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0

        81.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미노산의 첨가가 돼지 수정란의 체외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PEF가 함유된 NCSU-23을 기본배지로 체외성숙 및 체외배양액을 조성한 후 EA(Essential amino acid), NA(Non-essential amino acid) 및 EANA(EA+ NA)를 첨가하여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체외성숙 배지에 아미노산을 첨가한 결과 MH 단계까지의 체외성숙율은 NA 첨가군이 83.3%로 대조구 70.0%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그러나 체외 수정 이후의 배 발달율과 수정율에서는 아미노산 첨가군과 무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외배양액에 아미노산을 첨가한 후 배반포의 내부세포괴(ICM) 세포와 영양배엽(TE) 세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ICM에서는 유의차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TE 세포는 EANA 처리구가 18.0±0.5개로 대조구 16.09±0.56개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많았다. 총세포수에서도 EANA 처리구가 50.0±1.0개로 대조구 44.2±1.1개보다 유의적(p<0.05)으로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돼지의 체외수정란 생상에 있어서 아미노산의 첨가는 배반포로의 발달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체외성숙율을 높이고 배반포의 세포수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영양배엽(W) 세포의 발달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아미노산의 첨가는 돼지수정란의 착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4,000원
        82.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배양 체계(혈청 첨가 TCM199, TALP, CRlaa 및 혈청 미첨가; IVMD101, IVF100, IVMD101)가 체외수정 또는 미세주입된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미세주입에 사용하는 GFP유전자의 양 및 미세주입 수정란에서 형광발현 양상을 검토하였다. 체외수정된 수정란의 ≥2세포기, 8세포기 및 배반포 도달율이 미세주입 수정란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미첨가 배지에서의 8세포기 발달율이 수정란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3.3% vs. 15.5% 및 21.4% vs. 39.4%, respectively), 배반포 도달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2.7% vs. 2.3% 및 23.0% vs. 23.6%, respectively). 한편, 2ng/uL 유전자를 미세주입한 수정란의 ≥2세포기, 8세포기 및 배반포 도달율이 4 및 8ng/uL의 것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미세주입 수정란의 형광발현율은 1세포기가2및 8세포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4세포기 및 배반포 단계와는 차이가 없었다.
        4,000원
        83.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양액의 종류에 따른 돼지 난자의 성숙 및 단위발생란의 배반포 형성율을 검토하였으며, 배양액의 삼투압과 발달 시기에 따른 배양액의 삼투압 변화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 난포란을 NCSU-23 mWM 및 mKRB에 각각 성숙배양한 결과 성숙률은 62.1~71.3%로 배양액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각각의 배양액으로 성숙된 난자를 활성화 처리 후 동일한 배양액으로 6일간 배양하여 발달율을 검토한 결과, 배반포 발육율은 NCSU-23에 배양 시 22.9%로 타 그룹(0~0.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 3에서는 단위발생란을 NaCl 안에 의해 256, 280 및 300 mOsmol(mOsm)로 조정한 NCSU-23에 6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 발육율은 11.0~14.4%로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삼투압이 낮을수록 난자의 fragment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 4에서는 단위발생란을 삼투압이 조정된 세 종류의 NCSU-23에 48시간 배양한 후 삼투압이 높거나 낮은 NCSU-23으로 옮겨 4일간 추가 배양한 결과 배반포 형성율은 배양 48시간 후에 배양액의 삼투압을 낮춰 주었을 때(21.0%)가 높여 주었을 때 (11.8%)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본 실험의 결과는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육이 배양액의 종류 및 삼투압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배양액의 삼투압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육 단계별로 영향을 주어, 초기에는 높은 삼투압의 배양액에서 배양하고 일정 시간 후 낮은 삼투압의 배양액으로 배양함으로써 발육이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86.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cine fibroblasts were transferred into enucleated bovine oocytes for the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NT). After NT, the embryos were cultured in three different culture systems. The media used for the experiment were CR1aa and NCSU23. The culture systems used for the experiment were: 1. Culture in CR1aa for 7 days (CR). 2. Culture in CR1aa for 2 days and subsequently in NCSU23 for 5 days (CR-NC). 3. Culture in NCSU23 for 7 days (NC). Bovine (intraspecies) NT group was used as a control. The oocytes in bovine NT group were treated the same as interspecies NT embryos except using bovine fibroblasts as nuclear donors. Regardless of their nuclear origin (interspecies vs bovine), the embryos in CR (68.4% vs 77.2%) and CR-NC (67.8% vs 70.5%) showed better developmental competence to the 2-cell stage (p<0.05) than those in NC (41.0% vs 10.0%). Bovine NT embryos in CR-NC did not develop over the 4-cell stage after the medium replacement, while interspecies NT embryos in CR-NC continued to develop and could reach over the 8-cell stage (12.2%). Blastocysts were only found in bovine NT group (17.4%), but no blastocyst was found in interspecies NT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interspecies NT embryos mostly depends on their recipient cytoplasm during the culture in vitro.
