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2

        6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국립공원 신규 탐방로 개방 전․후 초기 토양경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2018년 5월 16일에 개방된 설악산국립공원 점봉산 곰배골 신규 탐방로이며, 조사시기는 탐방로 개방 전 2018년 4월 27일과 탐방로 개방 후 2018년 6월 23일에 실시하였다. 토양경도 측정은 미국 Foresty Suppliers, Inc.사의 토양경도계를 이용하였으며, 분석은 Spss ver.23을 통해 시행하였다. 탐방로 개방에 따른 탐방로 좌․내․우측의 토양경도를 비교 한 결과, 탐방로 내의 토양경도는 개방 전 2.00±1.09kg/㎠에서 개방 후 3.72±0.70kg/㎠로 높아졌으며, 탐방로 좌측의 토양 경도는 개방 전 0.46±0.45kg/㎠에서 개방 후 0.98±0.68kg/㎠로, 탐방로 우측의 토양경도는 개방 전 0.51±0.42kg/㎠에서 개방 후 0.76±0.52kg/㎠로 나타났다. 탐방로 유형별(계곡, 사면)의 토양경도를 비교한 결과, 탐방로 좌측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탐방로 내와 우측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방로의 토양경도는 계곡부와 사면부 등 지형 유형과 관계없이 탐방로 개방 후에 높아졌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국립공원에서의 탐방 등 레크레이션 에 의한 생태적 영향 규명과 국립공원 핵심 서식지에서의 보전 관리 지표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62.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타인을 위하여 무엇인가를 베푸는 행위가 인간을 기쁘고 행복하게 만든다 는 것은 누구나 겪어 알고 있는 사실로서, 인간심리의 자연스러운 발현으로 생각된다.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모토를 내세우며 지혜와 자비를 궁극적 이상의 양 날개로 삼는 불교에서는 자비의 이타행이 더욱 도드라진다. 그렇다면 이것은 오직 불교에서만 그러한 것인가, 아니면 모든 종교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인가. 만일 모든 종교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면, 거기에 불교의 고유한 가치와 특성은 또 어떻게 드러나게 되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타행과 행복 사이에서 매우 자연스러워 보이는 연결의 메커니즘을 그저 자명한 것으로 선언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학술적인 개념과 논리로써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자비의 불교적 이상을 설명할 때에도 불교의 내적 논리를 되풀이하는 환원론에 빠지지 않고, 진화심리학과 공리주의적 윤리학의 가설들을 빌어 와 가급적 불교 외적 관점에서 그 발현 기제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본문의 논의를 통해 이고득락, 사성제, 사무량심, 바라밀(보시바라밀)과 서원, 공덕회향 등의 불교 교리들이 행복의 정의와 조건, 자비의 이타적 속성과 효과, 자비윤리의 공리주의적 성격을 설명하기 위하여 재조명될 것이다. 또한 그럼으로써 이타적 심성과 행위에 내포된 행복의 메커니즘이 진화과정을 통하여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생득된 것임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보편적인 인간의 속성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불교는 무아 무상 공성이라는 고유한 논리체계를 작동함으로써 그 독창적인 종교적 가치를 견지한다.
