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9

        81.
        2017.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무엇인지, 비디오 재방문 토의활동 후 사회극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 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7명으로 2016년 3월 11일에서 6월 29일까지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쌓기놀이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극놀이에 대하 여 총 21회의 참여관찰과 10회의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이 이루어졌다.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은 유 아들의 실제 사회극놀이에서 일어난 갈등 상황 영상을 보여준 후 어떻게 갈등을 해결할 것인지 토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 후 사회극놀이 활동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을 관찰한 결 과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과 사회극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차이가 있었다. 첫째, 비디 오재방문 토의활동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으로는 공평하게 사용하기, 공평하게 나누기, 공평한 방법으 로 역할 정하기로 모두 공평과 관련된 방법이었고 둘째,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 후 유아의 사회극놀이 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으로는 가위바위보로 정하기, 상황과 대상에 따라 나누기, 공평한 방법으로 역 할 정하기였다.
        82.
        2017.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에서의 미술․과학 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20회의 실험처치를 실시한 후 사후검사 점수에서 사전검 사 점수를 뺀 증가분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에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추리하기, 예 측하기, 의사소통하기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놀이와 웃음활동을 인성교육과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고자 초등학교 5, 6학 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놀이(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보드게임 영역), 웃음활동, 디지털 게임의 실태와 선호도를 설문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선호도는 보드게임 영역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디지털 게임, 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웃음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규칙놀이 영역에서는 그룹놀이를 가장 선호했고, 전통놀이 영역에서는 윷놀이를 가장 선호하였다. 보드게 임 영역에서는 7세 이상 대상 2연령의 보드게임을 가장 선호하였고, 디지털 게임은 모바일 게 임을 가장 선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양질의 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학 생들의 놀이 실태를 잘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선호도가 다름을 이해하는 등 놀이의 특성을 고 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84.
        2016.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극놀이가 유아의 상상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충남시에 소재한 2개의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만4세 유아 38 명으로 실험집단 19명과 통제집단 19명으로 배정하여 실험집단에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극놀이를 10주간 총 10회 실시하였다. 상상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극놀이는 유 아의 상상력 향상, 대인관계 형성능력, 유치원 적응능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5.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역할놀이 중심 집단상 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H 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60명이며, 2학기 프로그램 참가가 가능한 학급의 30명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의 30명 학생을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안 하였으며, 주 2회 70분씩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대인관계능력 검사자료를 혼합변량분석 (Mixed ANOVA)으로 처리하고, 추가적으로 참가자의 경험 보고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 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역할놀이 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 요인인 처음 관계 맺기,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하기, 자기노출, 정서 적인 지지나 조언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8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ng span structures like space-structures have instability phenomenon, jump buckling or bifurcation. And these instability phenomenon responds very sensitivity, depend on the initial condition. In this study, define the 1-degree of freedom space structure and when model has beating load, analysis critical load of model using 3D contour map for load, variable , displacement in the axial. The analysis results, when  is 1.0, is able to see the lowest critical load and the resonance phenomenon.
        87.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가 유치원 주변의 자연물을 직접 탐색하고 실외모래놀이에 활용해 보는 활동이 유아의 자 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J군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4․5세 유아 31명이며, 주 3회씩 8주 동안 총 24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성민(2012)의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연물과 함께한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보호태도, 자연사랑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연물과 함께한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연친화교육으로서 자연물과 함께한 실외모래놀이가 주는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88.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홍천군에 소재한 N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중 유아의 협동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협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타인 이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타인 이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자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의미한다.