        3,000원
        87.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maturation of denuded porcine immature oocytes can be enhanced by co-incubation with spermatozoa even before fertilization.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addition of spermatozoa into the culture medium could influence the nuclear maturation of porcine cumulus-enclosed germinal vesicle (GV) oocyte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collected from follicles of 3- to 5-mm diameter. Porcine COCs were cultured in tissue culture medium containing spermatozoa. After 48 h culture, oocytes were examined for evidence of GV breakdown, metaphase I, anaphase-telophase I, and metaphase II. The proportion of oocytes reaching at metaphase II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the oocytes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spermatozoa compared to those in media without spermatozoa (52.3% vs 12.5%). No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of metaphase II was observed among the different periods of spermatozoa exposure and among the spermatozoa from different species. The proportion of oocytes reaching metaphase I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gh and low concentrations of spermatozoa.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manunalian spermatozoa contain a substance(s) that improves nuclear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cumulus-enclosed GV oocytes. Enhancing effect of spermatozoa for in vitro maturation of oocytes is a highly dose-dependent.
        4,000원
        88.
        200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물복제 및 형질전환 동물생산 등의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재래산양의 oocyte를 단위발생을 유도하여 회수난자의 조건, 활성화방법, 배양조건 등이 단위발생란의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재래산 양의 최적의 배양조건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난자의 회수는 체중 15~25 Kg 전 ㆍ 후의 성숙한 미경산 재래산양에 FSH와 PMSG 를 사용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여 hCG 투여 후 제 35시간째에 외과적인 방법으로 in vivo (체내성숙) 난자는 난관을 관류하는 방법으로 회수하였고, in vitro (체외성숙) 난자는 난포로부터 흡입하여 난포란을 채취하여 약 22시간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활성화 처리는 전기자극법과 Ionomycin + 6-DMAP를 처리하여 단위발생을 유도하였다. 복제수정란의 배양은 M16, TCM-199 및 mSOF 배양액으로 6~7일 동안 체외배양을 실시하였다.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전기자극 및 ionomycin + 6-DMAP 처리를 하였을 때 분할율은 각각 64.1 및 76.5%로서 이들간에 차이는 없었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전기자극방법으로는 전혀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ionomycin +6-DMAP 처리방법에서는 15.6%가 배반포로 발달하였다. In vivo 난자와 in vitro 난자를 활성화를 유도하였을 때 분할율은 86.8 및 69.0%로서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세포기(93.9% vs 66.1%), 8-세포기(90.9% vs 37.0%) 및 상실배기(89.4% vs 23.6%)는 이들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가 있었으며,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체내성숙난자가 50.0%로서 체외성숙난자의 0.8%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활성화를 유도한 난자를 mSOF 배양액으로 체외배양을 실시하였을 때 분할율은 81.0%로서 TCM-199 +oviduct cell 의 64.3% 및 Ml6 배양액의 51.6%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mSOF 배양액에서는 3.4%가 발달하였으나, TCM-199+ oviduct cell 배양액과 M16 배양액에서는 전혀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포유동물 난자의 단위발생의 유도 및 체외배양시 난자의 공급원, 난자의 활성화 방법 및 배양조건 등이 차후 단위발생란의 체외발생율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 준다.
