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1

        8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well known that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chloride and sulfate attack environments lead to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their durability due to chloride ion and sulfate ion attack.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evaluate the resistance against chloride ion and sulfate attack of the cementless concrete replacing the cement with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For this purpose, the cementless concrete specimens were made for water-binder ratios of 40%, 45%, and 50%, respectively and then this specimens were cured in the water of 20±3℃ and immersed in fresh water, 10% sodium sulfate solution for 28 and 91 days,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chloride ion and sulfate attack for the cementless concrete specimens, the diffusion coefficient for chloride ion and compressive strength ratio, mass change ratio, and length change ratio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NT BUILD 492 and JSTM C 7401,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resistance against chloride ion and sulfate attack of the cemetntless concrete were comparatively largely increased than those of OPC concrete with decreasing water-binder ratio.
        4,000원
        83.
        2015.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oposes a novel way of fabricating aligned porous Sn by freeze-drying of camphene slurry with stannic oxide (SnO2) coated Sn powders. The SnO2 coated Sn powders were prepared by surface oxidation of the initial and ball-milled Sn powders, as well as heat treatment of tin chloride coated Cu powders. Camphene slurries with 10 vol% solid powders were prepared by mixing at 50 oC with a small amount of oligomeric polyester dispersant. Freezing the slurry was done in a Teflon cylinder attached to a copper bottom plate cooled at −25 oC. Improved dispersion stability of camphene slurry and the homogeneous frozen body was achieved using the oxidized Sn powder at 670 oC in air after ball milling. The porous Sn specimen, prepared by freeze-drying of the camphene slurry with oxidized Sn powder from the heat-treated Sn/tin chloride mixture and sintering at 1100 oC for 1 h in a hydrogen atmosphere, showed large pores of about 200 μm, which were aligned parallel to the camphene growth direction, and small pores in their internal walls. However, 100 μm spherical particles were observ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pecimen due to the melting of the Sn powder during sintering of the green compact.
        4,000원
        8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에 건설된 사용기간이 5~34년의 해상 콘크리트 교량의 염화물이온농도에 대한 실측데이터로부터 표면 염화물이온농도를 추정하고, 기존에 제시된 시방서와 타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값들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해상 콘크리트 교량의 염해방지도장의 유무, 염화물이온농도, 탄산화 깊이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상호 작용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표면염화물이온농도는 간만대에서 KCI 2009, 물보라지역과 해상대기중에서 Cheong et al.(2005)의 제안한 값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상 콘크리트 교량의 염해방지도장은 염화물이온의 침투, 탄산화 깊이 및 압축강도 저하 대한 방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탄산화 깊이와 염화물이온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4,000원
        85.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겨울철 눈이 내린 도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제설제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용해되어 도로주변의 수목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겨울철 제설제로 이용되는 염화칼슘 처리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생장 특성, 광색소함량, 광합성 효율, 엽록소형광반응을 측정하고 식물체 및 토양 분석을 하였다. 실험구는 무처리(대조구), 9mM(0.5%), 18mM(1.0%), 54mM(3.0%)의 총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용해액을 신초가 나기 전, 일주일 간격으로 2회 500ml씩 살포하였다. 염화칼슘 처리 결과, 처리 후 30일째 염화칼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5% 처리구부터 총엽록소함량, 광합성율, 증산율, 기공전도도, 광계 II활성이 감소하였고 특히 3.0% 처리구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엽록소a/b는 염화칼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분이용효율은 1.0% 처리구에서부터 증가하였다. 처리 후 50일째 3.0% 처리구는 고사하여 측정할 수 없었고,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엽록소a, 엽록소b, 총엽록소함량, 광계II활성, 광계II광화학효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a2+와 Cl-이 잎과 토양에 축적되어 수분의 흡수와 전자전달의 방해에 기인한 것으로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수고생장율의 50% 이상 저하를 가져왔다. 염화칼슘의 처리 농도와 시기에 따른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생장율은 감소하고 생리적 활성은 둔화되었고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심해졌다.
