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1

        10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중익 배치와 종모멘트 특성이 전몰형 수중익선의 종방향 운동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Tandem 수중익 모형의 시험을 통하여 고찰한다. 먼저, Canard 날개배치를 가지는 Tandem 수중익 모형을 제작하고 수중익의 양력 및 항력 계측 실험을 수행하여 양력 및 항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종방향 운동의 초기 안정성과 자기 안정성을 가지는 Tandem 수중익 모형의 날개 배치를 결정하였다. Tandem 수중익 모형의 종안정성 시험에서는 선수 및 선미 수중익의 종방향 간격 변화와 종모멘트의 자기안정성 변화에 따른 Pitch 및 Heave 운동 특성, 익주 상태의 종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Canard 날개배치를 가지는 Tandem 수중익 모형을 제작하고 수중익의 양력 및 항력 계측실험을 수행하여 양력 및 항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종방향 운동의 초기 안정성과 자기 안정성을 가지는 Tandem 수중익 모형의 날개 배치를 결정하였다. Tandem 수중익 모형의 종안정성 시험에서는 선수 및 선미 수중익의 종방향 간격 변화와 종모멘트의 자기안정성 변화에 따른 Pitch 및 Heave 운동 특성, 익주 상태의 종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수행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의 다음과 같다. 종 모멘트 자기 안정성이 클수록 주어진 고정 pitch 각에서 pitch운동에 대한 자기안정성이 높다. 다음 종모멘트 자기 안정성이 클수록, pitch각도 변화에 따른 pitch운동 및 heave운동의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종방향 안정성이 우수하다. 마지막으로 종모멘트 자기안정성이 클수록, 수중익 양력이 동일한 경우, Tandem 수중익의 안정적인 익주를 위해서는 충분한 종모멘트의 자기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을 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4,000원
        10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a prototype mechanical white noise generator has a source level of more than 170.0 dB (re 1µPa at 1 m) at the frequency range of 10 Hz to 100 kHz.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generator are as follows. The average source level of the generator measured by a step of 15°in horizontal (0 to 360。, 25 points) was 185.2 (SD (standard deviation): 2.3) dB (re 1µPa at 1 m). The maximum and minimum source levels were appeared at the frequency range of 2.5 to 5.0 kHz and around 100 kHz, respectively. The average source levels at 0°, 90。, 180。and 270° were 162.9 (SD: 10.6), 168.4 (SD: 10.0), 162.1 (SD: 9.1) and 166.5 (SD: 11.1) dB (re 1µPa at 1 m). The average source level measured by a step of 30° in vertical was 184.9 (SD: 2.2) dB (re 1µPa at 1 m). The relative maximum variation width of the source levels in horizontal and in vertical measurement were less than 7.0 dB and 1.0 dB, respectively.
        4,000원
        103.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객과 화물의 고속 해상수송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고속선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40노트 이상의 고속 운항에 적합한 전몰형 수중익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전몰형 수중익선은 익주 상태의 안정적인 운항을 위해서는 종방향 운동의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익 배치와 종모멘트 특성이 전몰형 수중익선의 종방향 운동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Tandem 수중익 모형의 시험을 통하여 고찰한다.
        3,000원
        104.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a cage in marine aquaculture might be varied such as on the stability and shape in the open sea by environmental factor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net cage structures in the open sea, the physical and numerical modeling techniques were applied and compared with field observa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stability and the volume loss which would have an effect on the fish swimming behavior in the octagonal pillar type fish cage under the open sea. As a results, the volume loss ratio of the fish cage as measured using a depth sensor was indicated a value of the 30.3% under the current velocity (1.1m/s). The fish cage should be consisted of a concrete block with a weight over 10 tons, a mooring rope diameter over 28mm PP, and a shackle of 25mm under the current speed of 1m/sec for reasonable stability.
