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1

        8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의 안전한 운항과 해양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법제의 체 계적인 정비는 중요한 분야 중의 하나이다. 세월호 사고 및 돌고래호 전복사고에 서 보듯이 미흡한 법체계는 사고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우리나라 법은 서구법제를 계수하였을 뿐 아니라 대외의존도가 높고 아직도 선진법제를 수입하는 처지이므로 외국법제의 철저한 연구는 우리나라 법제 정 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선진법제를 가지고 있는 미 국의 사법제도와 해사행정법을 고찰하였다. 미국은 우리나라와 다른 영미법계 의 법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해사행정법은 우리보다 훨씬 긴 역사와 법제의 정 비를 통하여 단일법제로 체계적으로 발전되었다. 이에 이 논문은 우리나라 해사행정법 정비 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미국 해 사행정법의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와 다른 점 및 시사점을 찾아 제시하고자 한다.
        8,300원
        85.
        201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som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s between Jeju-islanders and government in the era of American Military Rule (1945-1948). More specially, I am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of some aspects of special relationships of conflicts between people and government in Jeju island. In order to examine some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ers’ attitude against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 try to concentrate more on the contexts of policy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examination of contents of policy making at local government level, types of policy-implementation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of THE JEJU SHINBO ( only one newspaper in Jeju-do of that period). In using survey method, I am also explaining about why Jeju islanders support dissident groups rather than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 phenomena of Jeju islanders’ anti-government political orientation. I can learn about some aspects of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through my research of content analysis on articles of newspaper (the period of analysis : January 1, 1947- April 20, 1948). In the concrete, I have some propositions about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government. 1. I can find some experiences common to Jeju islanders’ discontents against policy implementation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mong painful events which occurred under bad administration. For exampl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prohibited people from participatingin anniversary meeting of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 without reason. At day, it was terrific that innocent 6 people had died by pistol shooting of military police force in March of 1947. From my analysis I confirm that hard-liner policy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developed into bad administration that had restructured to support bureaucracy- centered society rather peopleoriented one. 2. I can find that hard-liner policy forming and unreasonable policy implementation had made Jeju islanders’ political orientation worse from pro-attitudes toward American Military Rule to antigovernment mode. I think that it is meaningful task to the extent how to explain anti- government movement of Jeju islanders’ by means of some aspects of conflict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government in the policy form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I concluded that policy direction of American had supported for the framework of anti-communism politics and militaryoriented pattern of organization culture in Jeju island. I think that it is meaningful for me to explain failure and dilemma of policy making in the era of American government that oppressed a peaceful higher expectation of autonomy and desire of Jeju islanders’ toward good administration for democratic nation building.
        7,000원
        8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invasive pest is a non-native species which can cause damage to the economy, natural resources, or human health. The invasion of these non-native species is an escalating problem worldwide.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ca. 50,000 nonindigenous species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United States, many of which have caused a total of > $100 billion losses in natural and agricultural ecosystems. Recently, two invasive pests,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and Drosophila suzukii (Diptera: Drosophilidae), have emerged as serious agricultural pests in the U.S. Both species are native to Asia, however the distributions of the pests have rapidly expanded across the U.S. causing significant economic losses especially in specialty crops, presumably due to similarities in host plant complex and climatic environments between the native and new regions. In this study, a series of research efforts to protect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against H. halys and D. suzukii in the U.S. are summarized and reviewed.
        8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국내에서 수집한 수수의 성숙기 간장이 250 cm 이상되는자원은 5 종으로 전체 62 수집종의 8.1 %를 차지하였다. 2. 수형 특성 조사에서는 3개 분얼수를 가지는 자원은 전체수집종의 56.6%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평균 분얼수는 3개 인것으로 나타났다. 3. 잎의 특성조사에서 엽장이 90 cm 이상되는 자원은 14.5%로 분류되었다. 4. 분얼형에 있어서는 반밀수타원형이 전체 수수 수집종의32.3%를 차지하였다. 5. 전체 수집종 수장의 평균값은 29.2 cm로 나타났다.