        8,300원
        63.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possibilities of the Industry 4.0 systems within the production of fashion luxury goods by collecting the opinion of the managers and the perception of the potential custom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echnologies 4.0 can be implemented within luxury fashion production without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finished product. However customers are negatively prevented against them. Therefore, giv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now more demanding than ever, it would be appropriate to implement such systems without disclosing it to customers. Theoretical development With this research we aim to demonstrate that in the world of luxury fashion production there is room, if not the need, to implement the technologies of the Industry 4.0 without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We believe it is crucial that the luxury environment starts to seriously consider the Industry 4.0 as the former, in recent years, has become ever more challenging. Since luxury has become more accessible to masses, customers are no longer content just by getting the product, they often want it before the general public has it or fully customized to distinguish themselves. This implies a reduction of production times together with multiple rearrangements of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Which is why we need to start thinking about Luxury and Industry 4.0. The concept of Industry 4.0 started developing with the exponential involvement of technological means during production processes of any kind. The term describes the model of the “smart” factory of the future where computer-driven systems “monitor physical processes, create a virtual copy of the physical world and make decentralized decisions” based on self-organization mechanisms (Smith, 2016). The goal of the industry 4.0 is to reach a deeper inter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available resources and the final customer; it’s a multiple layer engagement composed by complex machines, people, products, information within the production sight and all along the value chain (Tolio, 2016). The implementation of such systems allows achieving better levels of efficiency and contributes to increase the competitive advantage; it is a revolution that involves a company at all levels from the production centers to human resources. Although luxury fashion is a quite peculiar industry, all its processes are still very much cyclical and could benefit from the help of such implementations. The main technologies that are often quoted as being at the core of the Industry 4.0 are IoT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dditive manufacturing, 3D printing, augmented reality and new generation robots. All this may seem too futuristic for an industry such as luxury that has always been associated with craftsmanship. When defining luxury in fact, one of the qualities attributed to this kind of products is the “strong connection with the past proven by the tradition handed down over time” (Dubois, 2001); a description that can be taken quite literally as the heritage of the brand is built upon the traditions passed on by the different artisans who crafted the product. But if we fraction the production process and analyze it in depth, we will see that it is cyclical, and that some of its parts may benefit from such technologies that would make it leaner without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end product. An example of this can be seen in the laser cutting machines for leather. A robot can cut the elements required to compose a bag in a few minutes, while it would take up to half an hour to do it by hand. Even if mechanically cut though, the bag will still need to be assembled by a highly skilled artisan to become the exceptional quality product that customers expect to see in stores. Many are afraid that technological implementations will lead to the disappearance of the artisanal component failing to understand that the Industry 4.0 is not about complete automation but rather about human-machine interaction. Talking about production we will refer to the process in its integrity, from the sketches to the products in the stores. Research design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questiont professionals who work in different stages of luxury fashion production for different companies. All the interviewees were chosen among the industry biggest players: LVMH, Kering, Richemont, Hermès, Chanel and others. To establish the sample of interviewees we divided the production process into four main phases and then identified at least one professional to question for each one of them. The subdivision we applied was the following: ⦁ Phase 1 - Creation & Design ⦁ Phase 2 - Production & Merchandising ⦁ Phase 3 - Retail & Marketing ⦁ Phase 4 - Supply Chain & Distribution Each interviewee was asked a set of specific questions related to the complexities of their job and the problems encountered while doing it (Appendix 1). Among the sample there were two professionals that did not belong to the production process but that we deemed necessary to involve to have a more complete outcome. One is a Professor of Fashion design at the Politecnico of Milan, the other is a Strategic Planning Analyst who works for Lectra, one of the biggest companies producing technologies for fash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customers we distributed a multiple choice survey to a heterogeneous sample of 200 people. Among the questions asked one was strictly related to the use of technology while the others regarded arguments, related to its utilization, that emerged while interviewing the professionals. Despite not being directly on the use of technology, we deemed the other queries important to evaluate if the problems emerged from the interviews were relevant also from a customer point of view. The questions submitted via survey were the followings: 1) On a scale of 1 to 4, (1= low interest, 4=high interest) how interested are you in luxury goods? 2) How much worth is being able to buy a luxury good before it is on sale in stores? (1= not worth, 4= very worth) 3) Would you think of higher quality a bag completely handcrafted rather than the very same bag produced also by using industrial processes? 