        4,000원
        105.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imed to asses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ish on an artificial reef using hydroacoustic techniques. The acoustical survey was conducted with a 200 kHz dual beam transducer while fishing on the stone combination reef of Uljin. A school of fish were detected on the artificial reef before sunset and floated on the artificial reef at 30 minutes after sunset. The density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of fish that floated on the artificial reef after sunset was about 600 m2/nmi2; similar observations (about 50 m2/nmi2 or less) were noted after 19:00 hours. Fish caught by fishing on the artificial reef were Sebastes schlegeli, Hexagrammos otakii, Sebastes thompsoni, and Conger myriaster. Resultantly, we demonstrated that hydroacoustic techniques are useful for detec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ish in the artificial reef. Such results can be used for basic data to estimate the install effect of the artificial reefs.
        4,000원
        106.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중 삼각형상구조물의 경사도와 레이놀즈 수 변화에 따른 구조물 주위의 유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델링한 삼각형상구조물 주위의 유동장은 회류수조에서 가시화실험과 입자영상유속계(PIV)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실험결과 경사각이 45°인 삼각형상구조물이 레이놀즈 수 Re=2.9×10³에서 구조물 높이의 2.7배까지 상승하는 속도성분이 나타났다. 레이놀즈 수가 일정할 때 경사각이 클수록 구조물 후방에 하강하는 속도성분이 크게 나타났고, y/hs=1.75이상의 영역에서는 경사각과 레이놀즈 수가 구조물 후방의 유동형태에 변화를 주지 않았다.
        4,000원
        10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uminum oxide 지지체를 사용하여 루테늄 촉매가 개발되었고, 이 루테늄 촉매는 수중에서 일차 아민또는 니트릴을 기질로 하여 일차 아미드 합성에 적용되었다. 방향족, 비활성화 된 지방족, 환 모양의 헤테로 원자 등의 다양한 기질들의 아민 또는 니트릴이 최종 생산물인 일차 아미드로 높은 수율을 보이며전환되었다. 그리고 이 반응들에서 산 또는 염기와 같은 첨가물이나 일반적인 산화제 등의 도움없이 반응이 수중에서 진행되었다. 사용된 촉매는불균일 촉매임이 분명하였고, 그 촉매는 단순여과에 의해metal-leaching 없이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촉매는 촉매 성능의 변화없이 여러 번 재사용되었다.
        4,000원
        10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류는 수체 내에 서식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행동이 나 이동을 연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원격측정방식 중 하나인 수중음향측정 방식(acoustic telemetry)은 수 생 생물 특히, 어류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으로 이 동경로 및 거리, 패턴의 분석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는 국내에 서식하는 잉어과 어류인 눈불개를 대상으로 하 여 수중음향측정방식을 적용, 서식처범위(home range)와 이동패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연구는 금강 하 구둑부터 백제보까지의 약 70 km 구간을 대상으로 총 9 개체의 눈불개를 하구둑(Sc1-3)과 백제보(Sc4-9)에서 각 각 방류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하구둑에서 방류한 개체들은 방류지점으로부터 12.7 km 상류지점까지를 서 식처 범위로 하여 이동하는 패턴을 나타냈고, 백제보에서 방류한 개체들은 가장 하류까지 이동한 Sc6 (방류지점에 서 직선거리로 53.4 km 하류까지 이동)을 제외하고 대부 분 방류지점에서 7.2 km 하류 지역을 서식처 범위로 이용 하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Sc7, 8, 9 개체는 큰 이동을 보이지 않았다. 눈불개의 총 이동거리는 개체의 체장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s=0.715, p=0.03), 또한 이동 개체와 이동하지 않은 개체 비교 시 이동 개체들의 체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 인되었다(Mann-Whitney U test, p=0.024). 따라서 눈불 개의 이동 범위는 크기와 관련이 있고, 체장이 커질수록 총 이동거리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모니터링 개체수가 많지 않았지만 대상종의 이동과 관련된 의미 있 는 자료들의 수집이 가능하였으며, 연구방식이 전반적으 로 국내의 다양한 어류에 안정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기 때 문에 향후 어류의 이동을 모니터링을 하는데 있어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1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중음향측정 방식은 어류이동에 대한 연속적인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대형하천이나 하구 에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에 용이하게 활용된다. 