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

        10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가로줄노린재 및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의 조 성 및 함량과 유인트랩의 종류에 따른 이들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를 검정하였 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3성분(EZ:EE:MI=1:5:1, 75mg/PE형 방출기)과 4성분(EZ:EE:MI:OI=1:5:1:1, 80mg/PE형 방출기)이 있으며, 콩포장, 약용포장 및 단감원에서 4성분 집합페로몬에 의한 동종 노린재의 유인효과는 3성분보다 각각 30, 100 및 120% 증가되었다.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 (Me-EZZ)의 함량에 따른 노린재과 노린재류(갈색날개노린재, 풀색노린재 및 썩덩나무노린재)의 유인효과는 7>5>10>3mg 순으로 높았다. 가로줄노린재의 집합페로몬(EE)의 함량에 따른 동종 노린재의 유인효과는 105>80>50mg 순으 로 높았다. 한편, 유인트랩의 종류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는 톱다리개미 허리노린재는 통발트랙과 펀넬통기트랩에서 가장 높았으며, 노린재과 노린재 류의 유인효과는 원반트랩>통기트랩>풍뎅이트랩>통발트랩>펀넬트랩 순으로 높았고, 가로줄노린재의 유인효과는 원반트랩>통기트랩>통발트랩>풍뎅이트랩> 펀넬트랩 순으로 높았다.
        10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단할 수 있는 검정 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소나무류에서 휘발되는 18 종류 휘발물질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유인력을 실험하였다. 실험 물질 중에 서 α-pinene, β-pinene 및 camphor가 하루 동안 절식시킨 증식형 소나무재선충 에 대해 유인효과가 있었으나, 절식하지 않은 증식형 소나무재선충에 대해서 는 유인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분산형 유충에 대해서는 절식여부와 관계없이 세 물질의 유인력이 높았다. 이들 세 물질로써 소나무재선충 감염 검정 키트 를 만들어 인공 용실과 감염목에서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유인력을 실험하였 다. 인공 용실에서 실험한 결과 휘발성 물질 처리 24시간 후 보다는 48시간 후의 유인력이 더 좋았고, 담체로서는 filter paper보다 cotton ball이 유인 효과 가 더 좋았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고사한 소나무에 휘발성물질을 처리 하여 유인력을 실험한 결과 8시간 후부터 소나무재선충이 유인 되었으며, camphor의 유인력이 가장 좋았다.
        103.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화 재배온실에서 사용되고 있으면서 수작업 시 많은 노동시간이 요구되는 국화 유인네트를 대상으로 작업의 소요시간을 대폭 절감시켜 재배 작기를 증가시킴은 물론 국화재배용 유인네트의 베드를 기존 및 신축 국화재배 온실에 보급할 목적으로 네트의 베드를 설계한 후, 베드 및 기존 온실의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총 15종류의 부재에 대한 단면의 특성과 역학적 성질을 검토하고 각각의 부재에 대한 응력비를 검토한 결과, 이들 파이프 중 ∅38.1×1.7t와 ∅38.1×2.0t의 경우, 응력비는 초과하지 않았지만 처짐의 제한 값인 10mm를 초과하였으므로 응력비와 처짐의 제한 값을 모두 만족하는 최적 파이프는 ∅48.1×1.5t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인네트의 베드를 중방에 설치할 경우, 베드 하중, 풍하중 및 설하중 때문에 중방은 트러스로 설계되어야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방을 트러스로 시공할 경우에도 풍하중 및 설하중이 작용하면, 베드의 유무에 관계없이 거창지역의 국화재배 온실의 경우, 기둥과 방풍벽에 발생되는 응력은 허용응력을 초과하기 때문에 적절한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4.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the substitutive materials for natural baits of swimming crab pots, the attracting effects of swimming crab such as the preference of baits which were made of the by-products of marine and stock raising through the water tank experiments and fishing experiments. On the investigation of mean entrapped catch number to the pot by the baits after putting the 4 kinds of baits, mackerel(M), mackerel with grinded mackerel s internals(MMI), mackerel with tuna s internalsMMI) and makerel with grinded krill(MK) each in one pot by turns, MMI and MK were entrapped mean 3.9(13.0%) and they were a little more comparing to M, and MTI is least with mean 2.1(7.0%)(F=12.913, P 〈 0.05). Otherwise,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s by the baits after putting the 4 kinds of baits in the 4 pots each, M was entrapped mean 3.0(10%), but MMI, MTI and MK were mean 1.2(4.0%), 1.0(3.3%) and 1.5(5.0%) each and they were only 30-50% of M(F=13.398, P 〈 0.05).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s by the 5 kinds of baits, mackerel(M), and krill(K), manila clam(MC), pig s fat(PF) and chicken s head(CH) which were used in substitutive baits, M was entrapped mean 3.2(10.7%), but K was about 50% of catch of M with mean 1.6(5.3%), and MC, PF and CH were very few with mean 0.1-0.2(0.3-0.7%)(F=89.186, P 〈 0.05).