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6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many changes appeared with the Chinese degree adverbs as languages evolve over time, such as the emerging degree adverb ‘ju(巨)’ and the phrase structures like ‘巨多’, ‘巨好’, ‘巨痛’ are used in our daily communication commonly.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the evolution mechanism of the Chinese emerging degree adverb ‘ju(巨)’s meaning in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First, we focused on the prototype meaning of ‘ju(巨)’ which is a adjective and the existing meaning of ‘ju(巨)’ which is used as a degree adverb. Second, we compared the image schema of the adjective ‘ju(巨)’ with the image schema of the degree adverb ‘ju(巨)’ and manag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n we studied the evolution mechanism of the degree adverb ‘ju(巨)’s meaning that is metaphor and made ‘ju(巨)’s metaphor mapping model. Third, we chose ‘巨多’, ‘巨好’ and ‘巨痛’ as examples by corpus-based study and used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to compared the conceptual blending spaces of them. Lastly, we found a general rule that can have reference significance to the study about the evolution of the other emerging degree adverbs, such as ‘狂’, ‘神’and so on. 저 자
        5,800원
        6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고 인지하는 방법은 개념화에 의지하고 있으며, 개념화는 인 지적 범주화의 과정이다. 본고는 광운의 物名 중에서 蟲名에 대한 고대인의 인지 범주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 물명이 하나의 글자에서 두 개의 글자로 합성되는 과 정 역시 두 개의 개념이 확장되고 변화하는 과정이라고 보았으며 이를 유형별로 나 누어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는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의미 A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자 A′가 합쳐져 A의 의미가 되는 경우, A와 B가 합쳐 서 A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 A와 B가 합쳐서 B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 A와는 다른 B와 C를 합쳐 A를 설명하는 경우이다. 이렇게 합성어가 되었을 때 그 구성한자는 해당의미가 변화하거나 유실되고, 다른 의미를 포용하여 의미항이 늘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합성자를 이루는 의미를 모두 연결망을 이어보면 어떤 한자가 서로 이어져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어느 동물이 서로 친근한지를 알 수 있는데 이런 경로는 복합적인 표현의 의미에 포함되며, 표현들 사이의 의미차이를 설명해 줄 수 도 있다. 우리는 스키마(schema)를 통해 이러한 복합적인 의미표현을 이해하고 인지 하며 추상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자가 가지는 다의성, 동의자, 통가자 등의 이해를 도식화하여 이해하게 되면 한자를 이해하는 데 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5,500원
        63.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조각상」 , 「델픽 오라클을 위한 소식」 , 그리고 「긴다리 파리」 의 순서에 대한 중요성을 탐구하려한다. 본 연구자는 이 세 시의 순서는 예이츠의 위대한 예술에 대한 견해를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즉 예이츠는 위대한 예술은 비극으로 시작해서 기쁨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섹스로 끝난다고 쓴 적이 있다. 예이츠는 예술을 신혼 첫날밤의 기쁨 같은 존재에 비유하기도 했다. 「조각상」은 비극적인 시이고 「델픽 오라클을 위한 소식」은 섹스의 기쁨을 노래한 시인데 이 기쁨은 예이츠에게는 천국이요 유토피아의 세계이다. 이 두 시 다음에 「긴다리 파리」가 위치한 점을 눈여겨보아야 하는데 이 시 역시 비극과 섹스라는 같은 주제를 다루어 앞서 제시된 같은 주제를 확장하고 강화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시를 통해 기쁨을 추구하려는 예이츠의 의도는 그의 정치적인 목적과 깊은 연관이 있다. 즉 아일랜드 국민을 유토피아로 이끄는 것이다. 여기서 시인이 꿈꾸는 유토피아는 고대 그리스보다 더 위대한 문명의 요람으로 세계에 우뚝 설 미래의 아일랜드이다.
