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4

        101.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에서 추출된 카이로몬을 이용하여 난기생천적인 짚시알깡충좀벌(Ooencyrtus kuvanae)에 대한 유인성을 olfactormeter로 측정하였다. 매미나방알의 인편과 털에서 추출한 카이로몬은 79.9%의 유인성을 나타내어 알에서 추출한 카이로몬의 67.6%보다 높은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짚시알깡충좀벌의 탐색시간은 인편과 털의 추출물에서 115.5초 인편과 털을 제거하지 않은 알에서 113.2초로 유사하였다. 정상적으로 산란된 기주알에 대해서는 91.0%가 유인되어서 난소에서 적출한 미성숙알의 15%보다 크게 높았으며 탐침까지의 시간은 84.2초로 난수에서 적출한 알의 114.0초보다 짧았다. 생식부속샘에서 분비되는 접착물질은 88%로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고, 탐색시간은 89.2초, 최초탐침시간은 26.8초를 나타냈다. 6종류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카이로몬을 대상으로 짚시알깡충좀벌의 유인도를 조사한 결과 n-hexane의 추출물에서 가장활발한 반응을 나타냈으며 자연난에서 우화한 것이 인공난에서 우화한것보다 3배이상 높은 반응을 보였다.
        4,000원
        102.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루깍지벌레 월동안 부화시기 예찰모형을 수립하기 위하여 월동알에 대한 온도발육 실험이 수행된다. 5개온도(10, 15, 20, 25, 27)와 채집시기별로 월동알 부화기간을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Wagner 등 (1984a)의 비선형발육모형이 온도별 평균발육률에 대하여 적용되었으며 (=0.9729). 발육영점온도는 15~ 영역에서 얻은 직선회귀식에 의하여 로 추정되었으며, 발육완료를 위해서는 154.14일도가 필요하였다. 적산온도 모형과 발육률전산(Wagner 등 1985) 모형이 부화시기 예측에 이용된다. 적산온도 모형은 평균온도에서 발육영점온도 이상의 온도를 적산하는 방법(Mean-minus-base 추정법), Sine wave 추정법(Allen 1976),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Arnold 1960)을 잉요하여 계산하였다. 50% 부화예측일을 실측일과 비교한 결과 적산온도를 이용하는 경우 Mean-minus-base 추정법은 18~28일, Sine wave 추정법은 11~14일,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은 3~5일의 편차를 보였고, 발육률 적산모형은 2~3일의 편차가 있었다.
        4,000원
        105.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구류 포식성 천적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온도에 따른 벼멸구 알 공격능력과 기능반응의 변화를 20, 23, 26, 29, 32, 등 6개 온도에서 검정하였다. 등검은 황록장님노린재는 산란된지 1일에서 4일된 이런시기의 벼멸구 알을 선호하였으며, 이중 3일된 벼멸구 알을 가장 선호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능력은 Holling의 제2형 기능반응의 Rogers(1972) 진정포식자 모형에 잘 부합되었다. 기능반응의 포식자 탐색율(a)은 까지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처리시간(Th)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만히 감소되었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온도별, 밀도별 공격위치의 선호성은 일반적으로 저밀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밀도에서는 위쪽에 산란된 알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온도가 높아짐에따라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4,000원
        106.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 알에 대한 긴털이리응애의 전반적 채식행동을 연구하였다. 먹이가 충분히 존재할 때, 긴털이리응애는 섭식-섭식후이도.휴식-탐색 등 일련의 과정을 반복햇을며, 각각의 시간 소비(평균표준편차)는 6.831.73, 3.001.33, 93.5730.19 분이었고 탐색시간은 9분에 가가웠다. 섭식후이동은 이동 속도가 느리고 (초속0.09mm)한쪽 방향으로연속하여 회전하는 범위제한적 탐색행동을 보였으며 이탕행동은 속도가 빠르고(초속 0.31mm) 반응면적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 특징을 보였고, 탐색행동은 중간의 특징을 보였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의 섭식위치는 집중분포를 따랐다.