        4,000원
        88.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지식사회에서 아이디어의 중요성이 증 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아이디어를 보호하려는 필요성 또한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어떠한 노력들 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미국의 통일영업비밀법 (Uniform Trade Secrets Act)을 중심으로 고찰 한 글이다. 특히 영업비밀의 정의가 UTSA 제정 전후로 어떻게 변하였으며, 영업비밀로서 보호받 기 위한 참신성, 구체성 요건은 어떻게 변화되었 는지를 러닝 커브 토이즈 사건, 스트롬백 사건, 그 리고 데스니 사건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보 통법 아래에서 영업비밀 보호는 불법행위 법재록 756조 주석을 근거로 한 그 기준이 주(州)마다 달라 통일되지 못하고, 동일한 주 내에서도 보호 기준이 사라지는 등 일관되지 못하였다. 또한 영 업비밀 정의가 편협하거나 애매하였으며, 보호 가 능한 품목들의 목록은 지나칠 정도로 상세하였다. 또한 그 영업비밀 정의에 따르면 경쟁자가 그 아 이디어를 알지 못한 공개되지 않은 상태이어야 하 며,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지녀 시장 경쟁에서 우 위를 점할 수준의 아이디어야만 했다. 이때 참신 함과 구체성은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하여 경쟁자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도 그 참신함이 납득되어 야만 했다. 하지만 UTSA 제정으로 아이디어로서 영업비밀 개념이 명료하게 정리되어 통일성을 갖 추는 등 개념 변화와 함께 묵시적 계약이나 준계 약과 같은 계약 형태 아래에서 보호받게 되었다. 그리고 아이디어 창안자가 상품 단계에 이를 정도 로 많은 비용을 들여 구체적인 형태를 갖추지 않 아도 오랜 시간에 축적된 지식과 노력에서 발현된 직관적 번뜩임의 결과로 나온 아이디어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데스니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과정 중에 아이디 어를 사용하는 비용을 구두로 의사를 표하였다면 묵시적 계약이 성립되어 해당 아이디어는 보호되 었으며, 그 참신함의 정도가 계약 상대방에게만 참신해도 보호가 가능한 것으로 그 한계가 완화되 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법으로서 미국 의 UTSA는 아이디어 개념을 통일되게 정립하여 좀 더 폭넓은 아이디어 보호를 이끌어내고 있다. 반면에 영업비밀로서 인정받은 아이디어를 침해 하지 않고 후발 주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로 시장 우위를 점하기는 더욱 어려워지는 아이디어의 독점 현상 심화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4,900원
        89.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ashion design itself has an independent artistic value of its own. However, legal protection for fashion design is still lacking. In the fashion market, design piracy and trademark piracy are universal phenomena and the imitation behavior is made by a wide range of subjects in real time. The protection of the authentic holder in the relatively-short-cycled fashion design should be done immediatel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laws designed to protect fashion design significantly, to promote the creation of fashion desig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fashion design protection.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aim to examine the market trends relating to the theft of the fashion design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second objective is to consider current legislation to protect fashion design in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rdly, the present study seeks to measure consumers’ perception on counterfeit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piracy. Our results suggest that both countries cohere in that the market size of counterfeit goods is expanding and fashion products are prominent in the counterfeits market. However, while Republic of Korea is not capable of effectively controlling domestic counterfeit products, the United States is trying to protect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ith regulations of counterfeits through the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Agency. In the domain of legal protection for fashion design, the United States enacted individual laws such as DPPA and IDPPA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legal profession since 2006.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ness of laws for fashion design protection appears to be weaker in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nsumer perception, Korean consumers continuously buy counterfeit goods, whereas U.S. consumers rarely report having had a counterfeit product purchase experience. Korean consumer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legal knowledge concerning fashion design protection and, compared to their U.S. counterparts, they are negatively recognized about counterfeit goods. Despite this, they do not hesitate to buy counterfeit products in real lif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the consumer perception suggest that Korean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behaviors with regard to counterfeit goods are inconsistent; the reason underlying this tendency is that the force of the legal system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strengthen the rigor of the law-enforcement and to establish the laws that would help enhance consumer awareness in the Korean society.
