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7

        82.
        199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analyzed the time series of Ca II H,K and ⋋8498 line profiles taken for a sunspot (SPO 5007) with the Echelle spectrograph attached to Vacuum Tower Telescope at Sacramento Peak Solar Observatory. Each set of spectra was taken simultaneously for 20 minutes at a time interval of 30 seconds. A total of 40 photographic films for each line was scanned by a PDS at Korea Astronomy Observatory. The central peak intensity of Ca II H (Imax), the intensity measured at Δ⋋=-0.1 Å from the line center of ⋋8498 (I⋋8489), the radial velocity (Vr) and the Doppler width (Δ⋋D) estimated from Ca II H have been measured to study the dynamical behaviors of the sunspot chromosphere. Fourier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for these measured quantities. Our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We have confirmed the 3-minute oscillation being dominant throughout the umbra. The period of oscillations jumps from 180 sec in the umbra to 500 to 1000 sec in the penumbra. (2) The nonlinear character of the umbral oscillation is noted from the observed sawtooth shaped radial velocity fluctuations with amplitudes reaching up to 5~6 km/sec. (3)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aximum powers shows that the power of oscillations is stronger in the umbra than in the penumbra. (4)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time averaged < Imax > and < Vr > across the spot are found to be nearly axially symmetric, implying that the physical quantities derived from the line profiles of Ca II H and ⋋8498 are inherently associated with the geometry of the magnetic field distribution of the spot. (5) The central peaks of the CaII H emission core lead the upward motions of the umbral atmosphere by 90°, while no phase delay is found in intensities between Imax and I⋋8498, suggesting that the umbral oscillation is of standing waves.
        4,000원
        84.
        198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지초지개발과 聯關된 草地士壞개랑 및 施肥法改攻善을 馬하여 Homes의 Systematic variations 方法으로 多量要素 anions N : S : P 및 Cations K : Ca Ca:Mg 적정비료비율J인比率 (當量基準) 을 決定코자 山地 土爆을 공시한 Pot試驗으로 Orchardgrass-Ladino clover混播條件에서 수행한 결과는 1. 混播條件에서 各構成훌種別 最高收量을 얻기 위한 적정비료比率을 求하였다(Table 4), 大略的으로
        4,000원
        85.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버네사이트(birnessite)는 약 7Å의 d-spacing을 가지는 대표적인 층상형 산화망간광물로 높은 양이온 교환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지하수나 퇴적물 공극 유체의 화학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버네사이트의 양이온 교환 반응 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층간 내 양이온의 배위 환경과 결정구조에 대한 원자 수준의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원자 수준의 계산광물학 방법인 고전 분자동역학(classical molecular dynamics; M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기존 실험에서 보고된 화학조성을 가지는 삼사정계 N a-와 K-버네사이트의 결정구조, 층간 양이온의 배위 환경 및 적층 구조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는 기존 X-선 실험에서 보고된 격자 상수와 층간 배위 환경을 잘 재현하여 시뮬레이션 방법의 신뢰성을 보여주었으며, X-선 실험만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운 층간의 양이온과 물 분자 위치를 구별한 원자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망간 팔면체 층의 적층 순서는 동일하지만 층간 내 N a+와 K+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고, 층간 양이온의 배위 환 경과 결정구조 간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원자 수준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은 버네사이트의 양이온 교환 반응 기작 규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86.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로는 선박의 통항이 빈번하여 사고의 위험이 높은 지역이지만, 선박의 통항분포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가 다수였으며, 항로의 특성과 선박의 크기별 통항패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주요 항로에서의 통항분포와 통항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3일간의 선박의 통항현황을 조사하였다. 통항현황을 바탕으로 항로를 10개의 Gate line으로 구분하고 각 Gate line을 통과하는 선박크기를 소형선, 중형선, 대형선으로 세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각 항로의 통항분석을 바탕으로 각 Gate line에서의 통항분포에 대하여 ND-K-S(Normal Distribution-Kurtosis-Skewness)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ND 평가 결과 통항분포에서 대형선은 정규분포를, 중형선은 편도항로에서만 정규분포를 만족하고, 소형선은 정규분포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K-S 평가 결과 통항패턴은 왕복항로와 편도항로에서 뚜렷한 구분을 보였다. K 평가의 결과 편도항로에서는 고루 항로를 이용하는 통항패턴을 가지지만, 왕복항로에서는 항로의 한 부분에 집중하는 통항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S 평가의 결과 편도항로에서는 항로의 중앙을 따라 항행하는 통항패턴을 가지지만, 왕복항로에서는 항로의 우측에 치우치는 통항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본 연구는 3개의 주요 항로를 비교한 만큼 향후 다양한 환경에서의 항로분석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8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is designed to select the best shading materials for the 4-year old ginseng K-1 variety by examining the light volume, photosynthesi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ginseng. Methods and Results : The ginseng seedling was transplanted in the 7 lines x 9 rows (63 plants)/ 1.65 ㎡. The shading materials were installed in the form of rear line with 170 ㎝ high for front pole and 100 ㎝ high for rear pole. The installation of shading materials were installed in combination of polyethylene, blue polyethylene sheet + polyethylene, polyethylene + polyethylene, polyethylene + aluminium screen 70%, polyethylene + aluminium screen 100%, aluminium shade plate to inspect the photosynthesis and ginseng's growth characteristics. The photosynthetic rate was measured on the middle of small leaf using the photosynthetic tester (L1-6400, Li-COR) a t 10 : 00 – 14 : 00 on a clear day with the light volume of 100, 200, 400, 600, 800, 1,000, 1,400, 1,800 μmol s-1m-2.For the ginseng K-1, which is 4-years old, the aerial parts growth (such as survival rate, height of plant, length of stem, diameter of steam and length of leaf) and underground part (length, diameter and weight of root) were examined in 2016. As for the 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the aluminum shade plat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hile the polyethylene + polyethylene showed the least. As for the photosynthetic rate, the following order was shown in the decreasing order: blue polyethylene sheet + polyethylene > polyethylene > aluminium shade plate ≒ polyethylene + aluminium screen 100%, > polyethylene + polyethylene > polyethylene + aluminium screen 70%. As for the survival rate for 4-year old ginseng, the polyethylene + aluminium screen 70%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with 91.0%. As for the growth of aerial part of ginseng, the polyethylene and polyethylene + polyethylene showed the best growth. As for the underground part of ginseng, the polyethylene, blue polyethylene sheet + polyethylene, and polyethylene + polyethylene showed the best growth in the length of roots and length of main root while polyethylene and blue polyethylene sheet + polyethylene showed the best growth in the weight of roots. Conclusion :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and the underground parts of ginseng, it was found that the best shading materials for K-1 4-year old ginseng is blue polyethylene sheet + polyethylene.
        8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K-Ol’(Arachis hypogaea ssp. fastigiata L.)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Milyang 2013. This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Baekseon’ with Shinpung type and ‘F435-5’ with high oleic acid. ‘K-Ol’ is the first high oleate variety in Korean and has short stem and Shinpung plant type. It has 10 branches per plant and its length of main stem was 43 cm.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short ellipse-shaped kernel. Its yield components showed 46 pods per plant, 74 g of 100-seed-weight and 76%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Seed contains 26.0% protein and 50.7% crude oil with a typical fatty acid composition of 82.9% oleate and 2.7% linoleate. This variety showed more resistant to late leaf spot, web blotch, stem rot and lodging, compared to reference variety ‘Daekwan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for 2 years ‘K-Ol’ showed 4.34 MT/ha for grain yield by 99% of production level of reference variety.
        90.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esearch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ultivation technology and the growth of above-ground and below-ground sections as well as th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for new ginseng variety “K-1” by differentiating the planting density under the conditions of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ling. Methods and Results : The K-1 variety and hybrid variety (Jakyungjong)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and the ginseng varieties were transplanted and directly sown in Yeoncheon area in 2013. The transplanting was made in the form of 5 lines × 9 rows (45 plants), 6 lines x 9 rows (54 plants), 7 lines × 9 rows (63 plants) and 8 lines × 9 rows (72 plants) in each lot (1.65㎡) while the direct seedling for test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randomly blocked design in the form of 11 lines × 14 rows (154 plants), 12 lines × 14 rows (168 plants), 13 lines × 14 rows (182 plants). Various measures were collected from the 4-year transplanted ginseng and 3-year direct seedling ginseng in 2015 to find out the growth features and photosynthesis of above-ground section (rate of germination, leaf length, leaf width, stem length and leaf area index (LAI)) and the below-ground section (length, diameter, weight and class of roots). Conclusion : After the planting of the ginseng, the germination rate of K-1 for the transplanting was 85.1 ~ 92.0% across different plantation densities while that for the direct seedling was 67.7% ~ 77.9% across plantation densities, thu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lanting methods. LAI was higher for the higher planation density for both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ling. As for the photosynthesis speed, the form of 6 lines × 9 rows showed the higher speed in transplanting while the form of 12 lines x 14 rows showed the higher speed in direct seedling. The photosynthesis of K-1 was higher than that of Jakyungjong. In the 4-year ginseng cultivated under the transplanting, diameter of roots, number of branch roots and weight of raw ginseng were the highest in the plantation density of 5 lines × 9 rows. The distribution of root weight was high with 23.3% and 20.0% for the 51~70g group and the 71g or above group, respectively, for the 4 year transplanted plants in the form of 5 lines × 9 rows. The growth for above-ground and below-ground sections for K-1 was better than that for Jakyungjo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per plantation density for the 4-year root in the transplanted K-1 was 5 lines × 9 rows considering the growth of the above-ground section,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root weight.