        89.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과정에서 어떻게 자아를 표현하고, 그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살펴보고,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지를 분석해보았다. 연구대상 유아는 6년 4개월 된 남아 1명으로 유아가 때때로 다른 사람 앞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일에 지나치게 소극적인 자세와 경직된 태도를 보이는 문제로 의뢰해 온 유아였다. 연구절차는 모래상자놀이실시, 모래상자놀이 표현,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로 진행되었다. 모래상자놀이도구는 Kalff(1996)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2013년 6월 26일(수)~8월 28일(수)까지 10주 동안 10회의 모래상자놀이를 실시하였다. 모래상자놀이 표현은 매회 유아의 행동 특성을 기록한 일화기록, 사진, 비디오 촬영, 유아의 놀이평가 등을 종합하여 모래상자놀이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상자놀이는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경험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는 의미있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특성을 알고 자신을 드러내는 경험을 통하여, 자기인지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기인지와 타인인지를 조화롭게 조절하여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91.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과정에서 어떻게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표현하고, 표현 양상이 변화되어 가며,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지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유아는 6년 3개월 된 남아 1명으로 주의산만, 반복적인 일탈행동, 스트레스에 예민한 문제로 의뢰해 온 유아였다. 연구절차는 모래상자놀이 도구 준비, 모래상자놀이 실시, 모래상자놀이 표현,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모래상자놀이도구는 Kalff(1966)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2012년 6월 20(수) ~ 10월 15일(월)동안 20회의 모래상자놀이를 실시하였다. 모래상자놀이 표현은 매회 진행하면서 유아의 행동 특성을 기록한 일화기록, 사진, 비디오 촬영, 유아의 놀이평가 등을 종합하여 모래상자놀이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래상자놀이는 스트레스 대처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 상황을 자연스럽게 모래상자놀이에 표현하면서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며 억압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하고자 하는 힘의 표출이 내면에서 생겨나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92.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 중에서 유아들이 쌓기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놀이의 구성물을 통하여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타나는 내러티브 내용 특징을 알아보는데 있다. 참여유아는 만 5세반 유아 7명이며 유아의 내러티브 내용과 조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참여관찰을 통해 쌓기놀이에 관련된 내러티브와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통해 유아들이 어떠한 내러티브를 만들어 가는지 질적연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쌓기놀이의 과정에서 그들의 삶과 관련이 있는 구조물을 만들고 놀이의 배경으로 이용하여 경험을 재현하고 다양한 내러티브를 만들었다. 유아들이 만든 내러티브는 유아들의 생활이야기, 상상이야기, 현실과 상상이 혼합된 이야기로 구분되어 졌다. 유아들은 쌓기놀이를 하면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구조물에 의미를 부여하고 생활세계의 경험과 지식, 상상력을 기초로 이야기를 만든다.
        93.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만지는 대로 형태가 변하여 의식세계를 꾸밈없이 표현할 수 있는 점토를 가지고 유아가 어떻게 놀이를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아가 점토놀이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경기도 여주군에 있는 O초등학교병설유치원 방과후반 만 3세(여아 2명), 만 4세(남아 2명), 만 5세(남아 1명, 여아 1명) 유아 6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2년 4월 6일(금)~6월 18일(월)까지 13주 동안 주 1~2회씩 총 16회의 점토놀이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정된 점토의 종류는 찰흙, 지점토, 밀가루 점토, 아이클레이이며, 유아 6명이 소집단으로 참여하였으며, 유아의 흥미와 반응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질적 연구의 신뢰성과 자료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각측정법(Merriam, 1994)에 의하여 녹화자료 전사와 유아의 놀이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 유아의 점토놀이 결과물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자료의 조직화, 영역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석 결과의 해석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점토놀이 과정에서의 경험은 「점토에 대한 낯설음과 선호도」,「점토를 다양하게 탐색하기」,「실패의 경험과 다시 시도하기」 「점토놀이의 즐거움 느끼기」,「부정적인 감정 드러내기」,「점토놀이하며 또래와 상호작용하기」로 나눌 수 있다.
        94.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judge the applicability of field quality control by children's goods manufacturers by assessing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such as Pb and Cd in outdoor play goods for children through measurement using Portable XRF and comparing the results through detailed analyses using ICP. Heavy metal contents of 711 part samples of 505 products were measured using XRF.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tio of products that exceeded the Pb and Cd content standards specified under the Quality Management and Safety Control of Industrial Products Act were 2.4% and 2.6%. Many products certified for self-regulated safety exceeded the standards and thus it was considered that harmful chemical material centered safety management systems would be necessary. Detailed ICP analyses of some product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showed deviations of 0.9~80.8% from XRF results. The reasons for this are deviations in the characteristics of measured cross sections and the homogeneity of samples resulting from sample preparation methods, etc.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ield quality control will be applicable if measuring methods are efficiently established based on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alibration curve preparation methods are established through quality control.