4) Would you attribute a higher value to a luxury product conceived to be respectful for the environment? The survey ended up highlighting that customers have a negative bias towards the exploitation of such systems within the production of luxury goods. In fact they attribute a higher value to completely handcrafted products, without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the latters may have more defects. The methodology used was successful in helping us understanding the opinion of the management along with the perceptions of the customers. Moreover, through the interviews we were able to highlight practical daily problems encountered by people directly involved in the production process. Results and conclusion We used the problems that arose as bases to begin thinking what could be concretely implemented, in which phase and with what goal. We started by focusing our attention on five points that currently challenge production and could be exploited as opportunit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c technology. Nevertheless, we also highlighted three main limits that might prevent the application of said technology. The opportunities of implementation were the following: Production times - Representing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the industry, we believe that technology could come to the rescue especially in the first two stages of the process. For example, the use of 3D printing to produce some prototypes or certain components that could be useful for reducing time and costs. Another example is Modaris 3D, a new generation software that allows you to digitize the pattern allowing you to see it in 3D. Exploiting this software would allow to predict the potential problems of the prototype before even crafting it and would help save a lot of time and resources. Not to mention that digitized patterns can be archived and easily reused later. Moreover, the exploitation of the new generation robots to pre-cut certain components would once again allow a shorter production time and reduce costs. Couterfeiting - Another implementation opportunity is represented by counterfeiting. Now that online commerce is booming, the fake industry is at its peak and people find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what is real and what is not. IoT technologies could help immensely with this problem. One of the interviewees working in the distribution phase told us that today when the products are shipped, in order to track them down and recognize them from counterfeits, companies install into their pockets RFID chips, small chips similar to those of credit cards. Their limitation though is that they can be traced or recognized only if scanned. The use of IoT technologies on this type of device (for example, providing the same type of support with a GPS) would allow them to be interactive and serve their purpose even better when the products are shipped all over the world. Sustainability -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sustainability has become increasingly relevant, to the point that some luxury empires have been built on it, as in the case of Stella McCartne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al cause, fashion houses could start by wasting less resources. One way to do this could be to use software to optimize pattern placements on fabrics or on leather. Human supervision would still be required, as some pieces need to be cut from specific parts of the leather but it would certainly help in making some useful proposals. Internal communication – Internal communication is a problem at all levels of the production process. It can be an issue especially when it comes to communicating the intentions of the design team to the production and controlling the stock level in real time. In the first case, to solve the problem, we could consider the implementation of a software like PLM (Product Life Management). This type of program helps to follow the transformation from sketches to prototypes to products,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everything that is present on the garment, specifying consumption and costs of materials. With regard to the inventory control problem, we could again use the help of the IoT. Inventory control is a problem both in terms of raw materials (for all those houses that produce prototypes internally) and finished products. In the first case a potential solution could be to label the raw materials with magnetic labels that would allow to see immediately when the components leave the stock. In the second case, as previously mentioned, supplying the finished products with IoT chips would help to locate them and know how many are in stock. Demand forecast – Another major help that industry 4.0 could bring to fashion production is the exploitation of big data to forecast the demand. Nowadays in fact, the constant and hardly predictable changes in fashion heavily affect a demand that already has few reference standards. When it comes to forecast, several factors have an impact on it: trends, social medias, consumption habits etc. The most unpredictable of these factors is probably represented by the social media as clients may cause a peek in demand after seeing a celebrity or an influencer wearing a specific product. Giving all this, it's evident how the more variables we are able to consider when doing forecasts, the better the chances of predicting a scenario close to reality and Big Data would allow to do so. As previously mentioned we also highlighted some limits that could prevent implementation: Costs - The more significant limit when talking about this kind of technology is related to cost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the ones needed to purchase the technology as well as the ones to train the employees in order to make the implementation possible. As we all know technology is extremely expensive, and in a certain way a form of luxury itself, often being just for few. The size of the brand would modulate of course the amount of the investment in it. Client perception & adverse attitude – The survey pointed out that clients are negatively biased towards technology and, if informed that the product has been realized with the help of technological means, may attribute to it a lower value. What it'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ough, is that, when taking a survey, you are in front of a screen and not in front of the products. I believe in fact that if a "blind" test was conducted presenting two products of which one completely handcrafted and the other realized by artisans who exploited technological means as well, no one would be able to tell the difference. Training of employees - Another big challenge in the implementation of such systems is the training of the employees. Implementing these technologies for some employees may mean learning again how to do their job with the help of a computer. Being an environment where youngsters are outscored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this may represent a problem. In conclusion our research proved that there is indeed room to implement the 4.0 systems as the issues emerged can be partially, if not completely, solved by introducing these technologies making the process leaner and more efficient. Nevertheless, giving the fact that customers are negatively biased towards their use, it would be appropriate avoiding to disclose the information with them.