        4,000원
        107.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의 알의 고추화 담배에서의 포장내 공간분포와 식물내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물체 1주를 표본단위로 할 때 고추포장에서의 알의 공간분포는 집중분포 유형 (a=1.3915,b=1.1648)을 보였으나 담배포장에서는 균일분포 유형(a=1.6.35, b=0.6880)을 보였다. 알의 고추 부위별 빈도는 잎(76.2%), 과실(16.8%), 줄기(6.5%), 꽃(0.45)의 순서로 대부분 잎에 위치를 하였다. 잎에서는 70.1%가 잎의 앞면, 25.2%가 잎의 뒷면에 위치하였다. 담배의 경우도 대부분 잎에 위치하였으나, 잎 앞면과 잎 뒷면이 각각 33.7%와 66.3%로 잎뒷면에 더 많이 위치하였다.
        4,000원
        108.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미나방알좀벌, Ooencyrtus kuvanae (Hymenoptera : Encyrtidae), 이 기주를 발견한 후 산란을 끝내고 기주를 떠날 때까지 11단계의 연속행동과정, 그리고 자기몸청소, 휴식 등과 같은 부수적인 행동이나 산란관에 의한 상처로부터 나오는 기주체액을 먹는 습성 등이 조사되었다. 기생벌에 기주난이 연속적으로 주어졌을 때는 처음 산란을 마친 매미나방알좀벌은 활발히 주변을 움직이며 다음 산란대상이 되는 기주에 보다 빨리 접근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또한 기주접촉단계에 소요하는 시간이 첫 번째 난에서 보다 두 번째 세 번째난에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산란경험이 기주발견과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09.
        198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for Seong-ge-al(sea urchin) were analysed by the automatic analyser. There are two kind of samples such as raw and saited, fermented on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In the general composition,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as 15.8%, 3.5% and 2.2%, respectively. The raw sample showed pH 5.6 value. 2. In case of amino acid, it contained 17 different kind of amino acids. Among them, a lot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glycine and valine were contained. 3. In case of fermentation period, threonine, histidine, lysine and arginine were increased a little bit. 4. In case of fatty acid, it contained 13 different kind of fatty acids. Among them, a lot of palmitic acid, behnic acid,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were contained.
        4,000원
        110.
        202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S광산의 광산폐기물 적치장 침출수에 함유된 불소의 처리를 위해(1) Ca계 물질을 이용한 공침법; (2) 활성탄과 비산회를 이용한 흡착법; (3) 알럼을 이용한 응집침전법 등을 이용한 불소(초기 농도 9.5 mg/L)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Ca계 물질을 이용한 공침법의 경우 최대 65.6%, 활성탄 흡착법 27.9%, 비산회 흡착법 71.5%, 알럼을 이용한 응집침전법은 최대 96.6%의 불소 제거 효율을 보였다. 또한 불소의 제거에 있어 높은 제거 효율을 보인 알럼을 이용하여 모의 침출수를 대상으로 실험실 내 반응조에서 수행한 연속 처리 공정 가능성 검토 결과, 저농도(6.4 mg/L), 고농도(15.7 mg/L) 모의 침출수를 불소의 국내 청정 지역 배출수 허용 기준인 3 mg/L이 하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치 규모 반응조 운영을 통한 현장 불소 제거 실험 결과, 적정 한 운영 및 관리를 하는 경우 불소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1.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GATE)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 된 male adult mesh (MASH) 팬텀의 영상을 획득한 후 다양한 필터링 인자가 설정된 FNLM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그에 따른 영상 특성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GATE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인체를 모사할 수 있는 MASH 팬텀을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MASH 팬텀을 기반으로 MAT LAB 프로그램을 통해 복부영상을 획득한 후 0.005의 σ 값을 갖는 Gaussian noise를 추가하여 열화영상을 모델링하였다. 모델링 된 열화영상으로부터 제안하는 FNLM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의 필터링 인자를 각각 0.005, 0.01, 0.05, 0.1, 0.5, 1.0 으로 설정하여 적용하였으며, 정량적 평가를 위해 FNLM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된 영상들로부터 각각의 coefficient of variation (COV), signal to noise ratio (SNR) 그리고 contrast to noise ratio (CNR)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0.05의 필터링 인자가 적용된 영상에서 가장 개선된 COV, SNR 그리고 CNR 값을 보였다. 특히, COV는 설정된 필터링 인자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0.05 값 이후부터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SNR 및 CNR의 경우 필터링 인자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0.05 값 이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열화 영상으로부터 FNLM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 적용 시 적합한 필터링 인자를 설정해야 함이 증명되었다.
