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

        64.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velopment of nanoparticulate materials technology is essential to processing of highly functional nanoparticulate materials and components with small and complex shape. In this paper,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n surface roughness and shrinkage of sintered Fe-8 wt%Ni nanopowder components fabricated by PIM were investigated. The Fe-8 wt%Ni nanopowder was prepared by hydrogen reduction of ball-milled FeO-NiO powder. Feedstock of nanopowder prepared with the wet-milled powder was injection molded into double gear shaped part at 120. After sintering, the sintered part showed near full densified microstructure having apparently no porosity (98%T.D.). Surface roughness of sintered bulk using nanopowder was less than 815 nm and it was about seven times lower than 7 m that is typically obtainable from a sintered part produced from PIM.
        4,000원
        65.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ttachment and adhesion of RAW 264.7 and MC3T3-E1 cells to titanium (Ti) discs with various degrees of roughness was investigated. The attachment, adhesion, and proliferation of these cells were evaluated after 4 hr, 24 hr and 7 day incubations. Both RAW 264.7 and MC3T3-E1 cells showed a time-depend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adhesion on the surface of the titanium discs. Both types of cells tended to have higher survival rate on these discs as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The percentage of adherent inflammatory RAW 264.7 cells was greater than MC3T3-E1 cells at 24 hr, but this was reversed at 7 days in culture. The morphology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at 24 hr, determined using a surface emission microscope (SEM), appeared flattened and spread out while inflammatory RAW 264.7 cells were predominantly spherical in shape. The adhesion of both cell types on the titanium discs was dependant on the levels of fibronectin adsorbed on the disc surface, indicating that serum constituents modulate the efficient adhesion of these cells. Our data indicate that the cellular response to the titanium surface is dependent on the types of cells, surface roughness and serum constituents.
        4,000원
        6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3년도부터 2007년도까지의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운영에 의한 포장상태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교량부 평탄성 불량 구간과 그 원인을 조사 분석하여 도로교량 구간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교량평탄성 불량구간이 효과적으로 유지보수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고속도로 포장유지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분석과 이에 대한 현장 검증 결과, 교량구간의 평탄성이 토공부에 비해 상당히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교량구간의 평탄성 불량 원인은 교면포장(접속부 포함)의 조기손상뿐만 아니라 뒷채움부 침하에 의한 접속부 포장의 단차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교량구간은 현재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사장비에 의한 포장상태 측정과 병행하여 뒷채움부 침하가 원인인 단차를 측정하여 교량구간의 평탄성 불량지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조사 및 평가체계를 수립하였다.
        4,000원
        6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rface roughness is an important factor to evaluate machined parts in precision machining. This is the major measure of surface quality. This research sets up experiments to select the factors which affect surface roughness in the machining of inclined
        4,000원
        70.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속은 풍상측의 지형지물 등의 영향으로 같은 풍속이 불어올지라도 그 값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상대 주변의 지형지물의 변화 즉 지표면 조도(노풍도)에 따라 측정되는 기상대 관측풍속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상대에서 관측되는 풍속은 이들을 보정하여 표준화 하여야만 건설 환경 등 많은 분야에서 설계 시에 사용 할 수 있다. 기상대에서 측정된 풍속은 측정소 주변의 지형지물에의 변화에 따라 그 풍속을 일정한 환경에서의 풍속으로 평활화(표준화) 할 필요가 있다. 기상대 풍속을 정확하게 평활화하기 위해서는 풍속 측정 당시의 지표면 조도를 알아야만 하나, 거의 대부분의 기상대에는 그 주변의 지표면 조도에 대한 과거 자료가 거의 전무한 실정에 있다. 일반적으로 Gust Factor(최대순간 풍속/평균풍속)는 지표면조도와 상관관계가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상대풍속의 Daily Gust Factor를 사용하여 하여 년 평균G.F로 구하고, 이것을 토대로 각 기상대별 G.F. 및 지표면 조도를 구한다. 이 값에서 구한 최근의 조도와 실측(현장목측, 사진 및 지형도에 의한 분석)을 비교하여 이방법의 유효성을 검토했다.
        4,000원
        73.
        2006.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uminum-based composites reinforced with various amounts of were produced by powder metallurgy (P/M). The machinability properties of were determined by means of cutting forces and surface roughness. Machining tests were carried out by using PCD and K10 tools. Increasing of volume fraction in the matrix resulted in a decrease of the surface roughness and turning forces. PCD cutting tools showed better cutting performance than K10 tools.
        7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을 통하여 채색 플라스틱의 거칠기에 따른 감성의 평가구조를 밝혀내는데 있다. 각각의 색채 샘플에 거칠기를 적용한 샘플을 피험자에게 제시하여 설문하고 분석하였으며 감성과 물리적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채색 플라스틱에서 거칠기에 의한 감성평가요인은 3개의 축으로 나타났다. 또한 5가지의 제시된 색채 샘플에서 거칠기에 의한 유의미한 감성평가의 차이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플라스틱이나 기타 소재의 표면 가공에 있어 색채와 거칠기에 의한 표면 디자인의 감성평가를 위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서 활용될 것을 제안한다.
        4,500원
        7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 speed machining is a machining process which cuts materials with the fast movement and rotation of a spindle in a machine tool. It reduces machining time because of the high feed and the high speed of a spindle. In addition it gets rid of post proces
        4,000원
        80.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고속가공에 있어서 고속가공 기술의 도입으로 금형소재의 고정밀 및 고능률가공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가공정밀도의 개선은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여주고, 생산성의 개선은 가공경비를 감소시켜 가격 경쟁력을 높여 준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절삭에 의해서는 각종 공구 및 공작물의 재질에 따른 절삭조건의 제한으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속가공은 황․정삭 가공 개념 없이 생산성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가공 능률 향상과 공정감소로 인한 경비절감을 꾀할 수 있어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속가공에 있어서 그 표면거칠기를 모델링하여 최적화하고자 한다. 고속가공에서 주축회전수, 이송속도를 변화시켜가며 가공 실험하여 얻은 표면거칠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bicubic polynomial 곡면보간법으로 주축회전수와 이송속도에 따른 표면거칠기 곡면 근사식을 유도한다. 즉 이 근사식을 이용하여 표면거칠기의 최적해를 구하고자 한다.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