        4,000원
        65.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상 제사가 실존적·실제적 차원에서 여전히 중차대한 한국적 상황에서 본 논문은 자신학(自神學)적 시도로써 한국적 조상 신학을 세계관 분석을 중심으로 예비적으로 탐색한다. 첫째, 현상학적 접근의 결과 조상 제사에 내재한 혼합주의적 요소가 파악된다. 무교(샤머니즘)적 우주관, 불교적 구원관, 유교적 윤리관이 조상 제사의 세계관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성경적 평가의 결과 혼합주의적 세계관의 실태가 드러난다. 무교적 우주관 으로는 정령(精靈)―망자(亡者) 지향성이, 불교적 구원관으로는 공로(功 勞)―보살(菩薩) 의존성이, 유교적 윤리관으로는 계층-남성 중심성이 특징을 이루고 있다. 끝으로, 본고의 연구 결과 한국적 조상 신학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이 제시된다. 우주론적으로는 정령-망자가 아닌 섭리-창조주 지향성이, 구원론적으로 공로-보살이 아닌 은혜-그리스도 의존성이, 윤리적으로는 계층-남성이 아닌 평등-인류 중심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탐색적 연구 즉 세계관 분석 및 변혁은 한국적 조상 신학 정립에 관한 선교학적 논의에 있어 정향(正向)적 기제로써 기여할 수 있다.
        5,800원
        6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명승은 우리 선조들의 산수관이 반영된 국토경관의 일부 이자 인간과 자연이 만나 이룬 문화경관이다. 1970년대부 터 국가지정문화재로 본격 지정되기 시작한 명승은 전래명승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지 못한 채 단기간에 지정건수가 중가하여 현재 110건에 이르렀다. 그러나 조선시대 명승의 현황을 알 수 있는 국찬 지리지와 각종 관련 저작들이 다수 있으며 조선시대 남승도놀이에는 조선팔도에 걸친 명승지와 그 가치에 관한 자료가 현존한다. 본 연구는 우리 전래명승에 대한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발굴과 명승경관의 인식 특성 속에서 우리 명승만의 유전자를 발견하고자 조선시대 가장 영향력있는 지리서인 택리지와 이중환을 주제로 삼았다. 택리지는 국찬지리지와 달리 온전히 개인차원에서 제작된 점과 그의 독특한 경관관 이 반영된 점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어 최근 그 가치를 재조명 받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이중환의 경관인식 형성에 영향을 주었던 주변인물의 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살펴보았고 택리지에 나타난 기술특성을 통해 명승경관에 관한 관점인 명승관 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이중환과 같은 여주이씨 집안 사람으로는 성호 이익, 이가환 등 걸출한 인물이 많아 이중환에 미친 영향관계를 가늠할 수 있다. 여주이씨가 배출한 인물중에는 지리지를 편찬한 사람이 유독 많다. 집안 사람으로 정구의 <창산지>, 허목의 <삼척지> 이상의의 <성천지> 이원진의<탐라지> 등이 전한다. 이러한 가풍이 이중환에 미친 영향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점은 택리지에는 전라도와 평안도지역은 실제 답사한 일이 없고 그간 학습된 내용을 토대로 균형감 있게 기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문화재보호법에서 명승문화재의 가치로는 경관성, 역사성, 학술성을 대표적으로 들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중환의 택리지에 나타난 명승기술 양상은 현재와 유사한 점이 많다. 택리지의 명승은 현재의 지정기준과 비교하면 산악, 명산, 하천, 조망점, 바위, 동천(구곡), 경작지, 사찰 등에 편중된다. 물론 이러한 유형분류는 자연명승과 역사문 화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당시 전국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 인다. 이중환이 경관의 주제로 삼은 핵심은 산이다. 택리지의 산수조에는 산맥을 중심으로 국토의 경역을 구분하고 산맥 에서 다시 영으로 다시 세분화하고 다시 산을 중심으로 지역별 명승지를 언급하고 체계를 지니고 있다. 이는 우리 국 토의 70%가 산지인 점을 고려할 때 한반도 경관의 특징과 주요요소를 잘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산을 대표적 명승지로 취급하고 지역별·단계별로 차등화하여 언 급한 것으로 특징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 명산이 가거지의 한 유형으로 부상한 것과는 달리 택리지 산수조에서는 명승 지와 가거지를 동일하게 취급하지 않는 불일치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 또한 특이하다. 