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8

        8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if main domestic vector mosquitoes, Aedes albopictus as a diurnal species and Culex pipiens as a nocturnal species, have correlation between reflecting luminous intensity of colors and preference for blood feeding activity. Laboratory evaluations were performed and the mosquito preferences were compared to three different color brightness such as light, primary, and dark for five fundamental color series including red, yellow, green, blue, and purple. The test bodies selected for these experiments were BioGents Sentinel traps (BG traps) with 20g dry ice in each falcon tube, which covered outside of the traps attached with three different luminous intensities such as light, primary, and dark for each different color of paper sheets. In each experiment, a pair of BG traps was placed 0.6 m away from each other in a 1.8 m x 3.7 m x 1.8 m screened enclosure. The enclosure maintained at 26±2℃, 65±5% RH, and 100 lux illumination. Evaluations were performed for two hours between 10:00 and 16:00 for each 25 Ae. ablopictus females and 15 hours from 18:00 to 9:00 for each 25 Cx. pipiens females. Each experiment was replicated four times. As a result, reflecting luminous intensity (L-value) affected and correlated negatively to the preference of the two mosquito species but the fundamental colors, green-red (a-value) and blue-yellow (b-value) were not correlated significantly to the preference (p=0.05). Aedes ablopictus females were preferred for feeding activity more to lower L-values of the colors and correlated negatively between color preference of the mosquitoes and the L-values such as r = -0.584 (p=0.003) for red, r = -0.606 (p=0.002) for yellow, r = -0.620 (p=0.001) for green, and r = -0.463 (p=0.023) for blue except purple (r = -0.129; p=0.549). Similarly, Cx. pipiens females were correlated negatively such as r = -0.590 (p=0.002) for red, r = -0.564 (p=0.005) for yellow, r = -0.687 (p=0.000) for green, r = -0.623 (p=0.001) for blue, and r = -0.689 (p=0.000). In conclusion, the color bright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feeding activity of the two vector mosquito species but not the wavelength of visible ray. Also, the mosquito females preferred significantly darker ones in the same color series (p<0.05) except purple for Ae. ablopictus females.
        8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if main domestic vector mosquitoes, Aedes albopictus as a diurnal species and Culex pipiens as a nocturnal species, have color preference for blood feeding activity. Laboratory evaluations were performed and compared to assess color attractiveness using seven fundamental colors including black, white, red, yellow, green, blue, and purple. The test bodies selected for these experiments were BioGents Sentinel traps (BG traps) with 20g dry ice in each falcon tube, which covered outside of the traps attached with each different color of vinyl sheets. In each experiment, a pair of BG traps was placed 0.6 m away from each other in a 1.8 m x 3.7 m x 1.8 m screened enclosure. The enclosure maintained at 26±2℃, 65±5% RH, and 100 lux illumination. Evaluations were performed for two hours between 10:00 and 16:00 for each 25 Ae. ablopictus females and 15 hours from 18:00 to 9:00 for each 25 Cx. pipiens females. The attraction rates were determined by a series of 42 simultaneous pairs of sample counts of the number of mosquitoes caught in the traps at every 30 minutes. As a result, black traps collected the largest number of Ae. albopictus as a mean 0.7 of 1.0 for Mosquito Preference Index (MPI), followed closely by red, blue, and purple (MPIs, 0.6) that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green (MPI, 0.5), white (MPI, 0.3), and yellow (MPI, 0.2). Similarly, the MPIs for Cx. pipien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black and red traps (MPIs, 0.7) but the MPIs (0.3) at white and yellow tra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colors.
        8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F를 용량별로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에 경구 투여했을 때,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혈당 및 단백질 함량과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농도별 NaF를 경구 투여한 군들로 나누어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흰쥐의 체중 증가량은 NF25군, NF30군 및 NF50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p<0.05).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 중 간장과 심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관찰 되었으며(p<0.05), 폐, 뇌, 신장, 비장 및 고환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혈당 농도는 대조군보다 NaF 경구 투여한 군에서 NaF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NaF 농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총 단백질은 NF50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군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알부민 농도와 글로불린 농도 또한 NF50군에서 가장 낮은 결과치로 나타났다. 반면 알부민/글로불린 비는 NaF 농도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일정 이상 농도의 NaF 경구 투여는 흰쥐의 체중 및 지질성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비만 및 이상지질혈증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8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pplementation with glutamine(Gln) has beneficial effects on intestinal and immune functions. Cage-reared chicks suffer from various stressors during early growth, but the effect of Gln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stress hormones is uncertai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ln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orticosterone levels in Hyline chicks. Groups of 3-day-old chicks were fed one of three diets: normal feed(CTL group), normal feed supplemented with a low level of Gln, or normal feed supplemented with a high level of Gln. Growth and various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related to stress were assessed. On day 30, after a 24-h fast, blood was analyzed for corticosterone and other parameters, including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total bilirubin, lactate dehydrogenase,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blood urea nitrogen, blood total protein, and inorganic phosphate. Growth performance was maintained in Gln supplemented groups. The corticosterone level was decreased in the two groups receiving Gln supplementation compared to the CTL, and all other humoral factor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We suggest that Gln supplementation is a safe and useful strategy for reducing the effects of stress in cage-reared chicks.
