-correlation analysis for leakage signals, and the error range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actual leak point distan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bration intensity due to leakage from the water leakage point was attenu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the case of the ductile iron casting used in the experiment, the intensity of the signal at the 945 Hz, 1,500 Hz, 2,300 Hz band was increased with the change of the pressure in the pipe at 4mm of leakage hole. Also,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water pressure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leak signal increases but the similarity of the signal de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accelerometer sensor can be used efficiently for leak detection and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leak point estimation method in the future.
In this study, we are developing next-generation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SMART SIGNAL, which is operated using a traffic big-data. To improve urban’s chronic recurrent congestion, SMART SIGNAL conducts real-time traffic signal control based on travel time data of traffic information systems. This research project started in 2015 and is scheduled to end in 2019. This research project consists of three sub-tasks, which are traffic big-data bank system, signal operation algorithm, and field test for SMART SIGNAL. The traffic big-data bank system includes the travel time and traffic volume data from public and private sector’s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dditionally, this system contains taxi trajectory data, CCTV image and smartphone based traffic data. This big-data system predicts the travel time and traffic volume by intersection movement for real-time signal control. The smart signal operation algorithm of SMART SIGNAL consists three sub-algorithm of PRE-CON, CAERUS, and NIMOS. PRE-CON makes today’s signal timing plan using historical traffic data. CAERUS is traffic responsive signal control algorithm based on predicted travel time. NIMOS is spillback control algorithm for oversaturated condition. In this project, field experiment is planned in 2019 in Seoul.
This study suggested a new real-time traffic signal operation algorithm using combined data of travel time and occupancy rate. This study applied the travel time data to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and developed the signal operation algorithm based on saturation degree that was calculated using the travel time data. This algorithm calculates a queue length using a delay model, and converts the queue length to the saturation degree. Moreover, it calculates signal timing variables using this combined saturation degree. This study conducted a microscopic simulation for effectiveness evaluation. We checked that the average intersection delay decreased by up to 27 percent. Moreover, we checked that this signal operation algorithm could respond to a traffic condition of oversaturation and loop detector error effectively and usefully. In korea, sectional traffic detection systems are being installed in various ITS projects, such as Advance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ATMS) and Urban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UTIS). This study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is new methodology to accept the sectional detection system in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Phospholipase A2 (PLA2) hydrolyzes fatty acids from phospholipids at sn-2 position. Two immune-associated PLA2s are known in Spodoptera exigua. Both are calcium-independent cellular PLA2 (iPLA2A and iPLA2B). These iPLA2s are inducible to immune challenge using different epitopes such as virus, Gram+, Gram- bacteria, and fungi. However, their expression profiles are different between these two iPLA2s. Especially, immune challenge with Gram+ bacteria and fungi significantly up-regulated these iPLA2 expression, suggesting their expression under Toll signal pathway. RNA interferences of Toll or IMD signal components are being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analyzed signal transduction by equi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ceptor (eFSHR) on stimulation with recombinant eelFSHβ/α (rec-eelFSHβ/α), natural porcine FSH (pFSH), and natural human FSH (hFSH). cAMP stimulation in CHO-K1 cells expressing eFSHR was determined upon exposure to different doses (0-1450 ng/mL) of these hormones. The EC50 value of rec-eelFSHβ/α was 53.35 ng/mL. The Rmax values of rec-eelFSHβ/α and pFSH were 28.12 and 2.88 ng/mL,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rec-eelFSHβ/α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natural pFSH. However, signal transduction in CHO PathHunter Parental cells expressing eFSHR was not enhanced by stimulation with natural hFSH. Thus, rec-eelFSHβ/α was completely active in cells expressing eFSHR. However, natural hFSH did not invoke a signal response in cells expressing eFSHR. Particularly, natural pFSH was weakly active in the same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eelFSHβ/α has potent activity in cells expressing eFSHR. Thus, rec-eelFSHβ/α may efficiently bind to eFSHR, where as natural hFSH does not bind to eFSHR.
