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1

        81.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wder mine wastes cause secondary environmental problems from dust flying around villages. It is necessary to recycle to prevent this secondary pollution and to use its beneficial contents. Magnesium and iron may play a role like that of aluminum in geopolymer forming. In this stud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eopolymer prepared from melting slag (MS) and high-magnesium iron mine waste (MW).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by increasing the mixing ratio of MS and decreasing the L/S ratio. The optimal properties were obtained at a mixing ratio of MS to MW of 5 : 5, molar ratio of SiO2/Na2O of 1.8, and L/S ratio of 0.2. Under these conditions, the compressive strength at 28 days was 112.5 MPa. According to the FT-IR analysis, a geopolymer structure was identified.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geopolymer forming from MS and MW.
        82.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ength propertie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with magnesium sulfate(MgSO4). GGBFS was replaced with 1, 2, 3, 4, and 5% MgSO4 by weight. Mixtures of sodium hydroxide(NaOH) and sodium silicate(Na2SiO3) were used as the alkaline activator; a mixture of 5% NaOH and 5% Na2SiO3, and a mixture of 10% NaOH and 10% Na2SiO3 by slag weight. The added activators were dissolved in the water, and the weight ratio of water to slag was 0.45.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compressive strength testing, ultrasonic pulse velocity(UPV), water absorption and X-ray diffraction(XRD). In this study, the strength of hardened samples decreases with increasing MgSO4 content. In addition, the water absorption of samples increases and UPV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MgSO4 content. Brucite, gypsum and M-S-H(magnesium silicate hydrate) are present in the XRD patterns of the hardened samples.
        83.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teel fiber volume fraction on compressive and flexur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The fiber volume fractions used in this study consist of 0.5, 0.75 and 1.0%. The prisms with 150x150x550 mm were made and tested in accordance with EN-14651.
        84.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hydration heat, autogenous shrinkag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pecimens has been verified with moisture supply on the hardened cement paste depending upon the difference in moisture condition of the fine aggregates. The result showed that, autogenous shrinkag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also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mproved due to the continuous moisture supply regarding on fine aggregates.
        8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ength propertie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with magnesium sulfate(MgSO4). GGBFS was replaced with 1, 2, 3, 4, and 5% MgSO4 by weight. Mixtures of sodium hydroxide(NaOH) and sodium silicate(Na2SiO3) were used as the alkaline activator; a mixture of 5% NaOH and 5% Na2SiO3, and a mixture of 10% NaOH and 10% Na2SiO3 by slag weight. The added activators were dissolved in the water, and the weight ratio of water to slag was 0.45.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compressive strength testing, ultrasonic pulse velocity(UPV), water absorption and X-ray diffraction(XRD). In this study, the strength of hardened samples decreases with increasing MgSO4 content. In addition, the water absorption of samples increases and UPV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MgSO4 content. Brucite, gypsum and M-S-H(magnesium silicate hydrate) are present in the XRD patterns of the hardened samples.
        86.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oncrete and mortar containing waste pottery fine pow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waste pottery fine powder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nd mortar, cement was replaced with waste pottery fine powder at 5, 10 and 15% rates and the variations in compressive strength were evaluated. For high strength concrete, compared with a control mix, 5% replacement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3.4% in compressive strength at 7 days; however, at 28 days, the strength actually increased by 2.5%. For normal strength concrete, compared with a control mix, 5% replacement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20.4% in compressive strength at 7 days, and 14% reduction at 28 days. As for the mortar, at 5% replacement, compared with a control mortar mix,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decreased by 3% at 7 days, while an increase of 5.9% was observed at 28 days. Therefore, the optimum replacement rate of cement with waste pottery fine powder appears to be 5%.
        87.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부재의 내화 성능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실제부재 단위의 시험에 의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부재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재하 능력이 큰 시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재료 모델을 이용한 해석적 연구를 통해 내화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80, 130 및 180 MPa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고온 가열시의 변형 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초고강도 콘크리 트에 대한 기존 변형 모델의 적용을 검토했다. 그 후, 최소 제곱법에 의해 실험 값과 기존의 변형 모델을 적용한 계산 값의 누적 오차가 가장 작 은 상수 값을 도출하고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적용 할 수 있는 변형 모델을 제시했다.
        88.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모든 석탄화력 발전소 탈황공정은 흡수재로 석회석 분말을 사용하는 습식 처리공정으로서 공정의 부산물로 FGD(배연탈황)석고가 발생하는데 석회석 분말 1kg 주입 시 약 1.5kg에서 1.7kg의 배연탈황석고가 이수석고(Calcium Sulfate Dihydrate, CaSO4・2H2O)형태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배연탈황석고는 황산칼슘의 농도는 높고 불순물은 적은 편으로 품질면에서는 천연석고에 비해 크게 뒤지지 않지만 결정구조가 대부분 둥근 침상구조를 형성하고 부분적으로 판상의 결정을 나타내고 있어 천연석고처럼 수화반응에 의해 자경성(self-setting)을 가지지 못하므로 대부분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되고 그 중 일부는 석고보드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배연탈황석고 그 자체로만은 현재 고부가가치가 있는 원료로서는 활용되기 어려운 실정이고 대부분 천연무수석고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고가의 수입에 전량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른 배연탈황석고의 향후 발생량은 200만 톤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할 경우 기존의 단순 재활용에서 이의 부가가치가 높은 건설재료로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천연석고와 시멘트를 대신하여 배연탈황석고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의 산업부산물을 주원료로 고강도 콘크리트 혼합재로 활용하고자, 배연탈황석고의 원시료 분석 및 배연탈황석고, 고로슬래그미분말의 혼입률에 따른 유동성, 증기양생 조건에서의 강도발현 특성 등의 물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배연탈황석고를 혼합재로 활용 시, 그 혼입률에 따라 모르타르의 유동성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증기양생 시 초기 압축강도발현성이 우수하였으며, PHC-Pile, 박스암거 등 콘크리트 2차 제품으로 활용시 환경적・경제적으로도 그 효과가 매우 기대된다.
