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8

        83.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환경 교육 과정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초, 중, 고등학교의 과학 교과서에 실려있는 환경 관련 내용을 1)환경 오염의 원인, 2)환경 오염의 실태, 3)생태계 원리, 4)환경 위기극복을 위한 노력 등 4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실려있는 환경 관련 내용은 생태주의적 관점보다는 환경주의적 관점에서 저술된 것으로 파악되었고, 또한 환경 관련 내용들은 서로 교과목간 또는 교과목 내에서
        4,000원
        8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sters program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opened since 1995 in Korea. Only 3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re offering this masters program and 4 more universities are to follow. Because this program is just at the beginning level, it is the time to present the idealistic elementary music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asters degree.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had 3 steps: first step was to compare all 7 masters program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second step was to compare 4 American elementary music education curricula for the masters degree; third step was to draw the common elements from the comparison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n and Americ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1) both curricula from two countries have 4 common courses of music education such as elementary music education, foundations of music education, research in music education, principles of music education or psychology of music education; 2) both curricula offer music performance, ensemble, music history or music theory. Thus, these courses are included into the idealistic elementary music education curriculum for master degree along with the Korean music education.
        5,400원
        8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90.
        1996.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91.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700원
        92.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as the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have improved the nation`s standard of living, a great change in recognition of public health has occurred and also brought about a concomitant change i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nutritionists. Consequently, the curriculum of Junior Colleges is required to be revised so as to provide substantial education through which the acquisition of necessary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as intermediate technicians and the efficient training can be achieved. On the basis of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urriculum and of the functional structures of nutritionists,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frame a model curriculum that may provide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and help to establish a desirable curriculum of Junior Colleges.
        4,900원
        93.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4.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硏究는 우리나라 國民學校 自然科 敎師用 指針書와 美國(Holt Science)의 敎師用 指針書를 分析 比較하였다. 各國의 科學敎育의 性格과 硏究課程 要素를 比較하여 보고 實際 內容에 있어서는 低學年에서 空氣分野와 高學年에서 海洋分野의 것을 다루었다.
        4,500원
        95.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地球科學 敎育에 關心을 갖고 硏究하던 중 1984年 2學期부터 1年間 美國 노-드 카로라이나 주립대학에 硏究敎授로 가서 國民學校 科學中 地球科學 敎育課程 內容을 比較 分析 硏究하게 되었다. 이 硏究는 우리 敎科書와 美國의 敎科書(Holt Science)의 體裁, 開發順序, 內容 및 槪念들을 比較하였다.
        5,400원
        96.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98.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mplementation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science curricula, surveying of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the current science text book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exist a discrepancies between the science curricula and current text books, the contents of the text books are just listing of informations and too hard compare the level of students activities. Furthermore, the current text books were prepared under the laboratory oriented approaching methods by emphasizing the inquiring processes. However, (at present. situations) the most schools could not carry out the objects of the current text books due to lack of instruments, laboratory facilities, and laboratory work books.
        4,000원
        99.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놀이 중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할 때 필요한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개발하여 이를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4단계의 연구절차가 수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영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관련된 국내ㆍ외 문헌을 분석하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원장(11명), 대학교수(4명), 유치원 교사(13명)을 인터뷰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학과의 특성화 방향을 반영하여 핵심역량을 개선하고 수정하였다. 이후 3단계에서 B시, U시, G도의 영유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필요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누락된 답변이 없는 124 부의 요구도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분석하였고, 각 분석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10개의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이후 유아교육과의 인재상과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교사 핵심역량으로 교직윤리, 의사소통, 영유아이해 및 지도, 영유아교수학습, 교육평가의 이해 및 활용, 영유아교육 기관 운영, 창의적 문제해결력, 예술적 감수성의 8개 핵심역량을 확정하고 전문가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8개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100.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예술적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행 정도는 어떠한지 탐구하는데 있다. 예술적 교육과정의 23개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정도에 대해 묻기 위해 총 46개의 선택형 문항이 Likert 5점 척도로 구안되었다. 설문지에는 교사의 예술적 교 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사례를 묻는 2개의 서술식 문항도 추가되었다. 설문지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4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연구대상은 26명의 교사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의 배경변인은 학교급, 교직경력, 학력,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으로 설정되었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평균차이 검증, 질적사례분석으로 혼합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론이 도출되 었다. 첫째, 교사는 예술적 교육과정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자신의 예술적 교육과정 실행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급, 교직경력, 학력에 따른 예술적 교육과정 에 대한 인식과 실행의 통계량 비교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다른 배경변인과는 다르게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정도는 많은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예술적 교육과정과 관련한 교사 역량이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해 신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넷째, 교사들은 예술적 교육과정을 교육적 상상력, 현장 주도적 교육과정, 종합적 관점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모호하고 어렵기만 했던 예술적 교육과정을 좀 더 실제적이고 피부에 와닿는 개념으로 이론화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