        4,900원
        64.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very meaning of the common word “Qin (親)” in Chinese has been seen in ancient times. However, its meaning of “kiss” only appeared at the end of Ming Dynasty. Scholars generally believe that this meaning is derived from extended meaning, which is worth discussing. Before the Tang Dynasty, the meaning of “kiss” was only expressed by “Wu (嗚)” and its polyphonic form. “Xin (噷)” appeared in the Song Dynasty, “Qin (唚)” and “Qin (親)” appeared in the Ming Dynasty. “Qin (親)” and “Qin (唚)” are the phonetic loan character of “Xin (噷)”. As the tail vowel [-m] final vanishes and the confluence of sharp and rounded sounds, the three sounds tend to be the same, “Xin (噷)” is a rare word, the common writing “Qin (唚)” with the change of phonetic sign and homophone substitution word “Qin (親)” appeared in the folk. “Qin (親)” has the meaning of “contact”. It is easier to establish semantic association with the meaning of “kiss” and becomes the dominant word in the concept field of “kiss”. “Xin (噷)” and “Qin (唚)” exist only in spoken dialect. “Xin (噷)” is the subsequent character of “Xin (歆)”, the “kiss” meaning of “Xin (噷)” is an extension of the “smell” meaning of “Xin (歆)”. In order to find the source of words, we should use the method of finding words based on meaning and sound, combine with dialect materials, and link up the homophone and synonymy of variant words. Only by breaking through the restriction of glyphs, can we find out the writing form containing the etymological basis of many variant words.
        5,400원
        65.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한미 미사일지침 해제의 경위·의미·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미 미사일지침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적 검토, 한미 미사일지침의 변천사와 해제의 배경·의미·성과, 한미 미사일 지침 해제이 후 한국의 향후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한미 양국은 1979년 미사일지침 합의이후 2001·2012·2017·2020년 4차례 개정에 이어 2021년 5월 21일 한미 미사일지침을 해제·종료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이 한미 미사일지침 해제를 수용한 전략적 배경으로는 ①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 추진에 유리하다는 판단, ②북한 핵미사일 대응 및 전시작전권 이양에 유리하다는 판단, ③한국의 비핵화 유지에 유리하다는 판단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미 미사일 지침의 해제의 의의는 ①한국의 미사일 주권확보, ②한국의 안보능력 향상, ③산업·경제적 파급효과의 증대로, 그리고 미사 일지침 해제의 성과는 ①외교적 차원의 성과, ②군사동맹적 차원의 성과, ③우주산업적 차원의 성과로 각각 요약해 볼 수 있다. 한국은 ①주변국 들의 불필요한 오해·우려 해소, ②실질적 억제력 확보를 위한 관련기술의 개발, ③미사일전력의 운영을 위한 치밀한 준비를 통해 미사일전력 강화 는 물론 방위산업·우주산업의 발전을 함께 도모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9,600원
        66.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semantic map model is adopted to study the diachronic evolution and synchronic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Verbs “Dai (代)” and “Ti (替)” with the meaning of “substitution”. The semantic evolution of the Verbs “Dai (代)” and “Ti (替)” are complicated, including the evolution in both dialects and general language, which can be clearly shown in the semantic map model. In the general language, “Dai (代)” and “Ti” have different lexical semantic functions. “Dai” mainly has the verbs semantic functions of “substitution”, yet the newer word “Ti (替)” mainly has the grammatical function of “substitution”. In the dialect, the evolution of the two verbs in different regions are not consistent. In northern dialects, the newer word “Ti (替)” is mostly used, yet in some southern dialects, more components of the ancient Chinese are retained, such as the prepositional function of “Dai (代)” in ancient Chinese.
        7,000원
        67.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신성한 텍스트로서의 성경이 해석학적 관점에서 이해되고 해석될 수 있다라는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하려고 한다. 성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과연 문학적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다. 19세기 에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가 성서와 문학적 관점의 상호 연관성의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기 시작한 이후로, 성서 해석학은 다양한 형태로 꾸준히 발전되어 오고 있다. 신의 말씀을 기록한 성경은 신성의 권위를 내제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서 해석학의 근본적인 전제들 중의 하나는 성경은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 안에서 어느 특정한 저자에 의해서 그리고 인간의 언어로 기록 되었다라는 것이다. 폴리쾨르는 포괄적인 해석학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성경이 하나의 텍스트로서 문학 이론의 관점에서 이해되고 해석되어질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특히 리쾨르는 성서에 드러나는 신의 계시와 다양한 형태의 담론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는 각 담론 안에서 신의 계시의 다양성을 지적하였다. 또한 텍스트와 공동체의 관계 안에서 성경의 정전이 어떻게 확립되는지에 대한 과정이 연구되어야 한다. 텍스트는 공동체를 규정하고, 공동체는 동시에 텍스트를 규정하기 때문에 둘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관계에 있다.