택리지의 서술은 명승 등 주요 경관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이에 대한 감상평을 제시함으로서 명승지를 방문하지 못한 이들에게도 생생하게 그 경관을 가늠할 수 있도록 배려 하였다. 이와 같은 사례로 금강산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는 데 이중환은 “내가 본 바와 들은 바를 참고하면 금강산 1만 2천봉은 순전히 돌봉우리·돌구렁·돌내·돌폭포이다.”라고 밝히는 등 자신의 경험과 함께 주변의 견해를 꼼꼼히 수집하여 객관적인 경관기술을 위한 노력의 흔적이 보이고 있다. 택리지에 복거총론 산수조에 나타나는 서술특성을 사례 로 살펴보면 총론에서 강론으로 이어지는 서술순서, 전문가적 소양을 바탕으로 하는 엄격한 평가기준, 상세한 경관의 묘사, 인문요소와의 결합, 명승지의 비교평가를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는 현재 문화재 지정시 지정조사 보고서와 유사한 내용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그 우수성과 체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산수조에 실제 서술방식을 살펴보면 백두산에서 한라산으로 이어지는 지맥에 따라 대표적인 산수를 열거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는데, 우리 국토의 형세에 대해 산과 물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산은 영을 중심으로 구분하는 등 간결하면서도 전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서술순서는 백두산-금강 산, 설악산, 한계산, 오대산, 태백산-소백산-속리산-덕유산- 마이산-추월산, 무등산-월출산-백운산-한라산 순으로 오늘 날 백두대간의 지맥과 관련지을 수 있다. 이중환이 ‘전라도 와 평안도는 내가 가보지 못하였지만 강원·황해·경기·충청· 경상도는 내가 많이 가본 곳이다.’라고 밝힌 바와 같이 한라산부터 백두산까지를 일련의 기준에 따라 정리하는 서술방 식은 이중환의 편집자적 면모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 한 명시된 명승지에 대한 각론에서도 지형이나 지세 등 입지를 서술한 뒤 일대의 사찰 및 명소, 주요지점을 제시하고 각 대상에 대한 경관이나 감상, 관련인물과 고사 등을 체험 위주의 답사기 형식으로 표현하고 전반적으로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 주제를 이동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명승지로서의 산과 사찰, 승지를 따로 세분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유형분류는 모두 산과 연관되어 있다. 명승지로서의 산은 영평의 백운산, 곡산 고달산, 광주 무등산, 영양 월출산, 장흥 천관산, 흥양 팔영산, 순천 조계 산, 대구 팔공산, 청도 운문산, 울산 원적산, 청하 내연산, 청송 주왕산을 꼽고 있다. 이는 명승지로서 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부분이다. 당시에 발간된 관찬지리지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지형 등을 설명하는 별도의 기준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종류 별로 나열하는 서술방식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중환은 자기 만의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엄격한 분류체계를 가졌으 며, 명승지를 논할 때 각 대상의 가치를 발굴하고 표현했다. 그리고 지형의 형태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적절 한 예시표현으로 설명을 곁들이기도 했다. 이는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동일한 대상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택리지에 나타난 산수 경관의 평가는 경관의 심미적 평가 에서 더 나아가 의미까지도 자신의 뜻을 통해 등급화하고 있다. 산과 물, 들, 공간지각과 천석 등은 일반적인 오감에 인지 에 의한 인식이라기 보다는 택리지의 가거관에 입각한 서술이 주를 이룬다. 예를 들어 산에서 수려하다. 매우 높지 아니 하다, 추하다, 험하다 등에는 이미 경관의 평가조건에 전제 된 이중환 자신의 가거관이 배여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외의 문화경관적 특성으로는 자연경관과 인문요소의 결합을 들 수 있다. 택리지에서는 각 명승지의 경관을 설명 할 분만 아니라 해당지역의 유래와 관찬지리지에서 누락된 인물 및 고사 등을 추가로 수집하여 언급하였다. 택리지를 통해 본 이중환의 명승관은 명승이라는 한국전통경관에서 지형이나 지세가 갖는 학술적 가치, 경관의 심미적 가치기 준과 역사성 등을 망라하여 인문환경과 자연환경적 평가기준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제시되고 있다.