        4,000원
        86.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이로 공정은 사용후핵연료 관리 이슈 해결과 유용자원 재활용 제고의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파이로 공정 중 전해환원 공정은 LiCl을 전해질로 사용하여 산화물을 금속으로 전환시키는 공정으로 금속 전환체에 잔류염이 포함되므로 후속 공정이 요구된다. 진공 증류 공정은 다양한 용융염계에서 적용되어 왔으며 금속 전환체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전해환원 금속 전환 체 잔류염은 LiCl과 알카리 및 알카리토 금속 염화물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염화물들의 증기압을 추산하여 진공 증 류 공정에서 잔류 액체의 조성변화를 계산하였다. 증류된 기체가 일정하게 제거되는 조건에서 물질수지와 기-액 평형식을 결 합한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증기압을 이용하여 무차원 시간에 대한 액체 조성 변화를 계산하였다. 공정 조건 변화 모사를 위 해 온도와 용융염 조성을 변화시켜 거동을 비교하였다. 잔류염의 증류는 주성분인 LiCl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LiCl 보다 증기 압이 높은 CsCl은 쉽게 제거될 것이 예상되었다. 증기압이 유사한 RbCl은 LiCl과 일정한 조성이 유지되었다. 반면 증기압이 낮은 SrCl2와 BaCl2는 시간에 따라 농축되며 초기 조성이 높은 경우 증류 과정에서 석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4,200원
        87.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the spray pyrolysis process, nano-sized cobalt oxide powder with average particle size below 50 nm was prepared from cobalt chloride solution. The influences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powder formed examined.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low(20 g/L),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formed was roughly 20 nm, and the cohesion between these particles was significantly strong.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increased to 100 g/L, the droplets nearly failed to exist in circular form and reflected a severely divided form. Furthermore, the average size of the particles formed was roughly 40 nm, and the particles reflected a polygonal form. When the solution was increased to nearly saturation level (Co at 200 g/L),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reflected significant unevenness due to severe droplet division while the surface also reflected significant unevenness. Furthermore, the average size of the particles formed increased significantly to 70 nm. The results of XRD analysis showed that the strength of the peaks reflected very little change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from 20 g/L to 50 g/L. Alterna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100 g/L, the strength of the peaks increased compared to when the concentration was 50 g/L. However, when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200 g/L, the strength of the peaks failed to reflect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when the concentration was 1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ramatically decreased by 30 %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from 20 g/L to 50 g/L. Alterna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the solution increased to 1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by roughly 15 %. Furthermore,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to nearly saturation level(2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by roughly 35%.
        4,000원
        8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발아 및 초기 생육단계에서 내염성 수준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다양한 염농도 조건에서 그린팜, 플로리다80, 코원어리 및 화산101호 품종을 이용하여 염해에 대한 반응을 발아율과 산화 스트레스 관련 효소들의 활성을 통해 조사하였다. 저농도의 NaCl 처리구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율의 차이가 1~3%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50 mM 이상의 NaCl 처리구에는 화산101호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50% 이상의 발아율 감소를 보였다. 또한, NaCl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아에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었으며, 350 mM NaCl이 첨가된 처리구에는 화산101호 품종만이 치상 10일후에 발아가 시작하여 12% 정도 발아하였다. NaCl 농도에 따른 shoot과 root의 길이와 생초와 건조 후 무게의 변화도 만생종으로 갈수록 더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타나났다. 품종별간의 잎 조직에서 항산화효소 활성을 분석 결과 고염 조건 (150 mM NaCl)에서 POD 활성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 되었다. 반면 APX 활성은 플로리다80과 코윈어리 품종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화산101 품종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수준에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그린팜 품종에서는 유의적인 수준에서 고염 처리에 의한 APX 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속적으로 in vitro screening을 통해 선발된 계통들은 향후 특성평가와 인공교배를 통해 내염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육종모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칼리 수전해용 격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음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음이온교환막은 PVC (polyvinyl chloride)를 출발물질로 하여 클로로메틸화 및 아민화에 의해 제작하였다. 제작한 막은 막 특성(막 저항, 이온교환용량)을 평가하였다.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1M NaOH수용액에서의 최저 막 저항은 2.9 Ω·cm2를 나타냈다. 이 막은 2.17 meq./g-dry-membrane의 이온교환용량과 43.4%의 함수율을 보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막 특성을 시판의 막 특성과 비교 평가하였다. 1M NaOH수용액에서의 막 저항은 AHT>IOMAC>Homemade membrane>AHA>APS=AFN의 순으로 저항 값이 높았다. 이온교환용량은 Homemade membrane>AFN>APS>AHT>AHA>IOMAC의 순으로 높은 값을 가졌다.