        9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llection of Character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edited by Tang Yuhui, includes the most abundant forms of Character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up to now. Characters on ancient seals are one type of Chinese Characters it recorded, which accounts over 1/4 among the total number of the characters. According to recently related research achievements, we made a revision of these missing prefixes of Chinese characters, forms of characters on ancient seals and other different mistakes in the Collection of Character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5,200원
        91.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허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법 제97조에 따라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해진다. 특허권침해소송의 상대방이 제조하는 제품 또는 사용하는 방법 등이 해당 특허발명의 구성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경우 문언해석에 의한 침해가 성립된다. 하지만 언어가 가지는 표현상의 한계로 인하여 기술적 범위를 특허청구범위에 그대로 기 재하고 장래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침해유형을 예상하여 특허청구범위를 작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 특허침해에 있어서 대개 침해자들 은 특허발명에 사소한 변경을 가하여 특허권의 보 호 범위를 회피하고자 한다. 이에 특허발명의 실 질적 가치를 보호하지 위해 등장하게 된 이론이 균등론이다. 우리나라는 대법원 97후2200 판결에서 균등론을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5가지 적용요건을 확 립했다. 하지만 당시 균등론에 대한 국내 판례가 부족했고 학계의 연구 성과 또한 미진한 상황에서 외국의 균등 이론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것이기 때문에 각 적용요건에 대한 통일된 판단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여전히 균등론의 법적 안정성 과 예측가능성에 있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특허권은 발명자 가 자신의 발명을 영업비밀(Trade Secret)로서 공중에게 공개한 것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주어지 는 것이기 때문에 발명은 출원 서류에 기재되어 공중에게 일정한 기여를 한 범위 내에서만 보호를 받는다는 계약법적인 입장에 입각한 연구가 많고 균등론을 특허청구범위 해석의 예외로서 최대한 그 적용을 제한하려는 방향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분쟁소송에서 특허청구범위 해석 에 관련한 문제는 가장 중요하고 빈번하게 발생하 는 사안이며 권리범위를 획정하는 하나의 방법으 로서 균등론은 현실적으로 예외 사항이 아니라 특 허침해의 일반적 판단원칙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입법을 통해 특허법에 균등 이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명시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균등론의 연구의 방향은 기존의 공시기능을 중시하는 연구에만 치중하는 것보다 특허권 보호를 위한 방향으로도 논의의 방 향을 넓혀 적용요건의 판단 기준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고에서는 미국, 일본과의 논의와 비교해서 우리나라의 적용요 건에 대한 판단기준을 검토할 때에도 이러한 방향 성에 맞추어 논의를 전개해가고자 한다.
        6,700원
        92.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June 18, 2014, the WTO’s Dispute Settlement Body adopted the Panel report on China – Anti-Dumping and Countervailing Duties on Certain Automobiles from the United States case. There are questions that are still left open or ambiguous, and some notable findings have been introduced. For the procedure, the major issues are whether the non-confidential summaries of data were sufficient to reasonab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the admissibility of the delayed letter from parties and whether the notice and registration of Investigation Authorities could justify the facts available for determination of Residual rates. As regards the substantive issues, the discussion focuses on whether there is a self-selection process to distort the domestic industry definition and the price comparability between subject imports and the domestic like product. By analyzing the arguments, evidences and reasoning in these regards, this review points out questions that still need future clarification.