        4,300원
        88.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폴리사카이드 기반 나노파이버는 신체 독성이 없고 수분 흡수성이 우수하다. 폴리사카이드 소재를 나노파이버로 적층시키면 표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혈액흡습량이 증가하고 피부 알러지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공기 투과성이 증가하여 상처 치료 소재로 적합하다. 폴리사카이드 나노파이버의 약한 물리적 성질을 보완하기 위하여 흡습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 계열의 나노파이버를 지지층으로 사용하여 국소 상처 치료용 혈액지혈 패치를 개발하였다.
        90.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육계에 Hematococcus pluvialis(H. pluvialis)의 급여가 성장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주령의 육계 120수를 기초사료 급여구(대조구)와 H. pluvialis 건조분말을 0.05(HP 0.05), 0.1(HP 0.1) 및 0.2%(HP 0.2)로 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한 3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5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종료시점에, HP 0.2의 증체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요구율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다(p<0.05). 혈액학적 지표들의 경우, 모든 H. pluvialis 건조분말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생화학적 지표들의 경우, HP 0.2의 aspartate aminotransferase 값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H. pluvialis 건조분말을 사료 톤 당 2.0kg 농도(0.2%)로 육계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에 육계의 성장 및 사료요구율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9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란후기 사료에 뽕잎의 수준별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74주령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360수를 4개처리 5반복 반복당 18수씩 배치하여 12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ME 2750kcal/kg, CP 15%인 기초사료에 뽕 잎분말을 0, 0.2, 0.4 및 0.8%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사료섭취량과 계란품 질은 4주 단위로 조사하였고, 혈액성상과 난황지방산은 사양실험종료 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전체 사양실험기간에서 산란율과 1일 산란량은 뽕잎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고, 난중, 사료섭취량 및 1일산란량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실험 전기간 뽕 잎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82~85주령에서는 통계적 차이를 확인하였다(p<0.05). 난백높이, 호유닛, 난각강도 및 두께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불포화지방산은 뽕잎의 첨가수준에 따 라 현저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포화지방산은 감소되었다(p<0.05). 혈청 HDL 콜레스테롤은 0.4% 첨가수준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고(p<0.05), 중성지방은 뽕잎 급여수준에 따라 매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뽕잎의 첨가급여가 산란후기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강건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시사한다.
        4,000원
        9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and minerals composition of kamut and investigated its effect on blood components in mice fed a high fat diet. The content of each general component of kamut was as follows: 11.02±0.75% water, 13.16 ±1.28% crude protein, 1.85±0.19% crude fat, and 1.97±0.13% ash. The leptin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HF group(30.00± 0.00 ng/mL)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23.65±5.54 ng/mL in the HFK group when compared to the HF group (p<0.05). The bloo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 group at 10.00±2.00 mg/dL. The level was highest in the HF group at 28.00±0.00 mg/dL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p<0.05). The aspartate transaminase (AST)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K group (179.33±173.88 U/L) than in the control (61.00±12.73 U/L) and HF groups (132.00±0.00 U/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sumption of kamut lowers the blood LDL-cholesterol level more than the consumption of wheat flour. Additionally, kamut contains antioxidant substances such as selenium and zinc, which are thought to contribute to vascular health and thus aid in maintaining good heal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health foods using kamut; it sh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for the maintenance of good health.
        4,000원
        9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rill (Euphausia superba)과 NaF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NaF 10 mg을 경구 투여한 BF군, 10%(KF10군), 20%(KF20군), 30%(KF30군)의 krill meal을 첨가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군으로 군당 6마리씩 5가지 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체중은 식이의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대조군인 BD군에 비해 NaF를 경구 투여한 BF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는 간에서 BD 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고환에서의 무게는 KF10군을 제외한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심장, 폐, 뇌, 신장, 췌장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혈당 농도는 대조군인 BD군보다 BF군에서 높았지만,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HDL cholesterol 농도는 BD군보다 BF군에서 낮았으며 krill meal 함량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total protein은 각 군에서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lbumin 농도와 albumin/globulin ratio는 BD군과 BF군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krill meal 섭취 군에서 감소되었다. Globulin 농도는 KF10군, KF20군, KF30군, BD군, BF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krill meal 식이는 NaF 경구 투여한 흰쥐의 체중,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65세 이상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마루운동을 실시하여 노인활동체력, 혈중지질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여성노인 41명을 무작위로 운동군(23명), 통제군(18명)으로 배정하였다. 운동군은 총 12주간 주 3회로 실시하였으며, 운동강도는 30%-60%의 HRR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 운동군이 노인활동체력(하지근력, 상지근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및 신체조성(체지방률, 제지방량, 허리둘레)), 혈중지질(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및 동맥경 직도에서 실험 전·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통제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대사증후군을 가진 여성노인들은 마루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노인활동체력이 향상되고, 혈중지질과 동맥경직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마루운동프로그램은 대사증후군 개선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4,000원