        4,000원
        90.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artial replacement (40.0%) of sodium chloride by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lactate and calcium ascorbat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pork ham during cold storage. The cooked pork hams with partial replacement of sodium chloride by potassium chloride and potassium lactate had lower lightness (L*) and higher bitterness than others (p <0.05). However, redness (a*), yellowness (b*)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ensory propertie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p >0.05). The partial replacement of sodium chloride by all substitutes leads to increase tenderness (p <0.05). There are no problems in microbiological stability and lipid oxidation of cooked pork hams with 40% replacement of sodium chloride by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lactate and calcium ascorbate during cold stor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lactate and calcium ascorbate as partial substitutes of sodium chloride in cooked pork ham.
        4,000원
        92.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lcohol-free cetylpyridinium chloride drinking water additive and oral gel on clinical parameters related to periodontal disease in beagle dog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healthy 15 beagle dogs. Following a professional teeth cleaning procedure, do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og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thing, those in the drinking water additive (DWA) group received 800 ml water with 15 ml of alcohol-free cetylpyridinium chloride drinking water additive daily, and those in the Oral gel (OG) group were treated with oral gel containing alcohol-free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0.05% chlorhexidine gluconate daily.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plaque index (PI), calculus index (CI), and gingivitis index (GI) were evaluated at two and four weeks. Dogs in the DWA and OG groups had significantly less plaque than dogs in the control group at two and four weeks (P<0.01, P<0.05). And, at four weeks, CI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On GI, similar scores were recorded for all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DWA group and the OG group. The effect of alcohol-free cetylpyridinium chloride drinking water additive was similar to the result for alcohol containing cetylpyridinium chloride mouthwash reported in a previous study. The effect in control of periodontal disease was better in the OG group because of additional chlorhexidine gluconate. However, use of drinking water additive will be more convenient for owners; thus, it will be more effective for achievement of long-term results.
        4,000원
        9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vinylidene chloride) (PVDC)-derived nanoporous carbons were prepared by various activation methods: heat-treatment under an inert atmosphere, steam activation, and potassium hydroxide (KOH) activation at 873, 1073, and 1273 K. The pore structures of PVDC-derived nanoporous carbons were characterized by the N2 adsorption technique at 77 K. Heat treatment in an inert atmosphere increased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with elevating temperature, while the average micropore width near 0.65 nm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pore structure of ultramicroporous carbon. Steam activation for PVDC at 873 and 1073 K also yielded ultramicroporosity. On the other hand, the steam activated sample at 1273 K had a wider average micropore width of 1.48 nm, correlating with a supermicropore. The KOH activation increased the micropore volume with elevating temperature, which is accompanied by enlargement of the average micropore width from 0.67 to 1.12 nm. The average pore widths of KOH-activated samples were strongly governed by the activation temperature. We expect that these approaches can be utilized to simply control the porosity of PVDC-derived nanoporous carbons.
        4,000원
        94.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화희토류 수화물(RECl3·xH2O) 내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수화 장치를 제작하여 8가지 (La, Ce, Nd, Pr, Sm. Eu, Gd, Y)Cl3·xH2O에 대한 탈수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탈수화 과정 중 희토류옥 시염화물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TGA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단계적인 온도 상승(80→150→230℃)구 간을 설정하였으며 증발된 수분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예열된 Ar 가스와 vacuum pump를 이용하였다. 각 온도구간에서의 탈수화 정도를 살펴본 결과 YCl3·xH2O를 제외한 염화희토류 수화물은 원자번호가 높을수록 높은 온도에서 더 많은 탈수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탈수화 과정 후 희토류옥시염화물의 형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염화 희토류 수화물 내 수분을 10%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4,000원
        95.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850℃의 CaCl2 용융염계에서 전해환원공정을 통해 TiO2로부터 금속티타늄을 제조하였 다. Ni-TiO2 조합전극을 환원전극으로 그라파이트를 산화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셀전위를 제어하면서 TiO2의 전해환원 특성을 관찰하였다. XRD 분석을 통해 TiO2가 CaTiO3, Ti2O, Ti6O와 같은 다양한 반응 중간생성물을 거쳐 Ti 스폰지로 환원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SEM 분석을 통해 TiO2 전해환원 반응동안 펠렛의 바깥표면부터 환원반응이 시작되어 펠렛중심으로 진행이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전해환원 반응도 중 환원된 티타늄금속은 초기에는 다공성 스폰지 구조를 보이나 고온에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소 결에 의해 수축되어 다공성 구조가 사라지는 현상을 보였다.
