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81.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충북교육청 및 학교와 지역사회, 시민사회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여 충북 지역에 맞는 모델을 구축하는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 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과 교육청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경험과 민주시민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지역 자원의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현황 진단을 통해 충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준비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충북교육청,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의 지속적인 추진 체계’를 제시하였다. 민주시민교육의 지속적 추진을 위해 민ㆍ관ㆍ학인 충북 도청, 충북교육청, 단위학교, 지역사회, 시민사회단체들이 실질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과 중간지원기구로 민주시민교육지원센터를 제안하였다. 이 기구는 민주시민교육 업무와 관련하여 각 기관들의 협력을 촉진하고, 서로의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지역사회에 확산시키고,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여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형성하는 구심점이 될 것이다.
        82.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volume growth of a tree.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relative growth rates of Castanea crenata and Pinus rigida as 4.07% and 3.73%, respectively. Although the difference was low, we demonstrated that the growth rate of C. crenata is slightly faster than that of P. rigida. After calculating the relative growth rate for each section, we found that the relative growth of C. crenata decreased with time. However, the relative growth rate of P. rigida showed an overall increase. The gap widths of both speci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However, the gradient of the two species was different. The gradient of C. crenata was approximately 12.0, but that of P. rigida was approximately 4.7. This means that the volume growth of C. crenata was faster than that of P. rigida during 4 years. However, this was relatively a short period for measuring the volume growth pattern, and we believe that additional usefu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conducting long-term ecological monitoring. Results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climate variables,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ap widths for both species.
        8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ssess Green-Tourism accessibility of Rural Experience Village and then prepare improvement methods. To do this study, we surveyed 25 operators of Rural Experience Village in Chungbuk. We used 21 issues in all for analysis and the following shows a summary of major results. Rural Experience Village has a generally hard time conducting facility maintenance. Countermeasures for maintenance are required to run smoothly. Since Rural Experience Village has difficulty attracting visitors to the village, countermeasures are needed to attract visitors through business promotion. The results of assessing Green- Tourism accessibility showed us that some villages are a lot more accessible than o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of Green -Tourism accessibility by attracting visitors and increasing operating days so that Green-tourism accessibility can be enhanced. In spite of its high level of accessibility since Rural Experience Village belonging to Goesan has low profitability, it is especially imperative that we establish more positive project promotion to cover it.
        8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화 물결에 따라 최근 국내 대학에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고 대부분의 대학들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이해를 기초로 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유학생을 유치하다보니 캠퍼스 내에 백인지향, 영어지향의 편향된 문화인식이 팽배해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충북지역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외국인 유학생들과 기숙생활을 하는 특징을 살펴 이들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대학생들의 다문화교육경험은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영향관계가 있으며, 이는 다문화 수용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민족정체성이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높여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다문화에 대한 형식적 및 비형식적 교육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다문화교육은 타자를 이해하고 또한 타자와의 소통을 추구하는 노력을 전제로 삼아야 하며,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으로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이룩해야 할 것이다.