        6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근대시기 명승에 관한 저술의 하나인 육당(六 堂)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의 조선상식(朝鮮常識) 「지리편(地理篇)」의 구성과 체계, 명승지에 대한 저술동기, 저자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명소에 대한 견해 등을 살펴보았 으며,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상식 의 구성은 풍속(風俗), 지리(地理), 제 도(制度) 총 3책으로 나뉘어 있으며, 그 중 「지리편」에는 한반도 국토경관에 관한 지리적 사상과 장소에 대한 설명이 기술되어 있다. 「지리편」의 세부구성은 다시 ① 지문류(地 文類), ② 산악류(山岳類), ③ 강해류(江海類), ④ 인문류 (人文類), ⑤ 국호류(國號類)로 5가지의 대주제로 분류되 어 있으며, 각 대주제에 대해 총143가지의 소주제를 다루고 있다. 지문류는 한반도의 면적 지형·지세 형태와 관련한 일 반적 지식의 소개가 주를 이룬다. 산악류는 한반도의 산맥 을 중심으로 대표 명산의 설명, 강해류는 대표적인 강과 바 다, 그리고 7대도서의 연혁을 소개하고 있으며, 인문류는 한반도 인류변천과정 및 팔도별 연혁, 국호류는 한반도 역 사와 관련한 지명에 대한 이해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둘째, 저서의 기술방식에 있어 대중성을 고려하여 되도록 쉽게 구성하였다. 조선상식은 일제강점기에 주로 사용되 었던 구자체(旧字体) 형태를 따르지 않고 국한문혼용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128×182mm 크기의 지면에 1페이지가 넘지 않는 분량을 정하여 소주제별로 요약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대중들에게 조금이나마 쉽고 명료한 방법으로 전달 하고자 배려했던 고려들로 판단된다. 또한 책자의 구성은 소주제별 명사형 제목을 표기하고 있어 사전적 성격도 갖는 다고 하겠다. 셋째, 1948년에 발행된 초판에서는 서문을 따로 작성하 지 않고 「조선십경가(朝鮮十景歌)」를 수록하여 한반도 내 대표경관을 소개를 대신하고 있다. 또 1953년 합본의 재판 에서 사용한 서문에서 조선상식은 1946년에 발간된 조 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의 전신임을 밝히고 있다. 조 선상식문답은 매일신보(每日新報) 연재물로 편찬되는 과정에서 주최측의 요청과 제한사항에 따라 체제가 빈약한 것을 문화사 자료를 정화(精華)하여 엮은 의도로 밝히고 있 다. 서문을 대신한 「조선십경가」는 최남선의 명승관을 대표 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대상은 제1경 천지신광(백두산 천 지에서 바라본 경관), 제2경 경포월화(경포에 비치는 달), 제3경 장기일출(호미곶의 일출), 제4경 변산낙조(변산바다 의 낙조), 제5경 대동춘흥(대동강 주변 봄빛), 제6경 금강추 색(금강산 단풍), 제7경 압록기적(경적을 울리는 압록강의 증기선), 제8경 연평어화(연평도 어선의 불빛), 제9경 재령 관가(동선령에서 바라본 경관), 제10경 제주망해(제주도 망 망대해)으로 구성된다. 넷째, 조선상식 「지리편」에서 소개되는 국토경관은 비 경이 아름답고 우수한 승지(勝地)를 우선순위로 삼지 않고, 민족의 뿌리와 정신이 서려있는 역사적 장소를 기준으로 선정되는 특징을 갖는다. 선정된 장소는 과학적으로 검증된 내용을 전달할 목적으로, 한반도의 인문·지리상 현상에 역 사적 검증을 거친 자료와 본인의 비판적 사고를 반영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 다섯째, 한반도의 대표 장소를 소개하는 기술방식에서 일 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감행되었던 왜곡되었던 한 반도 국토경관의 인식을 바로 잡고자하는 기술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각 주제별 내용을 요약하는 순서로 서두에 과학 적 지식에 근거한 일반적인 내용을 서술하고, 설명의 중간 부나 결론부에는 민족성 고취를 위한 역사·문화적 설명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지리편」 “팔도경승”이라 는 소주제를 살펴보면 산수가 수려한 자연환경을 기본으로 장소에 의미가 부여된 다수의 명승지가 분포한 한반도를 외국보다 월등하다고 말하며, 명승지 사례를 설명하는 데 있어 서산대사의 「조선사산평어(朝鮮四山評語)」를 인용하 고 있다. 