        4,600원
        6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1879~1944)은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였으며 문학가로 치열한 인생을 보냈다. 그의 이러한 삶은 각종 언론보도를 통해 다양하게 드러나고 해석됐다. 대중은 언론을 통해 만해의 이미지를 받아 들였다. TV, 신문, 잡지, 라디오, 영화, 인터넷 등 미디어는 정보를 전송 한다. 근대화 초기에는 신문과 잡지가 주류를 이뤘다. 정보 전달은 물론 시대의 정신과 대중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이런 점 에서 언론에 등장한 한용운의 기사를 연구하여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용운은 독립운동에 참여해 민족의 고통을 극복하려고 했고, 승려로서 한국불교의 혁신을 꿈꾸었다. 깨달음을 구하는 승려의 본분도 발견할 수 있다. 한용운의 또 다른 삶은 문학인(文學人)이었다. 시대를 넘어 꾸준히 사랑받는 작품을 발표하면서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식민통치가 막을 내린 뒤에는 한용운의 이미지는 보다 구체화되고 확장되었다. 면모가 더욱 세밀하게 드러나고 매체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되었다. 특히 일제의 박해와 기만에도 뜻을 굽히지 않고 끝까지 지조와 절개를 지켰다는 이미지가 대중에게 각인됐다. 불의와 비굴을 용납하지 않는 학덕이 높은 선승이며 타협이 없는 독립지사였다. 미디어에 나타난 한용운의 이미지를 보다 광범위하게 살피는 것은 앞으로의 연구화제이다.
        6,700원
        69.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examines the perception of the plague in the traditional era, the literary response metho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resent day, and the utilizing method of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Today, while plagues are recognized in terms of overcoming, in the traditional era, plagues are recognized in terms of fear. In the traditional era, plagues were regarded as unclear objects, and literary works were created in a way to cope with plagues. These writings were also created to intimidate and drive out yeoggwi(疫鬼), and were also created to persuade and soothe them away. However, these writings themselves show a high level of literary character. Like today's so-called literary therapy, it goes to the point of healing at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level through the act of literary creation. The literary character of Lee, jeong-gwi(李廷龜)'s funeral oration is a transformation of Han, yu(韓愈)'s Songgungmun(送窮文) and expanding his worries about the country through self-examination. Yu, mong-in(柳夢寅)'s funeral oration describes the tragedy of suffering human beings realistically, is bitter and concrete in criticizing the wrongdoings of yeoggwi(疫鬼). Through such criticism and intimidation, the reversal that was perceived as the object of fear changes into a weak entity, which acts as a mechanism to find and overcome psychological comfort in the pain of reality.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he plan to utilizing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of the two work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can read the wisdom and thoughts of the ancestors who tried to overcome pain through introspection. In addition, students can comprehensively understand byeonmun(騈文),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lassics and Korean classics.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s funeral ritual to cope with plagues, and can read the format of the funeral oration, the subject and the content in multiple layers.
        5,500원
        70.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hu (朱) is a pictophonetic character and associative compound. Mu (木) and Zhu (丶) indicate the meaning, and especially the latter refers to the pronunciation as well. Its original meaning is wood with red inside. Zhu (朱) assumes the semantic function in pictophonetic characters.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comes from two sources: one is that it derives from the extended meaning of Zhu (丶) as the phonetic symbol of Zhu (朱) means red or bright; the other is that it derives from the extended meaning or rebus of a short form for Zhu (鼄), which means ‘to cut off’ or ‘a name of the place’.
        5,100원
        71.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일간지가 청소년 범죄를 어떠한 프레임으로 보도하는지, 그리 고 교정 차원에서의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 레임 분석은 뉴스보도가 문제를 어떻게 규정하고 어떤 의미를 담아내는지를 밝히는 분석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청소년 범죄’라는 검색어를 사용하 여 2014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최근 7년 동안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총 785개의 기 사를 기사 유형, 범죄 유형, 프레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전체 기간의 공식 통계 상의 청소년 범죄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기사 수는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연도별로 기사 유형, 범죄 유형, 프레임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결론과 함의 및 교정 차원에서의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7,700원
        7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錢時(1175-1244)는 중국 남송대 유학자로, 육구연의 학문을 계승하여 심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여러 경서들을 해석했다. 본인은 전시의 四書 주석서인 『융당사서관견』을 번역하여 전시의 경전해석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현재는 전시의 『尙書』주석서인 『융당서해』를 번역하여 그의 경전해석에 관한 연구를 점차 확장시키고 있다. 『융당서해』에는 기존과 다른 새로운 해석을 제시할 때 쓰는 ‘先儒’라는 단어가 「禹貢」 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기에, 본 논문에서는 「禹貢」편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게 되었다. 전시의 해석은 「禹貢」편의 전체적인 내용과 저자에 대한 이해부터 선유들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禹貢」편에서는 旅자가 세 번이나 반복되고 있는데 그 해석이 이 편의 마지막에 가서 어떤 다른 결론을 도출하는지에 대해, 스승인 주희를 대신하여 『尙書』를 해석한 蔡沈(1167-1230)의 주석서과 비교하며 살펴보도록 한다.