낙동강 은 남한에서 가장 긴 하천으로 연속적인 보의 설치로 인 하여 하천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 내에 서식하는 잉어과 어류인 강준치를 대상으로 하여 수중음향측정방식을 적용, 서식처범위(home range)와 이 동거리, 이동패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부터 창녕함안보까지의 약 80 km 구간을 대상으로 총 14개체의 강준치를 3지점에 방류하여 모니 터링을 수행하였다. 하구둑(N02)에서 방류한 8개체들은 방류지점으로부터 15.9 km 상류지점까지를 서식처 범위로 하여 이동하였고, 삼랑진(N07)에서 방류한 4개체들은 신 호가 사라진 E12개체를 제외하고 하류로 이동하였으며, 9.7 km 구간을 서식처 범위로 활용하였다. 2개체가 방류된 창녕함안보(N10)에는 모두가 하류로 이동 하였으며, 이 중 E14개체는 32일 동안 가장 긴 누적감지거리(36.7 km) 를 이동하였다. 강준치의 체장과 누적감지거리, 서식처 범 위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Spearman rank correlation, p¤0.05). 비록 본 연구 방식이 담수어류의 이동에 유용하지만 좀 더 자세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서는 수신기의 수와 적용하는 발신기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
        4,000원
        113.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brid surveys using hydroacoustic and fish sampling gears such as trammel net, trap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otal biomass, distribution and dominant fish species of the demersal fishes in the marine ranching area (MRA) of Jeju. Four surveys were carried out in June, August, October and November using 38kHz quantitative echo sounder. Catch data using trammel net and trap were used to calculate biomass and to examine dominant fish species. Fish schools were mainly detected in the waters of 20 meters below and around Chagwido waters. By the result of fishing experiments, fish species living in MRA of Jeju were about 40 species, dominant fish species of a detectable fish such as Family Sparidae and Family Monacanthidae etc. were identified 59.4~68.8% of total biomass. Based on the hydroacoustic data, fish length-weight function and target strength information, mean density of the demersal fish estimated were as follows; 0.88g/m2 on June, 1.12g/m2 on August, 1.35g/m2 on October and 1.18g/m2 on November. An estimated average biomass in MRA of Jeju was founded 20.5 tons in 2007, 20.6 tons in 2008, 23.0 tons in 2009, 25.9 tons in 2010. The results showed that biomass of MRA is getting increased slowly. Therefore the hybrid survey method using hydroacoustic and fish sampling gears is assured an effective biomass survey in the waters of mixed species.
        4,000원
        114.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optimal design of a shrimp pot to control the catch size and to reduce catch the small size shrimp, tank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pot stability under water. Tank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the drag with 4 kinds of model pots that have 50% selection on the individual of 25mm carapace length. The drag of each pot was measured every 10 times with changing the current speeds from 0.1m/s to 0.7m/s in 0.1m/s intervals and the pot attack angle from 0˚ to 90˚ in 15˚ interval in a flume tank. The relation between the current speed and drag was presented. The stability of pot was estimated using the drag data and the friction data of Kim et al. (2008b).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ag was shown lower as small as the projected area of pot depending on the current speeds and angles. The model pots were showed to slide on the seabed in case of rock at the current speeds 0.35-0.38m/s and the possibility of turn over at the current speeds 0.77-0.89m/s. In conclusion, the stability of a shrimp pot showed more stable as the pot of the lower the height and the smaller projected area on current.