        9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주간의 동계훈련기간 중 산수유 추출물을 섭취시켜 간 기능, 근 손상 및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중 축구선수 20명을 대상으로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10 명), 동계훈련군(1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동계훈련은 1일 오전, 오후, 야간운동으로 구분하여 주 6 일, 4주간 실시되었으며, 운동강도는 70-95%HRR로 수행되었다. 산수유 추출물은 매일 아침과 저녁 식사 후 각각 80 mL(1일 160mL)를 4주간 섭취시켰으며,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변화율을 산출 한 뒤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혈중 피로물질의 젖산은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동계훈련군 보다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암모니아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p<.05), 동계훈련군(p<.0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 손상지표의 CK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LDH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p<.001), 동계훈련군(p<.05)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 기능 효소 중 AST(p<.01), ALT(p<.05)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AST는 동계훈련군 보다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계 훈련 시 피로에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선수들에게 있어 산수유 추출물 섭취는 항피로의 역할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9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50대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순환운동이 건강체력, 혈압 및 혈관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으며, 이를 위해 비만중년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운동그룹 12명,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여 8주간 순환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순환운동 프로그램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으로 구성 되었으며, 회당 40분간, 주3회 실시하였고, 유산소 운동 수행강도는 50-70% HRmax, 저항운동은 1-RM 의 40-60%로 수행되었으며, 순환운동 전·후에 측정한 자료의 그룹 내 차이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운동 전·후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그룹은 건강 체력 중 BMI(p<.05)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폐지구력(p<.001), 근지구력(p<.001), 유연성(p<.01)이 증가하였으며,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심폐지구력,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1).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운동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이완기 혈압은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운동그룹이 유 의하게 감소하였다(p<.05). PWV는 운동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대조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이상의 결과 비만중년여성의 건강증진 및 비만치료를 위한 순환운동은 건강체력, 혈압 및 혈관탄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9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opirimine, a class of antineoplastic agents, is known as one of the potent immunomodulators and is currently under clinical developm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However, the effect of bropirimine on the cow remains unknown as a therapeutics agent.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 of bropirimine in th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or concanavalin-A (Con-A) was examined. Jugular venous blood was collected from Korean Hanwoo calves and PBMCs were isolated. It wa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bropirimine upon stimulation with LPS or Con-A for 72 hours. The express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like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and Interferon γ (IFN-γ) were confirmed. Bropirimine significantly inhibited LPS- or Con-A-induced TNF-α and Con-A-induced IFN-γ in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Bropirimine inhibited TNF-α and Con-A mRNA expression at the transcription level.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bropirimine inhibited LPS or Con-A stimulated up-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conspicuous cytotoxicity. The bropirimine has potential to protect cow from LPS or Con-A induced endotoxin shock, possibly through inhibition of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t suggesting that bropirimine may be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the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This result revealed specific features of the immune responses depending on the bropirimine compound and would help to knowledge of bovine immunity.
        4,000원
        9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urified amino acid (PAA) isolated and purified from animal slaughter house blood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of weanling piglets. A total of fifteen, 28 days old, weaned pig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5 pens per treatment (one head per pen). Each experimental diet was provided to five piglets per group (T0, 0% PAA; T1, 0.1% PAA; T2, 0.5% PAA). The feed consumption was calculated daily and body weight on a weekly basis. The blood samples were analyzed for plasma concentration of biochemical parameters and cytokines using ELISA Kit assay. Pigs fed with the 0.5% PAA have greater average daily weight gain (ADG) and feed efficiency (FE) as compared to those of T0 and T1. However, ADG and FE of T0 and T1 have no remarkable differences. The plasma cytokine levels were lower in T2 as compared to T0 and T1. The blood parameters like total bilirubin, blood urea nitrogen (BUN), glutamate oxal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in all the treatment groups. The study indicated that supplementation of 0.5% PAA have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weanling pigs. Moreover, supplementation of the amino acid isolated and purified from animal slaughter house blood has no adverse effect on palatability of the feed and health of the animals.
        4,000원
        9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신 전 젖소의 육성기 후반에 있어서 적정한 에너지와 단백질 급여 관리는 개체의 성장과 분만 후 유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육성기 후반의 적정 TDN:CP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생후 15개월 령에 5.0:1(T1), 4.5:1(T2) 및 4.0:1(T3)의 비율로 급여하여 체중, 사료섭취량 및 혈액조성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건물섭취량은 평균 8.07kg/day로 TDN: CP 비율에 관계없이 유사하였다. 단백질 섭취량은 TDN:CP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각각 1.45, 1.29 및 1.17kg/day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증체량은 4.0:1 비율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평균 일당증체량도 0.74kg/day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60일 이후 모든 처리구의 일당증체량이 권장 수준을 충족하였으나, 4.0:1 비율구(1.28kg/day)에서 과잉 체지방 축적이 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임신 및 번식과 관련하 여 주의해야 한다. 육성우 15~18개월령에서 상기의 모든 TDN:CP 비율은 혈액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 지 않았다. 체중과 출산 및 비유 등을 고려했을 경우 4.5:1에서 5.0:1의 비율이 적합하고, 출산 시기가 가까울수록 에너지 단백질 비율을 5.0:1까지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