        9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케네스 스콧 라투레트(Kenneth Scott Latourette, 1884-1968)와 그 의 박사과정 제자인 찰스 데이비스 스톡스(Charles Davis Stokes, 1915-1998) 의 간추린 생애와 역사서술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가장 먼 저 필자는 역사적 인물들인 이 두 사람들의 생애를 간략히 다루었다. 학생 해외선교 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s)의 영향을 받은 라투레트는 중국선교사, 선교역사가, 그리고 세계교회연합주 의자(ecumenist)의 삶을 살았다. 스톡스는 한국선교사였던 아버지의 아들로 어린 시절을 한국에서 보냈을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교육을 받은 후 다시 한국에 선교사로 와서 농촌계몽운동과 대전감리교신학교(현, 목원대학교) 의 설립자와 교육가로 활동했다. 라투레트의 역사서술 방법론은 크게 “한계인정, 초월성, 상호작용” 이렇 게 세 가지 특징으로 요약될 수 있다. 객관적 역사서술을 지향하는 라투레 트는 객관적인 역사연구를 위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인정하는 것 으로부터 연구를 시작했다. 또한 그는 지역, 교파, 그리고 교회를 초월하고 자 시도했다. 즉 유럽중심적, 특정 교파중심적, 교리중심적 교회사의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천주교회, 동방정교회, 개신교회 를 포함하고 북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지역들을 포괄하는 기독교역사 서술을 의도했다. 다시 말해 기독교역사는 그리스도 복음의 확 장과 영향을 다룸으로써 교회중심적 역사를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고 라투 레트는 생각했던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톡스가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을 쓸 때 라투레트의 이러한 세 가지 역사서술 방법론들 중에서 적어도 한계인정과 상호작용이라는 두 가지 특징은 받아드린 것으로 보인다. 자신의 지도교수가 그랬던 것처럼, 스톡스도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면서 역사적 객관성을 위해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자신의 연구를 시작한다. 게다가 스톡스는 기독교 선 교에 있어서 복음 전파자와 수용자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강조한 라투레트 의 영향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톡스의 유일한 역사 연구서인 자 신의 박사학위 논문이 1885년부터 1930년까지 진행된 미국감리교회의 한 국지역 선교에 한정되기 때문에, 스톡스가 라투레트의 초월성에 관해 영향 을 받았는지 받지 않았는지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93.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우리나라 학교의 안전을 지키지 위한 각종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학교 안전 보강 사업은 크게 학교안전인력지원과 CCTV 시스템 공급이 주된 사업의 줄기로 파악되고 있다. 교육부와 교육청, 경찰 등의 노력으로 학교내에서의 폭력 관련 범죄는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학교와 관련된 전체적인 형사범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양상이다. 따라서 학교 범죄의 실효적 수단으로 앞에서 언급한 2가지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보다 진보된 기술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안전인력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현황파악과 이에 대한 실제적인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시설의 CCTV에 활용할 수 있는 최신 응용기술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흘 하였다. 마지막으로 CCTV를 운영하기 위한 학교 안전인력의 기본적인 업무범위와 특성 및 채용과 운영시 고려해야할 필수적인 수행능력의 정의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시설과 학생들의 안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통합이 필수적이며 특히 이를 운영하는 인적자원의 수준과 관리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제언되었다.