        112.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a gulls are high trophic level consumers in the coastal environment, and thu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to monitor contamination biomagnified through a food web. However, such monitoring studies using sea gulls have been rare in the Korean literature.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chose eggs of a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to serve as an environmental specimen for the long-term monitoring of the coastal ecosystem affected by terrestrial pollutants. Black-tailed gull eggs were collected from Baengnyeongdo, Hongdo and Uleungdo, and their DDTs and total mercury content were determin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ΣDDTs was 231.6±106.1 μg/kg wet in Baengnyeongdo, followed by 230.0±123.8 μg/kg wet in Ulleungdo, and 117.7±18.3 μg/kg wet in Hongdo. In addition, total mercury was detected at 414.5±97.6 μg/kg wet in Ulleungdo, 363.9±123.6 μg/kg wet in Hongdo, and 237.5±42.3 μg/kg wet in Baengnyeongdo.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the target pollutants were recorded in specimens from Ulleungdo. Additional comprehensive and prolonged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contamination in black-tailed gull eggs with regard to monitoring contaminant trends in eggs and prey.
        113.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ome items assumed to evaluate a Load Carrying Capacity of unknown properties bridge. The 1st, non-reinforced concrete slab 2nd, pre-cast slab 3rd, non-composite bridge. The reason why its assumed like these is to calculate the bridge on critical condition. The Load Carrying Capacity is calculated using WSR(working stress rating) method.
        11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115.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and components of Geranium thunbergii on aldose reductase (AR) and galactitol formation in rat lenses with high levels of galactose as a part of our ongoing search of natural sources for therapeutic and preventive agents for diabetic complications. The inhibitory effects of water,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of G. thunbergii on rat lens AR (RLAR) were determined. Comparing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ethanol extract showed RLAR inhibitory activity (IC50 values, 5.24 and 6.39μg/ml, respectively).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to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water. Of these,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ethanol extract of G. thunbergii exhibited RLAR inhibitory activity (IC50 value, 2.64μg/ml). In order to identify the bioactive components of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ethanol extract from G. thunbergii, eight compounds, namely gallic acid (1), protocatechuic acid (2), p-hydroxybenzoic acid (3), brevifolin carboxylic acid (4), geraniin (5), ellagic acid (6), kaempferol-3-O-arabinofuranosyl-7-O-rhamnopyranoside (7), kaempferitrin (8) were isolated. The isolates were subjected to in vitro bioassays to evaluate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RLAR and galactitol formation in rat lenses. The ellagic tannins (5, 6) and flavonoid (7) exhibited strong inhibitory effects on RLAR. Also, these three compounds (5, 6 and 7) suppressed galactitol accumulation in rat lens under high galactose condition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to prevent galactitol accumulation exo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and components of G. thunbergii are a promising agent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116.