        5,200원
        9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국 정부차원의 체계적인 아동학대 관련정책과 그에 따른 아동보호지원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아동학대와 관련한 정책 수립 및 아동보호지원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국은 1974년 아동학대 예방법을 시작으로 아동학대와 관련한 여러 가지 법을 제정 또는 개정을 통해 국가차원의 관심을 보였다. 이같이 아동학대 관련법에 입각한 아동보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주정부와 지역사회 민간 기관과의 협력체계를 유기적으로 구축하여 체계적인 아동학대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미국에는 신고의무법이 있어 아동학대 사실이 의심되면 신고의무자는 의무적으로 기관에 신고하고, 정부기관에서는 조사와 개입의 단계를 거쳐 아동을 보호한다. 또한 치료서비스를 통한 아동과 가족의 회복을 통해 원가정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위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은 아동학대와 관련하여 국가적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다양한 아동보호 지원시스템의 지원이 필요하며, 신고의무자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신고의무를 다하도록 면책의무와, 의무불이행, 허위신고 등에 있을 제재조치를 마련하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5,100원
        9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정 분야에서의 자원봉사자 활용 의의를 검토한 후, 미국에서의 민간시민인력 활용 사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응보적 교정(retributive corrections) 이념에서 회복적 교정(restorative corrections) 이념이 강조되는 현 상황에서 시민자원봉사자의 교정 참여가 어떤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 고민해보고, 외국의 사례를 직접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활용 모델로 삼는 것은 교정의 발전을 이루는 초석이 된다고 하겠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분야가 크게 교화, 종교, 교육, 의료, 취업 등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속에서 상담 및 교육 등의 활동이 교정 시설 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이 직접 교정프로그램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프로그램의 개발 정책결정 업무에 관여하기도 하고, 범죄자 리엔트리 및 피해자 지원활동 업무까지 담당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자원봉사자 관리 업무에 있어서, 미국의 경우 국가 주도 하의 특정 협의체가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이 자발적인 지역사회 네트워크에 속하는 “자원봉사자활동 센터(Volunteer Action Center)”나 “자원봉사자 주식회사(Volunteer in Probation, Inc.)”가 주도적인 자원봉사자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우리나라와 차이를 보인다고 하겠다. 영국은 특이하게도 과거에 범죄를 저질렀던 범죄자가 자원봉사자들의 상담 및 지원을 통해 새로운 교정 민간 자원봉사자로 변신하게 되는 “서비스 이용자 참여(Service User Involvement)” 프로그램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이것은 과거 전과자로서 알코올 중독 치료 등을 성공적으로 잘 마친 사람이 다시 다른 범죄자들을 위한 자원봉사자로 일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시도인 자원봉사자의 활용 모델을 통한 교정의 성공 사례라 할 수 있다. 또한, 영국에서는 온라인 등을 통해 일반 시민들이 갖고 있는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사회봉사명령 집행 방식을 새롭게 결정하는 등 국민들의 교정참여를 온라인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하려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영국과 미국에서는 차별화된 새로운 시민 참여 방식을 교정 분야에 도입하여 일반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교정에 대한 새로운 긍정적 인식과 관심, 책임감을 부여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자원봉사자 모집, 교정 홍보, 교육, 사후 인력관리 측면에서 영국과 미국이 실시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활용사례는 우리에게도 큰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6,900원
        9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람들은 커피를 물 다음으로 가장 많이 마시는 어느새 생활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최근 커피전문점은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들 그리고 자신만의 차별화된 아이템을 바탕으로 소규모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으며 거의 포화될 대로 많은 커피전문점 시장에서 과연 어떻게 살아남고 대응해야 할지 고려해 봐야 한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 유럽, 일본 등과 같이 우리나라에 비해 커피 산업 분야에서 한참 앞선 나라들의 커피 산업경향을 살펴봤다. 앞으로의 커피전문점은 경쟁력을 가진 업체만이 살아남을것이며 얼마나 고객들의 요구를 잘 충족하는지가 관건일 것이다. 따라서 경영자들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커피 시장환경에 대응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4,000원
        96.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decades, marketing practitioners and scholars have envisioned th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arket offerings will become an important consumer concern (Grant 2007; Henion 1981; Kassarjian 1971; Kotler 2011; Ottmann 2011) and a myriad of consumer surveys indicated that consumers are willing to change their purchase and consumption habits for a better environment (Banikarim 2010; Ferguson and Goldman 2010; Imkamp 2000; Laroche, Bergeron and Barbaro-Forleo 2001). However, consumers’ actual adoption of environmental market offerings has been far below what had been expected and predicted so far (Connolly et al. 2006; Davis 1993; do Paço and Varejâo 2010; Kilbournes 1998; Horne 2009). To bridge the gap between consumers’ stated interests in and attitudes regarding adoption of eco-friendly market offerings and their actual adoption of eco-friendly market offerings, marketers need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1) what determines consumers’ willingness and propensity to adopt eco-friendly market offerings and consumption behaviors, 2) how those individual, social, and marketing determinants of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s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3) where consumers stand currently in terms of those determinants, and 4) what needs to be done to remove the bottlenecks in the adoption and diffusion processes. To provide answers to above four aspects of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s, this paper attempts to advance a more theoretically-based and comprehensive model of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 than extant models by incorporating recent findings of research on determinants of pro-environmental consumer behaviors and integrating various relevant theories of attitude-behavior links including the value-belief-norm theory,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e structural validity and generaliz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is tested based on two sets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consumers in the U.S. Midwest region and a metropolitan area surrounding Seoul, the capital city of Korea.