        8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properties of low cement porous block with amorphous metallic fiber which has various mechanical performance including high strength, low friction coefficient,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superior soft magnetism.
        9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tudy of researchers carried about SFRC, it was found that SFRC was effective to achieve flexural toughness according to higher volume fraction. On the other hand, higher volume fraction did not effect at compressive strength and toughness.
        9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n alkali-activated binders immersed in sea water. The alkali-activated binders were synthesized using blended binder(Class F fly ash; FA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GBFS) and alkali activator(sodium hydroxide and sodium silicate). Binders were prepared by mixing the FA and GGBFS in different blend ratios of 6:4, 7:3 and 8:2. The alkali activators were used 5wt% of blended binder, respectively. Calcium carbonate was used as an chemical additiv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absorptiion were measured at the age of 3, 7 and 28 days, and the XRD and SEM tests were performed at the age of 28 days.
        9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fire. Composite fibers that are mixed in concrete are used to improve vulnerable point. The role of each fiber is to prevent of spalling effect and improve of flexural strength.
        9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strength properties use of talc as a substitute for OPC-GGBFS cement. The test was carried out by replacing the plain mix(OPC : GGBFS = 50 : 50) with talc at the rate of 0~100%. The OPC contents was constant in all mixtures. The mixtures replaced GGBFS with tal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talc contents.
        9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uctility properties of RC members are influenced by the strength of each materials as well as amount of reinforcing bar. In this study, the ductility factor has analytically been calculated in rectangular RC beam and the effects of each material strength on the ductility of RC member have been evaluated.
        9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cycle sulfur which is industrial by-product, by producing concrete mix materials. production of specimens were implemented on the replacement of modified sulfur emulsion with cement. this paper presents data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strength test of the each specimens.
        96.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S기준 및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는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27 MPa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7 MPa를 초과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순환굵은골재 사용의 확 대를 위해 압축강도 30∼60 MPa 범주의 굵은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포함한 역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변수로써 물- 시멘트 비와 굵은순환골재의 치환율을 고려하였다. 고려된 물-시멘트 비는 0.36, 0.46 및 0.53 이고, 순환굵은골재의 치환율은 30, 50, 70 및 100%이다. 실험변수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7일 및 28일 압축강도, 탄성계수, 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물-시멘트 비가 0.36일 때의 탄성계수에 비해 0.53일 때의 탄성계수는 10% 이상 감소하였다. 탄성계수 실험결과와 기존설계코드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설계코드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결과는 실험결과를 과다평가하고 있다. 반면에 설계코드에 의한 파괴계수 예측결과는 압축강 도 40 MPa 이상의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실험결과를 과소평가하고 있다.
        97.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as examined the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HPFRCC according to spraying stage as a part of the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sprayed HPFRCC for protection and blast resistant of existing structures.
        98.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섬유의 일부를 철근집합체로 대체하여 초고강도 섬유보강 철근 콘크리트 I 형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강섬유와 철근집합체의 조합을 가진 초고강도 콘크리트 I 형보 대한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률은 0%, 0.7%, 1%, 1.5%, 2%이다. 철근집합체와 PS강연선 집합체가 압축구역에서 콘크리트를 구속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철근집합체와 강연선 집합체의 길이 도 실험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실험요소를 조합하여 9개의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 형보를 제작하였다. 강섬유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철근 집합체도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형 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강섬유 혼입률 0.7% 또는 1%와 철근집합체를 사용한 조합이 I형 보의 효과적인 연성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 하중과 처짐관계 및 균열양상 등이 좁은 간격을 가진 작은 직경의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유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9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CLMS using FA as powder and S and SS as fine aggregates, respectively, in order to improve flowability by preventing material separation and securing quantity of minimum unit and to secure maximum strength by repressing bleeding, the most reasonable and optimal combinations of FA+S and FA+SS were f/a 20 and f/a 60, respectively.
        100.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MgO를 0~16% 사용한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시멘트 (AASC)의 강도와 건조수축 특성에 관안 연구이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GGBFS)는 KOH를 활성화제로 사용하였고, 활성화제의 농도는 2M과 4M이다. MgO는 GGBFS의 중량에 대해 치환하였고 물-결합재 비 (w/b)는 0.5이다. 실험결과, 높은 MgO 치환율은 높은 수화반응으로 모든 재령에서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압축강도와 초음파속도 (UPV)는 Mg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AASC의 건조수축은 Mg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SEM 결과를 통해 높은 양의 MgO 시험체는 치밀한 반응 생성물질이 만들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