        4,000원
        90.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체외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체외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정액의 차이와 보관시간에 따른 체외성숙난자의 체외수정 및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고, NCSU23와 G1.3/G2.3 배양액으로 체외배양 시 분할율과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고, 체외배양액에 GSH를 첨가 시 배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액상정액과 동결정액을 사용하여 정액에 따른 체외수정율은 각각 46.2 및 39.7%로써 액상정액을 이용한 것이 수정
        4,000원
        9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성숙 돼지난자가 체외성숙배양액인 TCM-199과 NCSU-23배지에서의 배양상태를 비교하였고, 체외성숙용 TCM-199배지에 Earle'ssalt와 Hank's salt의 첨가에 의한 세포분화와 배발달 상태를 각각 조사하였다. 1. TCM-199와 NCSU-23 배양액에 각각의 supplement를 첨가하여 5% 조건하에서 체외성숙을 유기한 결과, TCM-199 배양액에서 유의성(p<0.05)이 검증되었다. 2. 체외성숙용 TCM-199배지
        4,000원
        94.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steamine addition during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culture of porcine oocytes. Oocytes were matured for the first 22 h in mTCM -199 media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150 μM cysteamine. They then were matured for an additional 22 h in mTCM-199 media without hormones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150 μM cysteamine. When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matured in the mTCM-199 media supplemented with cysteamine, the rates of GVBD and maturation (metaphase Ⅱ) were enhanced as compared to the media without the addition of cysteamine. Also, when COCs were matured in the mTCM-199 media supplemented with cysteamine, the rates of sperm penetration, male pronucleus formation,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enhanced as compared to the media without the addition of cysteamine.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oocytes matured for the first 22 h in mTCM-199 media supplemented with 150 μM cysteamine increased the rates of metaphase Ⅱ, sperm penetration, male pronucleus and blastocyst formation were higher as compared to the media without addition of cysteamine.
        4,000원
        95.
        200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외성숙된 돼지난포란을 액상정액으로 수정시 수정시간과 배양배지가 난포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정자농후정액 (30∼60 ml)을 채취하여 실온에서 2시간 정도 서서히 냉각시킨 후, 정액을 15 ml 튜브에 담아 8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은 버리고 하부의 정자는 5 ml LEN 희석액으로 1×10/sup 9/ 전자/ml가 되도록 재희석하였다. 희석된 정액은 4℃ 냉장고에 보존하였다. 미성숙 난모세포의 성숙에 사용된 배지는 26.19 mM sodium bicarbonate, 0.9 mM sodium pyruvate, 10 ㎍/ml insulin, 2 ㎍/ml vitamin B/sub 12/, 25 mM HEPES, 10 ㎍/ml bovine apotransferrin, 150 μM cysteamine, 10 IU/ml PMSG, 10 IU/ml PMSG, 10 IU/ml EGF, 0.4% BSA, 75 ㎍/ml sodium penicillin G, 50 ㎍/ml streptomycin sulfate그리고 10% pFF를 첨가한 TCM-199 배지였다. 22시간 성숙 배양한 후 난모세포는 cysteamine과 hormone들을 배제한 후 38.5℃, 5% CO₂ incubator에서 22시간 더 성숙시켰다. 성숙된 난모세포는 채취 후 2일간 4℃에 보존된 액상정액으로 수정되었다. 난모세포는 500 μl mTBM 수정 배지에서 1×10/sup 6/ 정자/ml의 농도로 1, 3, 6 그리고 9시간 동안 수정시켰다. 그 후 난모세포는 500 μl NCSU-23, Hopes buffered NCSU-23, PZM-3 그리고 PZM-4 배양배지에 옮겨서 6, 48 그리고 144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정자침투율, 웅성전핵형성율 그리고 난모세포의 난할율은 6 및 9시간 수정시간에서 1 및 3시간 수정시간 보다 높았다. 6시간 수정시 배반포형성율 (33.6%)은 1, 3 그리고 9시간 수정시 배반포형성율 (11.4, 23.0 그리고 29.6%) 보다 높았다. 배반포의 평균세포수는 6, 9, 3 그리고 1시간 수정시 각각 32.9, 27.6, 26.3 그리고 24.4개 였다. 분할된 난모세포의 배반포형성율 그리고 배반포의 평균세포수는 NCSU-23, PZM-3 그리고 PZM-4 배양배지보다 HEPES buffered NCSU-23 배양배지가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4℃ 보존 돼지액상정액은 체외성숙된 돼지 난모세포의 체외수정에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체외성숙된 돼지 난모세포는 500 μl mTBM 수정배지에서 1×10/sup 6/ 정자/ml로 6시간 공배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HEPES buffered NCSU-23 배양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다는 결과를 얻었다.