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study demonstrate that while the proposed model explains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s by both the U.S. and Korean consumer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predictors of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s vary between the two groups of consumers. The analysis of the data also reveals that consumers in the two groups differ significantly from each other on many variables which are included as direct and indirect determinants of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s in the proposed model. Together, the findings provide interesting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rategies to facilitate consumer adoption of eco-friendly market offerings.
        97.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uthors of this article compare American and Korean reactions to the persuasiveness of environmental advertising campaigns that include pledges. Findings indicate that environmental advertising effectiveness depends on how much effort recipients put into making environmental pledges prior to viewing the advertisements. Study 1 demonstrates that when environmental pledges requesting more effort precede ad messages, Americans are more persuaded but Koreans are less persuaded. Study 2 extends the findings and rules out an alternative explanation—mere-effort effect—by showing that the results are replicated only with an issue-relevant pledge, but not with an issue-irrelevant pledge.
        98.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rketing green products can be challenging and identifying the preferences of consumers can help marketers overcome these challenges by developing focused marketing solutio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ffects of cultural differences on the perception of green buildings thus the associated preferences of the occupants. This study found that South Koreans perceive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as the most important green building attribute while Americans feel the same way for the materials and resources used to buil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such as the on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help develop targeted marketing strategies to ultimately benefit multiple industries by offering sustainable solutions to the growing global and region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4,000원
        99.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Joint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Jeju 4.3 Task Force on Social Healing Through Justice, proposed here, focuses on potential next steps in view of the strong sense of many that 4.3 reconciliation is "unfinished business." It proposes a creative yet practical way for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eju people to engage in collaborative 4.3 social healing. Together as Part of the proposed Joint Task Force, they might more fully implement past recommendations and chart and oversee next steps toward comprehensive and enduring social healing “by doing justice." ’This proposal is based on the National Committee’s now-translated Report and the insights of scholars and the work of many of you here, along with others deeply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Those of us not from Jeju, or South Korea, who appreciate your invitation to participate, humbly and respectfully offer this proposal for your consideration with justice in mind.
        4,000원
        100.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lack Friday, a biggest holiday shopping seaso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regarded as a great opportunity that fashion retailers can dramatically increase their sales.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attention to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in terms of consumer responses toward the experiences, shopping values, and any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The method of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as used with 198 critical incidents extracted from 165 respons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s results, the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were categorized into positive vs. negative shopping experiences. After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we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wo common themes: utilitarian shopping value vs. hedonic shopping value. In addition to the common themes, 12 categories were also emerged. Among positive experiences, utilitarian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wo categories of off-price shopping and shopping for expensive products, whereas hedonic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hree categories of impulse buying, holiday atmosphere, and shopping for the latest or luxury brand products. Among negative experiences, utilitarian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four categories of modest discounts, out of stock, time-consuming queues, and fatigue of holiday shopping, while hedonic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hree categories of crowded environments, compulsive buying, and poorly managed stores. In conclusion, it is notable that consumer can undergo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