「조선사산평어」는 서산대사가 40여 년간 머무른 묘향산을 칭송하는 시구로 전국을 두루 답사한 경험에 의해 서산대사가 정의한 조선4대 명산을 비평하는 글을 제시하여 본인의 생각을 대변하고 있는 것에서 민족자긍심 고취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설명의 추가하고자 한 견해가 기술되고 있다. 육당 최남선은 조선상식 지리편을 통해 시대적 상황에서 파생된 잘못된 과거 국토경관의 인식을 바로잡고자, 과거문헌 자료를 검증하고 본인의 지식과 경험을 최대한 반영하여 민중에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 조선상식 「지리편」은 일제강점기와 광복직후의 시대적 상황에서 인식되어지는 명승지에 대한 견해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 근대 시기 한반도의 국토경관 인식과 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손색이 없다.
        69.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풀잎은 노래한다』에 재현된 모세를 통해 레싱의 종교적 관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백인 여주인 메리의 살해범으로 등장하는 모세는 주로 흑백 갈등에 의한 문제와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해석되어 왔다. 본 논문은 모세의 기독교적 이름에 근거해서 모세가 이집트에서 히브리족을 구출하듯이 모세가 위선에 찬 백인 공동체에서 메리를 해방시키는 구원자로 읽고자 했다. 『풀잎은 노래한다』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읽을 수 있는 단서는 모세가 미션스쿨 출신으로 영어를 구사하고, 메리의 무능하고 불운한 남편을 요나로 설정한 것에서 볼 수 있다. 또 레싱은 메리와 모세가 피 흘림을 통해 만나도록 설정하여 기독교에서 희생제물을 통해 죄를 용서받는다는 상징적 의미와 연계시킨다. 특히, 주목할 점은 레싱이 흑인 모세를 통해 제도와 교리만을 강조하는 편향된 기독교의 관점을 비판하고자 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풀잎은 노래한다』는 기존 종교와는 다른 빛과 어둠의 양면을 수용하는 레싱의 종교적 관점이 반영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5,700원
        7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동과 여성독립운동을 세계평화의 시각에 대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일본 에 의해 국권을 상실했던 시기의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 동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특히 3·1운동은 민중운동으로서 계층과 지역, 성별의 구분을 넘어선 독립운동이었으며, 그 시대 독립운동이 지향한 독립과 자유에 대해 평화적 견지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첫째, 그 시대가 당면했던 독립의 과제는 시대적·민족적 견지에서의 독립이었으며,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둘째, 3·1운동에 참여한 여성은 주체의지로 독립운동의 참여자, 실천자로 변화했으며, 독립운동사 에서 한 주류로 한국여성독립운동의 맥락을 이어갔다. 셋째, 3·1운동은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미주 등으로 확산되면서 아시아 약소국이 자유 의지를 발휘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국내에서는 독립운동의 정신적 저력이 되었다. 이상에서 3·1운동은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재인식되어야 하며, 3·1운동과 한국여성독립운동이 평화운동으로 주목받아야 할 것이 다.