        4,000원
        9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of Lamia-Kill®, disinfectant,containing 20% benzalkonium chloride and 10% citric acid. In acute oral toxicity, Lamia-Kill® was orally administered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250 and 0 mg/kg body weight.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to both sexes of SD rats, the rats were observed for 14 days. In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ermally treated with Lamia-Kill® for 24 hr and observed for 3 days. All rats treated with Lamia-Kill® were induced no toxic signs in mortalities, clinical findings, body weights and gross findings. Also, the disinfectant did not induce any adverse reactions such as erythema and edema on intact skin sites for the most part rabbits, but on abraded skin sites, some rabbits showed very slight erythema on 24 hr after topical application.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Lamia-Kill® have no effect on acute toxicity and side effect in SD rats and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50 of primary irritation index.
        4,000원
        9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vinyl chloride)-g-poly(oxyethylene methacrylate) (PVC-g-POEM) 가지형 공중합체를 원자전달라디칼 중합을 통해 합성하여 전기변색소자의 전해질에 적용하였다.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은 가소제로서 propylene carbonate (PC)/ethylene carbonate (EC) 혼합물을 도입하여 제조하였으며, Lithium tetrafluoroborate (LiBF4), lithium perchlorate (LiCIO4), lithium iodide (LiI) and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imide (LiTFSI)를 사용하여 염의 종류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각 x-선 산란(WAXS)과 시차주사 열량법(DSC) 측정 결과 고분자 전해질의 구조와 유리전이온도(Tg)가 변하였고, 이는 POEM 내의 에테르의 산소와 리튬염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변했다는 것을 FT-IR 분광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TEM) 측정 결과 PVC-g-POEM 가지형 공중합체의 미세상분리 구조가 PC/EC와 리튬염의 도입에도 변하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다.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은 poly(3-hexylthiophene) (P3HT)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기변색소자에 적용되었다.
        4,000원
        98.
        2011.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by using tin chloride solution as a raw material, a nano-sized tin oxide powder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below 50 nm is generated by a spray pyrolysis process. The properties of the generated tin oxide powder depending on the inflow speed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are examined. When the inflow speed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2 ml/min, the majority of generated particles appear in the shape of independent polygons with average size above 80-100 nm, while droplet-shaped particles show an average size of approximately 30 nm.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5 ml/min, the ratio of independent particles decreases,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approximately 80-100 nm.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20 ml/min, the ratio of droplet-shaped particles increases, whereas the ratio of independent particles with average size of 80-100 nm decreases.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100 ml/min, the average size of the generated particles is around 30-40 nm, and most of them maintain a droplet shape. With a rise of inflow speed from 2 ml/min to 5 ml/min, a slight increase of the XRD peak intensity and a minor decrease of specific surface area are observed.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20 ml/min, the XRD peak intensity falls dramatically, although a significant rise of specific surface area is observed.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100 ml/min, the XRD peak intensity further decreases, while the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s.
        4,000원
        100.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자전달 라디칼 중합(ATRP)에 의해 poly(vinyl chloride) (PVC) 주사슬과 poly(styrene sulfonic acid) (PSSA) 곁사슬로 되어있는 양쪽성 PVC-g-PSSA 가지형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10 wt% AgNO3 수용액에 담가 은이온으로 이온교환을 하였으며, 환원제를 통하여 은 나노입자를 성장시켰다. UV분광학과 XRD 분석을 통해 은 나노입자 성장을 확인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결과 NaBH4를 사용하였을 때 10~20 nm 크기의 은 나노입자를 얻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은 나노입자의 성장은 환원제의 농도와 환원 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