Warthin’s tumor (Papillary cystadenoma lymphomatosum) is a benign salivary neoplasm initially. It is predominantly found in the parotid gland and accounts for about 10-15% of all benign tumors of the parotid gland. It is known that it had higher incidence in males and in smokers. Warthin’s tumor had moderate intensity on T1- and T2- weighted images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In this case, a 44-year-old man visited our dental hospital with induration and pain on the right preauricular region. The lesion showed high intensity on T2- weighted images on the MRI. We performed tumor removal, with th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confirming Warthin’s tumor. This report presents review of literature and describes a case of Warthin’s tumor with high T2- 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its surgical treatment.
초연결사회의 시대가 도래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람과 사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점차 웨어러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의복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인 스마트의류는 인체에 가장 밀착한 상태로 각종 생체신호 등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래 일상생활에서 사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스마트의류는 의복에 전자장치를 부착한 형태로 개발되어 기기 이물감으로 인해 착용 시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여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점차 전자장치가 텍스타일 내의 한 요소로 통합되어 있는 스마트 텍스타일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의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소비자에게 가장 근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워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용경험에 기반한 감성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요구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감성에 대해 구체적인 답변을 얻고자 반구조화 된 심층인터뷰를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심층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감성을 기능적, 심미적, 사회적, 경험적 네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측면별로 감성키워드를 설정하여 빈도 수 확인을 통해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관심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미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의류 제작에 필요한 스마트 텍스타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 real scale leakage test facility was developed to study the leak signal characteristics of water supply pipelines, and then leak tests were carried out. The facility was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ed experimental circumstances of domestic water supply pipeline experimental facilities. The length of the pipeline, which was installed as a straight line, is 280m. Six pipes were installed on a 70m interval with different pipe material and diameters that are DCIP(D200, D150, D100, D80), PE(D75) and PVC(D75).The intensity of the leakage is adjusted by changing the size of the leak hole and the opening rate of ball valve. Various pressure conditions were simulated using a pressure reducing valve.To minimize external noise sources which, deteriorate the quality of measured leak signal, the facility was built at a quiet area, where traffic and water consumption by customers is relatively rare. In addition, the usage of electric equipment was minimized to block out noise and the facility was operated using manual mod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measured leakage signal at the facility, it was found that the signal intensity weakened and the signal of high frequency band attenuated as the distance from the water leakage point increased.
An immune signal pathway using Toll receptor in response to Gram positive bacterial or fungal challenge induces cellularimmunity and produc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MPs) in insects. Here we tested an hypothesis that Toll signal downstreamfactors, MyD88 and Pelle, influence eicosanoid signal by activating phospholipase A2 (PLA2) activity in the beet armywormSpodoptera exigua. We knocked-down MyD88 and Pelle expressions using specific dsRNAs and assessed their effect onPLA2 activity in immune-challenged S. exigua larvae. The RNAi-treated larvae failed to induce AMP gene expressionand PLA2 activity under immune challenge. These results shed light on cross-talk between Toll pathway and eicosanoidsig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antler-shaped fruiting body of Ganoderma lucidum (GL)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on lipopolysaccharide (LPS)/interferon-γ (IFN-γ)-activated RAW 264.7 macrophage-like cell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L, we examined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the express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ctivator protein 1 (AP-1), inducible NO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interleukin-1β (IL-1β), and interleukin-6 (IL-6). LPS/IFN-γ-induced cellular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L-treated RAW 264.7 cells. Moreover,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reduced protein expression of MAPK families (such a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c-Jun amino-terminal kinase, and p38 MAPK) and AP-1-targeting inflammatory enzymes (iNOS, COX-2, IL-1β, and IL-6).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L modulates the MAPK/AP-1 signal pathway in inflammatory proces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important evidence that GL can potentially be used to reduce LPS/IFN-γ-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by inhibiting the MAPK/AP-1 signaling pathways.