        6,100원
        7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죽음과 그 이후의 삶에 대한 관심은 수세기동안 지속되어 왔다. 예이츠는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 『환상록』(A Vision)에서 밝힌 자신의 관점을 후기 시에 투영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예이츠 후기 시에 나타난 죽음 이후의 삶의 변모를 탐색하는 데 있다. 예이츠는 죽음 이후의 영혼의 과정을 4개의 원리(the Husk, the Passionate Body, the Spirit, and the Celestial Body)로 규정하고 6과정의 단계를 거쳐 변모한다고 주장한다. 자신의 창의적인 시를 통해 죽음 이후의 영혼의 환생과 생존에 대한 명상은 예이츠의 삶에 대한 강렬한 갈망이 잠복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5,200원
        7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reasons why Louis I. Kahn is regarded as a pioneer of Post-Modern Architecture is that his works are interpreted as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in architecture. A. Lüchinger’s interpretation of Structuralism and M. Benedikt’s interpretation of Post-structuralism; especially Deconstruction Theory, in Kahn’s architecture must be proper cases for understanding this context. However, when we precisely analyze their insistence, several fallacies can be found with their incomplete grasp of Kahn’s architectural thinking. The most problematic thing is that they maximize fallibility with focusing only on the analysis of superficial phenomenon, such as formal composition, disposition of space, decorative features, and so on. Therefore,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essence toward Post-Modern Architecture which Kahn had pursued during his lifetime is sometimes misinterpreted. For this reason, this paper attempt to reanalyze Kahn’s philosophy of architecture deeply with the view of aesthetics which has a key role in both overcoming their fallacies and illuminating the potentiality of Kahn’s architecture.
        4,600원
        79.
        201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tocol for China’s accession into the WTO stipulated certain differential treatment for China, including the determination of normal value in anti-dumping investigations for the transitional period of 15 years. This treatment was authorized by the Protocol in response to concerns raised by other WTO Members at the time of China’s entry into the WTO. Since the transitional period is over in November 2016, there is an argument supporting the grant of market economy status to China, although the Protocol does not require the automatic grant of market economy after the passage of the transitional period. However, China’s recent trade measures, which have been adopted to press another WTO Member to meet its political objective, raise a question as to whether China is indeed ready for market economy status. This article analyzes such case and offers a view on the grant of market economy status to China.
        6,100원
        80.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내생적 성장모형을 통해 경제성장과 사회적 효용 관점에서 기초연구 예산의 적정 비중 및 그 규모를 다룬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스톡을 고려한 내생적 성장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기초연구예산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을 제시한다. 아울러 정부의 투자 비중과 기초연구 투자 비중 간의 이론적 적정 비율은 정부자본에 대한 산출 탄력성과 지식스톡에 대한 산출 탄력성 간의 비율과 같다는 사실도 도출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기대어 기존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따라 필요 파라미터 값들을 특정한 후 적정 규모를 산정하고, 실제 투자 규모와 비교함으로써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해보았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는 적정 투자 규모 수준에 대한 새로운 기준과 그 규모에 대한 대략적인 수치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기초연구정책 수립과 관련하여 합리적인 예산배분⋅조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적의 해는 경제적 관점에서 도출한 것이므로 해석함에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7,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