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2

        87.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액의 보존 기간 동안 정액의 질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돼지 정액을 Beltsville Thawing Solution (BTS)에 희석한 후 17'C 에서 5일 동안 보존하였다. 보존 기간 동안 정자의 운동성(%)과 linearity는 3일째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다른 운동 역학 변수에서는 유의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5일 동안 정액을 보존할 경우 첨체의 온전성에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제 4일째부터 첨체 변화가 야기된 정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수정능 획득이 일어난 정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정액의 보존 기간 동안 첨체의 온전성의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즉, 보존 기간 3일동안 정자의 질적 운동성 및 첨체 온전성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므로 상업용 돼지 액상정액은 17'C 에서 적어도 3일간 수정능력을 만족스럽게 유지함을 보여준다.
        4,000원
        8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orvus es paste(OEP) on the sperm characteristics during freezing in boar semen. Semen quality was evaluated the motility, membrane integrity, mitochondria function, acrosome status, viability and abnormality. Boar semen were frozen until 5℃ for 2 hours using cell freezer and making the straws, and then freezing by lowing the straws into styrofoam box on the 8cm above the LN2 and plunged into LN2 for cryopreservation. In different concentration of OEP (0, 0.25, 0.5 and 1.0%) into cryo-extender, sperm motility, membrane integrity, acrosome status, viability and mitochondria fun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0.5% OEP than those of any other groups, but sperm abnormality were highest in 1.0% OEP group among all treatment groups (P<0.05). In the relationships of the evaluation methods for sperm viability, CBB vs membrane integrity, CBB vs HO/PI and CBB vs mitocondria fun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0.67~0.92). Among the evaluation methods, CBB vs membrane integrity, CBB vs HO/PI and CBB vs mitocondria fun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001). Thes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0.5% OEP in boar semen cryo-extender can improve the semen quality.
        4,000원
        91.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0.5 ml straw를 이용한 정자 동결융해 시 융해 온도가 동결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미니 돼지의 동결정액에 최적화된 적정 융해 조건을 찾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정액동결 straw를 37, 50 및 70℃에서 각각 5초, 10초 및 45초간 융해하여 생존율(SYBR-14/PI staining), 정자원형질막기능검사 (Hypoosmotic Swelling Test) 및 첨체반응율 (CTC : chlorotetracycline staining)을 검사 한 결과 70℃에서 5초간 융해한 정자의 생존율과 CTC 결과가 37℃와 50℃에서 10초 및 45초간 융해한 처리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생존율과 낮은 비율의 첨체 반응율을 얻었다. 따라서 미니 돼지의 동결 정액은 고온에서 단시간 융해를 하는 것이 정자의 성상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2.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세포를 이용하여 생산된 복제 한우 수소의 번식능력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복제 한우 수소(C-38 및 C-39) 또는 일반 한우 종모우로부터 정액을 채취하여 정자의 수 및 동결 전후의 생존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정자의 운동성 등은 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CA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수정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체외수정과 인공수정을 각각 실시하였다. 정액 성상에서는 복제 수소들과 일반 종모우 간에 정액의 양, 정자의 농도 및 동결융해 후의 생존성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ASA를 이용한 분석에서 운동성, 곡선 운동 속도(VCL), 직선 운동 속도(VSL) 및 평균 진행 속도(VAP) 등은 복제 수소의 정액이 일반 종모우의 정액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체외수정에 따른 수정란의 분화율 및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복제 수소와 일반 종모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복제소 정액(C-38)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을 한 5두의 체세포 복제 대리모에서 암수 각각 한 두씩의 건강한 복제 후대 송아지 2두를 생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실험에 공시된 복제 수소 개체 간의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복제 수소는 정액 성상과 정자의 운동성 등에서 일반 종모우와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인공수정을 통해 송아지를 생산함으로써 정상적인 번식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95.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공수정 기법을 이용한 칡소의 증식효율을 검토하고자 칡소 종모우의 정액을 채취하여 종모우별 정액성상, 동결융해 후 정액의 특성, 수태율 평가를 위한 체외수정 및 인공수정 후 수태율과 송아지의 모색 분포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정액은 호반모를 가진 수컷 6두에서 채취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체외수정을 실시하였다. 총 18두의 칡소 및 일반 한우 암컷에 인공수정 후 수태율을 확인하였고, 생산된 40두의 송아지를 대상으로 모색을 분석하였다. 칡소 정액의 동결 전 일반 성상은 개체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동결 후의 생존율과 활력에서도 개체별 차이가 없었다. 체외수정에 의한 수정능 분석 결과, 수정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배반포 발육율이 일반 한우에 비하여 칡소 정액 체외수정 시 25.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인공수정 후 임신율에는 일반 한우와 칡소 간에 차이가 없었다. 칡소 정액의 인공수정 후 태어난 송아지의 모색 표현형은 40두의 송아지 중 호반모(Tiger)가 17두(42.5%)로, 황흑모, 흑황모, 흑모 및 황모에 비하여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낮은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호반모 암컷에 인공수정한 경우에도 55%의 송아지만 호반모로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인공수정에 의한 칡소의 증식이 가능하나 호반모 칡소의 발현 빈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돼지 혼합액상 정액을 17 정액 보관고에 보관하면서 보관일수의 증가가 따라 정자의 운동성, 정액 내 세균의 증식 여부 및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정자의 운동성은 1일 (78.72.4%)에 비하여 3일(78.72.4%)과 5일째(64.82.4%)는 유의적으로(p<0.05) 낮은 운동성을 나타내었다. 보관일수에 따른 정액 내 세균수의 변화는 보관 5일이 Cfu로 0일과 3일의 Cfu와 C
        4,000원
        97.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염소 액상 정액의 활용에 적합한 희석액을 검토하여, 국내 염소 인공수정 실용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두 마리의 흑염소 수컷으로부터 전기 자극법으로 정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정액은 BTS로 희석하여 5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정장을 제거하고, BTS, Modena, Triladyl로 희석하여 냉장고나 온장고에서 8일간 보관되었다. BTS와 Modena로 희석된 정자의 운동성은 하루 만에 소멸되었으며, BTS로
        4,000원
        100.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니 돼지와 일반 돼지(Duroc)의 동결융해 후 정자의 수정 능력을 비교하여 동결 보존체계의 기틀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정액 제조는 수압법으로 정액 채취하여 1차 희석하였다. 동결은 LEY (1차: 11% -lactose+egg yolk, 2차: 1차 동결액+glycerol+OEP) 동결액을 이용하여 동결을 실시하여 동결 보존하였다. 동결 정액의 융해는 0.5 ml straw를 각각 20, 37 및 water bath에서 1분, 40 초 및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