        5,500원
        73.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 관점에서 김환기 예술작품에 나타난 한국인 미적 원형과 치유적 의미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융의 관점에서 예술이 가지는 속성을 알아보고 김환기의 대표 작품을 통해 집단무의식의 원형이 어떻게 표현되는지와 그의 작품이 주목을 받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 김환기작품이 주는 치유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김환기작품을 통해 나타난 한국인의 미적 원형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거친 질감(texture)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교류와 관계를 중시하는 정(情)의 문화. 둘째, 무기교와 자연스러움에 대한 가치의 존중. 셋째, 가치지향성이다. 이 세 가지 특징을 바탕으로 김환기 작품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미술감상의 치유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미적 체험은 개인의 주관적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뿐 만 아니라 집단의 정서적 원형을 공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술작품에 나타난 원형적 상징을 경험하는 것은 인간정신의 보편성, 집단의 공동가치를 공유하며 치유적 힘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한 김환기의 미술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인에게 내재한 원형적 심상을 찾을 수 있고 예술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4,500원
        7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삶에 관한 예이츠의 비전을 살펴본다. 인간의 삶은 과거에서 현재로, 그리고 미래로 시간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한다. 예이츠에 따 르면, 과거는 보고 들은 것, 현재는 이미지, 그리고 미래는 영혼의 시간대이며 존재의 합일화가 이루어지는 시간대이기도 하다. 여기까지 보면 예이츠는 인간의 삶 자체에는 의미를 두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선택을 통해 영혼의 자유로운 시간은 다시 보고 들을 준비를 한다. 이렇게 인간의 삶은 과거와 현재를 미래로 연결해 나아가면서 세상을 구성해간다. 즉, 인간의 삶은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4,300원
        7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 Feizi was part of the Legalist school and a thinker who brought together i ts great achievements. His understanding of the Legalist and Taoist schools is refl ected in both his foundation and political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s the si gnificance of his thought from two chapters in the Han Feizi, “Jie Lao”(解老) and “Yu Lao”(喻老). The author first analyzes the meaning in the Han Feizi and the La ozi, and then analyzes the meaning in “Jie Lao”(解老) and “Yu Lao”(喻老). It can be seen from comparison that Han Feizi's understanding of Laozi's thought is bia sed towards the philosophy described in the Dejing,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many academic thoughts later on.
        4,600원
        7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석가모니는 무우수 아래에서 태어났고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뤘으며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들었다. 탄생, 정각, 열반은 부처님 일 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3대 사건이기에 무우수, 보리수, 사라수는 역시 불교에서 중요한 나무(聖樹)로 여긴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불교 3대 성수가 정확히 어떤 식물이고, 어떻게 경전에 언급되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불전도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 과 무우수는 실제 무우수와 같은 형태로 표현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형식화된 모습으로 마야부인 머리 위에 천개 형태로 표현되었다. 보리수는 무불상시대 부처님을 대신하는 상징으로 많이 표현되다가 간다라 불전도부터 본격적으로 부처님과 함께 등장한다. 초기 불전도에서는 실제 보리수의 모습과 흡사하게 표현하였으나 그 후 형식적인 나무 모습 으로 변해갔다. 그 형태로는 ‘두광형‘과 ’천개형‘으로 구분된다. 보리수는 사르나트 이후 점차 두광으로 역할이 대체되어갔다. 사라수는 열반 에 든 세존의 좌, 우 두 구루를 배치하여 사라쌍수를 표현했지만 일부 세 구루인 경우도 있다. 불전도의 3대 성수 표현은 간다라 양식의 사실적 묘사에서 점차 형식적으로 변하고 그 비중이 축소되었다. 이점은 실 존인물인 석가모니가 초월적 부처님으로 점차 인식이 변한 것과 연관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불전도 연구의 깊이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9,300원
        7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중 감각어 중 하나인 시각어에 대한 원형 의미와 의미 확장 그리고 특 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한국어의 시각어 중 토박이말을 대상으로 주요 시 각 동사와 시각 형용사를 살펴보고, 이에 상응하는 중국어의 시각 동사와 시각 형용 사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주요 시각 동사로는 ‘보다’를, 시각 형용사로는 ‘밝다·어둡다, 희다·검다·붉다·푸르다·누르다’를, 이에 대한 중국어의 시각 동사는 ‘看’을, 시각 형용사는 ‘亮, 暗, 白, 黑, 红, 蓝, 黄’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 하고 자한다.