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axifolin-3-O-β-D-xylopyranoside and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 were isolated from an EtOAc-soluble extract of the leaves of Chamaecyparis obtuse.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 was found to possess a potent inhibitory activity of human recombinant aldose reductase in vitro, its IC50 value being 11.5 μM. Kinetic analysis showed that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 exhibited uncompetitive inhibition against DL-glyceraldehyde. Also,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 suppresses sorbitol accumulation in rat lens under high glucose condition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to prevent sorbitol accumulation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compound may be a promising agent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11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찰옥수수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옥수수알 가공시 적정한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품질 및 식미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품종 찰옥4호, 일미찰을 시험포장에서 4월 24일에 파종하여 재식거 리 70×25㎝(5,700주/10a)로 옥수수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재배하였다. 출수 후 일수를 계산하여 출수 후 30, 40, 50, 60일에 수확하였으며, 개체별 변이를 줄이기 위하여 각 주별로 출사한 날을 표시하여 수확한 이삭만은 이용하였다. 수확한 이삭은 수확시기별 수분함량, 장폭비, 전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찰옥4호, 일미찰 모두 출사 후 30, 40, 50, 60일에 수분함량이 51.0, 40.1, 30.3, 22.8%로 출사일수가 늦을수록 수분함량은 적어졌고, 백립중 은 출사 후 40, 50일에 48.7g 43.5g으로 높았다. 길이는 출사일수별로 차이는 없었으나 폭은 40일에 가장 넓었 다. 찰옥4호, 일미찰 모두 출수 후 40, 50일에 가장 전분함량이 많았으며, 출수 후 60일에는 약간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두 품종을 수분함량을 11%로 일정하게 건조시킨 후 도정수율 및 도정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 였을 때 두 품종 모두 출사 후 40일에 도정형태가 좋으며 도정시간은 5초일 때가 도정수율이 가장 높았다. 수확시기에 따라 도정 후 길이와 두께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찰옥4호는 출사 후 60일에 낱알의 폭이 가장 넓고, 일미찰은 출사 후 50, 60일에 가장 컸다. 명도값과 백도, 투명도는 출사 후 40일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 었으며, 찰옥4호는 출사 후 50일에 투명도 값이 가장 높았으나 일미찰은 차이가 없었다. 두품종간에는 일미찰 품종이 찰옥4호 품종보다 백도와 명도값이 높았으며 적색도 황색도가 낮게 나타났다. 식미관련 호화특성에서 는 찰옥4호, 일미찰 품종 모두 출사 후 30일에 호화개시온도가 가장 낮았으며, 출사 후 40일까지는 아밀로스 함량과 부의 상관을 가지는 강하점도가 낮아 호화가 잘되는 것으로 보이나 출사후 50일에는 20.8로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노화경향을 나타내는 치반점도는 출사 후 40일에 높았다. 상온흡수양상은 수확시기에 따라 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일미찰이 찰옥4호 보다 수분흡수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가열수분흡수 양상은 출사 후 40일에 가장 수분흡수율이 높았으며 출사일수가 늦을수록 수분흡수율이 낮았다.
        119.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리 대두단백질과 옥수수 전분을 혼합한 복합 필름의 막 특성을 이용하여 메추리알을 코팅하고 저장성 향상 및 품질 유지를 증대시키고자 하였으며 복합 필름을 복합조리식품(샌드위치)에 적용하여 식빵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저장 실험을 하였다. 메추리알에 필름 용액을 코팅시킨 후 저장 중 Haugh unit yolk index, 중량변화를 측정하였다. 로 조절된 incubator에서 20일간 저장된 대조구와 복합 필름으로 코팅된 메추리알의 Haugh u
        120.
        200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ive alginate extraction from waste-brown seaweeds was studied. The waste-brown seaweeds almost consist of stems of seaweeds. Alginate could be obtained from the stems as well as leaves of seaweed. Ultrasonic vibration(47kHz) facilitated filtering step in the alginate extraction process. Among various alkalies for alginate extraction, NaHCO3 was most appropriate concerning use of dealginates. The yield of alginate extraction using NaHCO3 2wt% solution was 19.3% at 60℃. The dealginates from NaHCO3-extraction process have been found most suitable food for red-worms.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