        8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북 도내 휴경답의 잡초발생 실태를 조사하여 휴경답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보은, 청주․청원, 증평, 충주, 제천지역의 휴경하고 있는 논 12개 지점에서 2005년과 2006년 2년 동안 각각 6월과 9월 2회 조사하였다. 발생된 잡초는 총 17과 35종으로 분류 되었으며, 벼과와 사초과가 각각 17%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조사된 과별 종 수는 벼과와 사초과가 각각 6종, 국화과, 마디풀과, 콩과가 각각 3종, 물옥잠과와 석죽과가 각각 2종, 닭의장풀과 등 10과에서 각각 1종씩 조사되었으며 그중 다년초가 15종, 월년초가 4종, 일년초가 16종이었다. 지역별 우점잡초는 6월 조사의 경우 보은이 올챙이고랭이 44%, 청주・청원 참비녀골풀 24%, 증평 올방개 31%, 충주 뚝새풀 40%, 제천 올챙이고랭이 57%였으며, 9월 조사에서는 보은 가막사리 30%, 청주・청원 피 46%, 증평 가막사리 32%, 충주 피 24%, 제천 고마리 22%였다. 휴경연차별 우점도는 6월 조사의 경우 1년차는 여뀌 33.7, 2년차는 가막사리 26.3%, 3년차는 올챙이고랭이 27%, 4년차는 올챙이고랭이 51.7%였으며, 9월 조사는 1년차는 피 84.3%, 2년차는 가막사리 33.8%, 3년차는 피 24.3%, 4년차는 고마리 31.4%였다. 또한 3년차 이상의 휴경답에서 버드나무의 발생이 많아 졌으며, 충주의 경우 2년차 휴경답에서도 일부 나타났으며, 4차 휴경답에서 조팝나무가 발생한 곳도 있어 목본류에 대한 관리 대책도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91.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충북대학교에서 강수에 따른 습성강하물 중의 TN, TP 및 COD의 농도와 오염부하를 조사하였다 강수사상에 대한 샘플은 1998년에서 2003년까지 채집되었다. 오염물질의 강수량가중평균 농도는 TN이 0.60mg/L, TP가 0.014mg/L, COD는 4.8mg/L이었는데, 이는 각각의 산술평균보다 26, 18, 14% 작게 나타났다. TN, TP 및 COD의 농도는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모든 수질항목
        92.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청북도 미원지역의 운교리층내에 산출하는 마가라이트(margarite)를 편광현미경, 후방산란전자영상(BSEI), 그리고 전자현미분석기(EPMA)를 이용하여 변질양상 및 광물화학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편광현미경과 후방산란전자영상의 관찰에 의하면 대부분의 마가라이트는 순수한 단결정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부분적으로 녹니석이 마카라이트 결정의 테두리 부근에 평행한 경계를 이루며 존재한다. 또한, 마가라이트를 가로질러 생긴 파쇄면을 따라서 녹니석이 교대하고 있기도 하며, 녹니석과 마가라이트가 교대로 충을 이루는 조직을 보여준다. 일부 마가라이트와 녹니석 결정내 에는 미세한 흑운모와 백운모가 흔히 협재되어 있다. 이러한 광물조직은 마가라이트가 녹니석뿐만 아니라 흑운모와 백운모로도 변질되었음을 지시한다. 화학분석 결과 마가라이트는 파라고나이트 성분을 19.6 mol% 정도 함유하나, 클린토나이트 성분은 극히 적거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양만이 존재한다. 운교리층에서 발견되는 마가라이트는 같은 시료내의 다른 변성기원 광물들을 관입하고 암석에 분포하는 흑운모의 엽리방향과는 무관하게 산출하는데, 이러한 조직관계는 마가라이트가 최고변성작용 이후에 생성된 이차광물임을 지시한다. 특히 주변에 대규모 화강암 관입암체가 분포하는 점은 이러한 관입암체에 기인한 열수용액이 마가라이트의 생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사사한다.
        94.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recipitations from February 1993 to April 1993 in Sungnam city of Kyunggi province, Inchon city, Kangneung city of Kangwon province, and Chongwon-gun of Chungbuk province has been performed. The metal cation and ani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nd ion liquid chromatography, respectively. pH/Ion meter and direct nesslerization method were used for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s of H^+ and NH_4^+ ions, respectively. The quantitative orders of the cation and anion average concentrati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ion concentrations, and pH values are used for chemical analysis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ollutant sources in the urban, surburban, seaside, and rur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95.
        199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mount of inorganic ions such as Na^+, K^+, Ca^2+, Mg^2+, NH_4^+, Cl^-, NO_3^-, and SO_4^2- in the precipitation at Chongwon area were analyzed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1991 - June 1993. Ammonium ion was analyzed using Nessler and indophenol methods. Cations were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nd ion chromatography was used for anions. For the entire period of study, there was no particular ion which has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hydrogen ion. The correlation between NO_3^-, and SO_4^2- was 0.6, which suggests that these ions may be from the same source. Most cations have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the seasonal analysis, the nitrate and sulfate ions have high correlations with the acidity in the fall and winter. The rain waters of Taeahn area showed usually high concentrations of the ions, even though the pH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hongwon area. It is considered that the ions came as neutral salt in Taeahn, while NO_x and SO_x contributes largely to the acidity of rains in Chongwon.
        96.
        199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udy on acidity in precipitation was carried out during May 1990 - April 1991 at two sites in Chongwon, Choongbook. We observed variations of pH from 4.0 to 7.0. Annual mean value of pH was 5.21 in the area. In particular, strong acidity of rain fall, pH 4.0 were observed during winter to early spring. Neutral values were observed during June to July and were due to wet deposition of atmospheric pollutants by stationary fronts in the rainy season. Interestingly, acidity of snow observed in winter was neutral and it was weaker than the acidity of rain in winter by a value of 2.0. Discussion is made on meteorological and chemical analyses and seasonal variations of acidity of precipita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