        95.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만5세 구름반 역할놀이 영역을 구성하고 운영할 때에 연구자가 인식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역할놀이 영역의 구성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참여관찰, 연구자의 저널 작성, 유아면담, 지도교수와 동료교사의 면담 및 협의, 문서수집, 사진과 비디오 촬영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하였다. 역할놀이 영역의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실행과정으로는 ‘편안한 쉼과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꾸미기’, ‘다양하고 총체적인 역할놀이 영역으로 변신하기’, ‘역할놀이 영역의 통합적 운영’ 이었다.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실천적으로 반성하고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실행주체자로서 역할놀이를 좋아하고 즐기며 역할놀이 영역 운영에 대한 어려움을 긍정적인 도전과 자극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유아는 역할놀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마음껏 풀어내며 정서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었고, 역할놀이 영역을 자유롭고 창의적인 놀이터로써 즐기며 또래와 함께 어우러져 협력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96.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에 따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가 각 놀이 영역별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만 5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는 106.50(SD=12.49)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과정의 특성의 발현 정도는 순차처리가 가장 높았고, 계획기능, 동시처리, 주의집중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52.57%로, 중간 정도의 일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가 높은 집단의 유아가 보통 집단의 유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전체적인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영역별로 살펴보면, 언어 영역에서 높은 집단과 보통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7.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자유 선택 활동 시간에 유아의 놀이 선택과 실행 과정에서 놀이 계획, 수행, 평가가 일련의 과정으로 어느 정도 일치하여 나타나고 있으며, 유아의 성별과 놀이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자유 선택 활동 시간에 21회 참여 관찰을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 선택과 실행의 평균 일치율은 60.24%이었다. 일치율이 높은 놀이 영역은 미술과 쌓기놀이, 수․조작, 역할놀이였으며 낮은 영역은 음률이었다. 유아 1인 1일 평균 영역 선택 수는 3.18이었으며, 1영역 평균 놀이 수행 시간은 23분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놀이 선택과 실행의 선호 영역과 일치 정도는 남아는 쌓기놀이와 미술, 여아는 역할놀이와 미술을 선호하였으며, 일치 정도는 쌓기놀이와 음률에서 성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놀이성 수준에 따라 놀이의 선택과 실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선택과 실행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유쾌함 즐기기에 근거하고 있음을 검증해주고 있다고 본다.
        98.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교육의 초기 과정에 있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지닌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 1학년 108명에게 유아에게 놀이가 의미하는 바를 은유로 표현하도록 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기술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은유적 표현은 총 81가지였으며 이들 표현은 ‘식물’, ‘동물’, ‘자연’, ‘사람’, ‘활동’, ‘추상’, ‘음식’, ‘물건’, ‘장소’ 등 9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범주는 ‘물건’이었으며, 다음은 ‘자연’, ‘사람’이었다. 은유적 표현에 나타난 놀이에 대한 인식은 ‘성장과 발달’, ‘즐거움’, ‘학습’, ‘자발성’, ‘탐색’, ‘생활 자체’, 그리고 ‘정서적 치유’의 7개의 범주였다.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범주는 ‘성장과 발달’, ‘즐거움’, ‘학습’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교육과정의 초기부터 놀이를 가치 있고 교육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99.
        2012.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며 유아의 놀이성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성별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성의 문항별 평균은 3.65이었고, 놀이성의 문항별 평균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문항별 평균은 3.52이었고, 친사회적 행동의 문항별 평균은 남아보다 여가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성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남아의 놀이성은 친사회적 행동의 사회생활 기본 능력,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트레스 다루기와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여아의 놀이성은 친사회적 행동의 사회생활 기본 능력이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이 나타났고,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
        2012.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유로운 흙놀이란 유아들이 유치원 주변에 있는 흙과 자연물 등을 이용해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놀이를 선택하고 즐기는 것이며, 감각을 이용하여 흙을 탐색하고 놀이하면서 흙을 자유롭게 느끼는 경험을 말한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자연 놀잇감인 흙과 자유롭게 놀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흙에 대한 태도와 유아들 간에 이루어지는 놀이행위에 대한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하였다.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공립 하늘유치원 푸름반 만 5세 유아 26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 19일(수)부터 7월 14일(수)까지 9주 동안 매주 2회씩 18회의 흙놀이를 참여관찰 하였다. 유아들은 유치원 주변에 있는 흙을 탐색하는 감각경험과 흥미와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흙놀이를 경험하였다.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흙과의 만남은 유아들로 하여금 흙이 주는 느낌을 감각적으로 즐기면서 흙이 주는 자유로움, 즐거움, 부정적인 감정 등을 경험하는 등 흙을 친근하게 느끼는 태도를 보였다. 유아들은 흙놀이 중 또래와의 다양한 상호 작용경험을 통해 흙을 친근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또래와 함께 흙놀이 주제를 선택하고, 생각을 공유하고, 놀이에 참여하면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통해 흙에 가까이 다가가는 방법과 흙이 주는 자유로움 속에서 협력의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