        94.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대구 북성로 산업공구골목의 한 철공 기술자의 일상사와 근현대 닥트공업의 실제(realities)를 생애 내러티브 방식으로 기록함으로써 당대 생활사와 특화거리로서의 생활공간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근현대 기술자의 생애사 기록 작업으로서 중간 기술의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이다. 동시에 특정 공간의 기억을 통한 지역의 생활문화와 미시사의 이해이자 근현대 기술 변천사의 기록이기도 하다. 2대에 걸쳐 80여 년의 닥트공업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구술자 K장인의 생애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북성로 산업공구골목의 지역사와 문화의 측면에서 공간의 재생과 기억의 사회화를 위한 스토리텔링과 교육과정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과 광복, 625전쟁 시기의 기억과 경험의 내러티브 속에는 당대의 역사적 사실들이 녹아들어 있으므로 자라나는 세대들에 대한 생생한 근현대사의 교육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둘째, 북성로의 지역 미시사와 관련해서는 조선시대 대구읍장과 약령시, 경상감사 도임, 대구읍성, 객사(客舍), 순종 어가(御街) 및 광복과 전(戰)후 생활사의 맥락에서 접근할 수 있다. 셋째, 가정 생활용구의 변천사와 관련해서는 플라스틱 제품이 보급되기 이전에 활용되었던 함석으로 만든 용구의 종류와 생김새, 제작기법 등을 이야기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닥트공업의 주요 재료인 함석의 종류와 닥트 설비를 가공하기 위한 도구나 기계들의 명칭과 기능 및 사용방법을 설명해주고 닥트 생활용구 제작 체험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당대 생활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다섯째, K장인의 구술생애사처럼 북성로 산업공구골목의 철공 기술자와 공구상의 삶을 구술 혹은 자술 형식으로 채록하여 문자와 사진, 동영상 등으로 기록함으로써 공간의 재생과 근현대 기억의 사회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9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 oleate oil enhance flavors and shelf life and decrease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A new peanut(Arachis hypogaea ssp. fastigiata L.) variety “K-Ol(Milyang56)” with high oleic acid of fatty acid composition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in Milyang in 2013. This variety was developed from the crossing line between cultivar “Baekseon” with large grain and erect plant type and “F435-5” with high oleate and runner type. “K-Ol” which is Shinpung plant type has 43cm of main stem length and 10 branch number per plant. This also show more resistant to late leaf spot, web blotch and stem rot, compared with check variety “Daekwang”.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short ellipse shape of brown testa and yield components is composed of 46 mature pods of per plant, 74g of 100-seed weight, 76%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RYT). For 3 year regional yield trials the average yield of “K-Ol” had 4.45 MT/ha for kernel similar to that of check variety. Seed quality show 50.7% of crude oil and 82.9% of oleic acid. The oil acidification of “K-Ol” measured by acid value(P-A value) variation for 3 hours at 180 ℃ showed one-ninth as low as ‘Daekwang’ do. This variety is expected to develop new demand area such as the improvement of cardiovascular disorders and shelf-life, and import substitution of olive oil.
        9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질오염총량제는 수계의 목표수질을 설정하여 이를 달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해당 유역 내 오염물질 허용총량을 설정 및 관리하는 제도다(환경부, 2013). 오염물질을 총량측면에서 관리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질개선을 도모하고 지자체는 배출량을 저감시킨 만큼 개발에 필요한 부하량을 확보할 수 있어 보전과 개발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준유량 산정 시 발생되는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다양한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기준유량을 산정할 수 있지만 해당 소유역 혹은 지점 내 비교·검증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관측자료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모형 중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 내 34개 수문단위유역의 소유역별로 2002년부터 2011년까지의 일 단위 유량을 연도별로 산정하였다. 낙동강 유역 내 상, 중, 하류에 위치한 구미, 왜관, 진동의 세 지점을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여 resampling 기법 중 하나인 k-Nearest Neighbors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지점별 연도별 일 단위 유량을 100 개씩 생성하였다. 해당 지점 마다 생성된 자료의 통계분석 및 quantile plot을 관측값과 비교하여 산정된 기준유량에 대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하여 수질오염총량제를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9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쾨펜의 기후대 구분법을 이용하여 현재 아시아 지역(경도 55.6°∼149.3°, 위도 -11.5°∼53.0°) 기후대를 분석하고, IPCC SRES A2 시나리오 상황에서의 기후대 변화를 전망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후대 구분의 기준이 되는 강수 및 기온자료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기후요소의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2080년경에는 기준기간(1991∼2010)에 비해 기온은 4.0℃, 강수량은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공간적으로는 기온의 경우 고위도 지역이 저위도 지역보다 기온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강수량은 지역적 편중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후대 변화를 전망한 결과, 대체로 온난한 기후대의 면적은 증가한 반면, 한랭한 기후대의 면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준기간 대비 2080년경에는 열대 기후대(A)의 경우 7.2%, 건조 기후대(B)는 1.9% 증가하였으며 온대 기후대(C), 냉대 기후대(D), 한대 기후대(E)는 각각 -2.4%, -4.9%, -1.8%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증가와 사막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99.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heck the serviceability of K-UHPC structures, we need the guideline for the allowed crack width in various environment. To setup the guideline, direct tensile test of reinforced K-UHPC tensile members was implemented. The test results show very small crack width, and the allowed values for the ordinary concrete can be used for K-UHPC structur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