        5,200원
        7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외 교육과정은 역량을 중심으로 미래 사회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며 ‘배움을 즐기는 행복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따라 교육부는 유아교육 혁신방안으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개편하였고, 3~5세 유아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교육과정으로 2020년 3월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시행 이후, 보육교사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어떤 의미로 받아 들이고, 실천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해 봄으로써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원,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각 2회씩 비형식적인 형태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주체적으로 노는 유아 발견’, ‘놀이에 대한 가치 발견’, ‘교사의 역할 변화’로 의미를 부여하였다. 실천에 어려움으로는 ‘놀이 지원의 한계’, ‘개입의 모호함’, ‘내부 방해 요인들’, ‘부모 이해 부족’, ‘업무 과중’을 들었다. 본 연구를 통해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과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현장 지원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700원
        7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불교의 무아설을 토대로 형성된 불교상담이 서양 심리학에 서 발달한 자아와 자기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하는 의 문에서 출발하였다. 유식불교의 자아관과 분석심리학의 자아관이 의미 하는 바를 비교해보니, 유식불교와 분석심리학 양측 모두 건강한 정신의 계발을 지지하고 있고, 분석심리학에서 의미하는 강하고 건강한 자 아는 유식불교의 수행관에서 자량위와 가행위와 같은 기초적 수행과 일맥상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식불교에서는 ‘나’라는 인식을 번뇌에 상응하는 마음의 상태로 규정 하여 ‘나’라고 하는 믿음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삼지만,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 과정 속의 자아’는 무의식적 힘에 사로잡히는 대 신 갈등을 해결하려는 태도와 함께 콤플렉스와 의식을 분리하고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며 이해해나간다. 불교적 방식으로 말하자면,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의 방향으로 향하는 자아는 번뇌와 상응하지 않고 오히려 인내, 믿음, 관조, 근면함, 통찰과 같은 선한 심소와 상응하는 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 유식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무아 즉 공의 진실을 깨닫기 위해서는 무분별지의 획득이 중요한데, 비록 분석심리학의 자아는 이원적 인식으로서 스스로 무분별지를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분석심 리학에서는 자아가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의식을 집중하고 자기에게로 다가감으로써 스스로 힘이 약해지고 자기가 드러나게 된다. 비록 불교에서는 의식의 주체를 인정하지 않지만, 만일 분석심리학에서 의미하는 ‘자기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의식의 주체’라는 자아의 기능이 가지는 심리치료적 효과를 이해한다면, 불교상담도 이러한 자아의 강화를 지지할 것이다.
        11,100원
        80.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에서는 五行의 起源과 관련하여 역사적 기점을 선사시대와 夏⋅殷⋅周 삼대로 대별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오행의 원시적 의미를 다양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첫째, 먼저 先史時代기원설과 관련하여 선사시대의 유물과 유적을 통해서 동서 방향의 구분이나 四神의 초기 형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을 오행설의 초기 형태와 연계시킬 수 있다. 둘째, 夏⋅殷⋅周삼대 기원설과 관련하여 『尙書』에 보이는 오행 관련 자료를 종합하면, 오행은 殷⋅周交替期에 명시적으로 정리되고 활용된 것으로 보이고, 그 의미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다섯 가지 물질이며, 나아가 그것을 주관하는 부서 및 관료를 지칭한 것이다. 셋째, 오행의 원시적 의미와 관련하여 殷代人의 역사와 생활 조건을 고려 하면 직관적으로 하늘과 땅의 구분에서 하늘(上帝)이 우선하며, 해와 달의 구분에서 해가 우선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계절의 변화와 아울러 오방 관념이 분명히 보이므로 오행설의 원형으로 추론할 수 있지만 자신들을 “中商”이라 고 지칭하여 사방과 차별하는 관념을 볼 수 있다. 요컨대 오행설은 상고시대의 上帝를 전제로 하던 농경문화를 기반으로 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西周시대에 이르러 오행이 지시 하고 적용되는 범위가 확대되면서 그 의미가 다섯 가지 기본 물질로부터 그 것을 관리하는 부서와 官僚를 의미하기도 하고, 相生⋅相克의 관계로 심화되 었으며 秦漢代에 이르러 陰陽과 아울러 인간과 우주 만물의 생성 변화 및 분류의 표준으로 정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6,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