        4,000원
        115.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 a zone of operations or underwater mine warfare, it's very critical for warship to be damaged by underwater mine. In order to increase survival rate of warship from threat of mine, specific signal of warship is measured. And then specific signal is treated and calibrated below the baseline. The sensors that measured the signal are installed under the sea to exactly measure. It's difficult for maintenance men to approach the underwater equipment compared with the ground equipment. It needs long time for maintaining, demands support equipments and handling equipment. And it needs people who maintain the equipment under the water. So, it's important to analysis accurate reliability and estimate maintenance period. This paper present the reliability analysis method about array sensors under the water. The analysis object, array sensors, is set bounds to a warship signal measurement facility. At First, this study established procedure of reliability analysis about array sensors under the water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array sensors. It decided number of sensors which was depended on size of warship and selected reliability model through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al concept. Finally, it calculated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of array sensors under the water.
        4,000원
        117.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water CCTV camera systems are increasingly replaced the traditional net approach of assessing the species, numbers and aggregation patterns of marine animals distributing around the artificial reefs installed in the inshore fishing grounds,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biological investigation of behavior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arget fishes. In relation to these needs, we developed a multi-directional underwater CCTV camera system to use in detecting and tracking marine animals in the artificial reef ground. The marine targets to be investigated were independently tracked by using a camera module toward the bottom and four camera modules installed in the interval of 90˚ in horizontal plane and inclination of 45˚ in vertical plane of the CCTV system without the overlap of video frames by each camera module. From the results of several field tests at sea, we believe that the developed multi-directional underwater CCTV camera system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in evaluating the effect of artificial reefs installed in the inshore fishing grounds.
        4,000원
        118.
        201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중 지표동물인 어류의 137Cs 및 85Sr 전이계수 측정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어종은 우리나라 고유 담 수종인 버들치(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였다. 버들치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45cm, 85cm, 50cm의 아크릴 수족관 내에서 사육되었다. 수족관 물은 바닥과 벽면에 설치된 여과기에 의 해 연속적으로 정화되었다. 먹이로는 과립 형태의 어류 분말을 1일 2회 투여하였다. 수중 137Cs 과 85Sr의 초 기 농도가 각각 약 0.02μCi/l 및 0.1μCi/l가 되도록 방사성 용액을 가한 다음 1개월 간 총 10회에 걸쳐 어 류와 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전이계수는 137Cs 이 (0.085 ~ 3.988)lkg-1, 85Sr는 (0.348 ~ 13.906)lkg-1로 측정 되었다.
        4,000원
        11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 및 지상에서 시행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수중에서 시행된 강제 유도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연구 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편마비를 가 진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 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평가는 Box and Block Test(BBT)와 Pediatric Motor Activity Log(PMAL)를 사용하여 시행되 었다. 결과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BBT 점수는 각각 27%(21.5점에서 27.3점으 로), 14%(33점에서 37.5점으로), 7.6%(46점에서 49.5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때 각각 16%(21.5점에서 25점으로), 6%(33점에서 35점으로), 0%(46점에서 46점으로)로 증가되거나 유지되었다. 대상 자 1, 2, 3의 PMAL 점수는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38%(0.8점에서 1.1점으로), 31%(1.3점에서 1.7점으 로), 17%(1.8점에서 2.1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25%(0.8점에서 1.0점으로), 15%(1.3점에서 1.5점으로), 11%(1.8점에서 2.0점으로)가 증가되었다. 수중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지상 강제유도 운동치료 후 측정된 BBT와 PMAL의 측정값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결론 : 치료과정 동안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수중과 지상에서 교차 적용한 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시행 될 때 상지운동 기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120.
        2010.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안 지역은 해수의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은 해안에서 소산되며 이 과정에서 해안의 토사 등이 유실된다. 수면에 돌출된 방 파제에 비해 수중구조물은 해수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고 해안선을 따라 해수순환을 가능케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해안 침식을 방지 기 능을 갖는 수중구조물을 수중장애물로 형상화 하고 후방의 흐름특성을 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그 결과 유선의 곡률 효과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전단층 주위 유체의 유입 등의 영향으로 박리 전단층 내에서 커다란 와구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