감성은 의사 결정, 지각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각성부정 감성의 편리하고 정확한 인식에 있어서, 생체신호를 이용한 분석 알고리즘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통 / 공포 감성 유발 영상을 이용하여 두 감성을 유도한 후, 생체신호 중 간단한 피부전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피부전도도에 대해 Tonic 성분과 Phasic 성분으로 분해하고 감성 자극과 관련된 Phasic 성분을 더 상세하게 SCVSR, SCSR로 분해하여 각 성분의 주요한 특징들을 추출함으로써, 정확한 분석을 하기 위해 기존의 사용된 방법이 아닌 우수한 시간-주파수 지역화 특성을 가진 이산 웨이브렛 변환을 사용하였다. 추출된 특징들은 Phasic 성분의 최댓값, Phasic 성분의 진폭, SCVSR의 영교차율, SCSR의 영교차율이다. 분석 결과, 4가지 특징들 모두 고각성 부정 감성의 경우가 저각성 보통 감성의 경우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고, 기존의 분석 방법보다 통계적으로 두 감정 사이의 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피부전도도가 고각성 부정감성 측정에 대해 유용한 지표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피부전도도를 이용한 실시간 부정 감성 평가 시스템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을 나타낸다.
목 적 : 표면코일의 신호강도를 최대로 하려면 Z축에 90°로 위치시켜야 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코일의 기울 어짐이 빈번히 발생하는데, 위와 같은 경우 신호강도가 줄어들게 되어 병소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표면코일이 어느 정도 기울어질 때 신호강도가 저하되는지 측정하여 기준 각도를 제시함으로써 코일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신호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방법은 표면 코일의 각도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틀을 자체 제 작한 후, Z축을 기준으로 0°에서부터 180° 까지 10°씩 표면코일을 변경시켜 구형 팬텀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은 1.5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 장치와 4채널 loop large 코일을 사용하여 표준 T1과 T2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영상의 신호강 도는 영상평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신호강도는 일원배치분산 분석과 사후분석을 이용하여 신호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기준 각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연구결과 신호강도는 T1, T2 영상 모두 90°(X-Y 평면)에 가까울수록 높게 측정 되었고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신 호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기준 각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의 사후분석을 시행한 결과 유의수준 0.05에 대한 부 집단 중 T1, T2 강조영상 모두 70°, 80°, 100°가 통계적으로 90°와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일한 신호강도임을 알 수 있다.
결 론 : 결론적으로 몸통이나 사지 등 body 코일을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할 경우, 머리 쪽으로는 10°, 발쪽으로는 20° 이상 기울어지지 않는다면 보상이 필요 없으므로 보상 물질을 사용해 신호강도를 감소시키는 것보다 사용하지 않는 것이 최적의 신호강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수신호 통일지침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로 선박작업시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수신호 체계의 활용가능성과 표준화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실증연구에 앞서 선박안전관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신호 활용가능성이 있는 선박작업활동을 분류하고, 이러한 작업활동 하에 작업자의 수신호 활용의사와 제도적 표준화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t-검정, 상관관계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근무형태(선원/육상선박 안전관리감독)와 근무환경(갑판부/기관부)에 관계없이 수신호 소통이 가능한 작업활동에서는 표준화된 수신호 체계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적극 수용할 의사가 있었다. 또한, 주어진 선박작업활동 종류에 따라 응답자의 수신호 활용빈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표준화 선호도와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 응답자의 수신호 활용빈도가 높은 크레인 운용, 윈드라스 윈치 운용, 삭류 이동/전달, 화물창 운용 등 항만내 작업활동들을 우선순위로 수신호 통일지침을 설계한다면 선박작업자간 의사소통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 of a playtykurtic excitation signal on fatigue life. In general, a vibration test uses an excitation signal having a normal distribution of kurtosis 3. However, a vibration signal generated in a product’s operation environment has usually a non-normal distribution. This paper uses ZMNL method to generate a playtykurtic excitation signal having the equivalent power spectrum density with a reference vibration profil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which uses a fatigue damage spectrum ratio for studying the effect of a playtykurtic excitation signal on fatigue life. The fatigue spectrum damage ratio is obtained by dividing a fatigue damage spectrum acquired using the acceleration profile in which all conditions are the same except for the kurtosis by a fatigue damage spectrum acquired theoretically. This paper shows that the signal of kurtosis less than 3 can increase the fatigue damage spectrum by more than 2 to 4 times compared to the signal of kurtosis 3 using the fatigue damage spectrum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