        4,000원
        9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used three-dimensional Matrigel culture system to examine the morphognesis of normal and malignant salivary glands cell in vitro including acinar cells(AC), myoepithelial cell(MC),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SGT), mucoepidermoid carcinoma cells(MEC), and immortalized human salivary gland cells(HSG). For this purpose, normal and salivary gland tumor cells cultured in 3-D Matrigel, and characterized histolog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compared with same cells grown on monolayer culture and patient tissue from biopsy. 1. In three-dimensional Matrigel culture, HSG cells form acinar structure, SGT cells shows duct like structure, and other AC, MC and MEC cells dont' form any structure , and their morphology was different from that of monolayer cells. 2. Matrigel involved cell proliferation at a similar pattern to cells on plastic monolayer cell cultures, and monolayer cell revealed higher cell viability than that of Matrigel cultured cells. 3. All salivary glands cells on Matrigel or monolayer showed strong PCNA expression, and there is no expression difference in these cells. But some cells including myoepithelial cells in normal and salivary gland tumor tissue showing PCNA lavelling, so there is PCNA expression difference among normal and tumor tissue cells. 4. Actin expression was noted in AC cells on Matrigel, were rare expressed in the other cells except in MEC cells, and was present in myoepithelial cell and ductal cells of normal gland tissue. There is actin expression difference between tissue and cultured cells . 5. S-100 immunoreaction was moderateively positive in MC cells of monolayer culture, myoepithelial cells of normal tissue and pleomorphic adenoma, all cancer cell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tissue,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salivary cells on Matrigel. 6. TGase 2 expression was prominent in MC cells of monolayer and Matrigel cultured, in myoepithelial cells of normal gland and pleomorphic adenoma, epidermoid cells of mucoepidermopid carcioma, and strong reaction in MEC and AC cells of monolayer and Matrigel cultured. 7. Expression of CK in monolayer culture showed strong reaction to CK6 in all sailvary gland cells, and mild reaction to CK10 and CK16 for all salivary cells, CK16 and CK19 expression in monolayer culture was similar to that of Matrigel culture. 8. CK6 and CK10 expression was strongest in AC and MC cells on Matrigel, and CK 4 was negative reaction in AC, SGT, MEC cells, strong reaction in MC cells but mild in SGT cells on Matrigel. Expression of CK was rare in HSG cells compared with other salivary gland cells, CK16 was prominent in SGT cells, CK10 and CK16 showed strongest expression in MEC cells of Matrigel. 9. Monolayer culture of HSG cell shwoing strong reaction to CK6, moderate to CK19 and mild to the others CK, but 3D cultured HSG cells reveal mild expression to CK16, and rare to others CK, intercallated duct in normal gland tissue showing strong to CK19, and mild to the others Ck, so there are CK expression difference in tissue, monolayer and 3-D cultured cells. 10. Monolayer culture of MEC cells represent strong reaction to CK6, mild to other CK, 3-D cells showing increased CK expression including CK6, epidermoid cells and intermediate cells in mucoepidermoid carcinoma tissue reveal positive to CK6 and CK16, mucous cell positive to CK10 and CK19, so Matrigel showed similar CK pattern compared to mucoepidermoid carcinoma tissue rather than monolThese data indicate that the interaction of salivary gland cells with basement membrane is an important factor in salivary gland development and cytodifferentiation, so this model system will be useful to study acinar or ductal differentiation in vitro.ayer cultred.
        6,100원
        98.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배양액 내 첨가된 macromolecule이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소적 내 첨가된 FBS가 후기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NCSU-23을 기본 배양액으로 사용시 BSA (4mg/ml), FBS (10%), PVA (3 mg/ml)가 각각 첨가되었을 경우 배발달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PZM을 기본 배양액으로 사용시 BSA (4mg/ml)가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