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s by the pots which were put each the 3 kinds of baits, original krill(K), grinded krill with gluten and soybean oil cake(KGGS) and grinded krill with gluten, soybean oil cake and glycine(KGGSGL) in the blue fluorescent hexahedral plastic bait cages(BF), and which were put the mackerel(M) in the non-fluorescent hexahedral red plastic bait cage(RFN), it was entrapped mean 3.0(10.0%) in the pot which was put the mackerel in the RFN, and the same level in the pots which were put the K and KGGSGL in the BF, but it was mean 2.0(6.7%) in the pots which was put the KGGS in BF and it was decreased by 30% of catch comparing to RFN(F=3.750, P 〈 0.05). On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of swimming crab by the pots which was put grinded tuna with gluten, soybean oil cake and glycine(TIGSGL) in the blue fluorescent hexahedral plastic bait cage(BF), and which was put mackerel(M) in the nonfluorescent hexahedral red plastic bait cage(RFN), it was entrapped mean 3.3(11.0%) in the pot which was put mackerel in RFN, and mean 2.7(9.0%) in the pot which was put TIGSGL in BF and it was about 15% less comparing to use bait M(t=1.387, P 〈 0.05). As a results of fishing experiments, a plan for enhancing catching efficiency of TIGSGL will be required because catching efficiency of TIGSGL, alternative bait, was half of fish catching efficiency of natural bait using mackerel. Fis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3 times using reinforced substitutive artificial bait that is reinforced attractive effect of TIGSGL and composed of tuna intestine, grinded mackerel, gluten, soybean cake, glycine and alanine(TIMGGSGLA). Catching efficiency of TIMGGSGLA was about 80% of that of natural bait made of mackerel.
        4,300원
        105.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의 주요 노린재류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가로줄노린재의 유인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인물(집합페로몬과 콩 조합)과 4종류의 유인트랩을 조합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3성분(EZ:EE:MI)과 4성분(EZ:EE:MI:OI)의 2종류로 이들 집합페로몬의 조성성분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효과는 3성분보다 4성분에서 약 35% 증진되었다. 집합페로몬을 청자콩, 검정콩 및 태광콩의 종실과 각각 조합하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효과는 4성분+청자콩>4성분>검정콩>4성분+태광콩>3성분+청자콩>3성분+검정콩>4성분>3성분+태광콩>3성분의 순으로 높았다. 유인트랩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효과는 통발트랩>펀넬통기트랩>펀넬트랩>풍뎅이트랩 순으로 높았다. 가로줄노린재의 집합페로몬(EE) 함량에 따른 유인효과는 105㎎>80㎎>50㎎ 순으로 높았다. 집합페로몬과 콩 종실을 조합한 가로줄노린재의 유인효과는 집합페로몬 105㎎+청자콩>105㎎+검정콩>105㎎+태광콩>80㎎+청자콩>80㎎+검정콩>50㎎+청자콩>80㎎+태광콩>50㎎+검정콩>50㎎+태광콩의 순으로 높았다. 유인트랩에 따른 가로줄노린재의 유인효과는 통발트랩>펀넬통기트랩>펀넬트랩>풍뎅이트랩 순으로 높았다. 따라서 콩 포장에서 유인물을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4성분과 가로줄노린재의 집합페로몬 105㎎을 청자콩 종실과 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10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여름작형 착색단고추의 낮은 플라스틱연동하우스 재배시 유인방법 에 따른 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유인방법은 직립과 경사유인이었고, 과실은 6월부터 11월까지 한달 간격으로 수량, 평균과중, 과육두께, 당도, 경도, 과형, 심실수 등을 조사하였다. 상품수량은 6월에 가장 많았으며,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많았다. 6월의 평균과중은 경사유인이 232g으로 직립유인보다 26g 더 무거웠으나, 7월 이후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무거웠다. 과육두께는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두꺼웠다. 당도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높아졌으며,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높았다. 직립유인의 과형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립유인의 심실수는 3.27~3.34개로 수확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10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le adults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release aggregation pheromone (AP) attracting both sexes of adult and nymphs, which its egg parasite, Ooencyrtus nezarae (Hymenoptera: Encyrtidae) exploits the pheromone to find host. The AP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E)-2-hexenyl (Z)-3-hexenoate (E2HZ3H), (E)-2-hexenyl (E)-2-hexenoate (E2HE2H), and tetradecyl isobutyrate (TI). We analyzed composition of the pheromone components of bean bug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locations of Korea and Japan. The attractiveness of different blends of AP components to R. clavatus was also tested in the fields in Jinju, Korea and in Kumamoto, Japan. Composition ratios (E2HZ3H: E2HE2H:TI) of the AP of Jinju and Iksan populations were 1:1.4:0.2 and 1:0.8:0.2, and those of Tsukuba and Kumamoto populations were 1:2.8:0.2 and 1:1.5:0.1, respectively. In field tests, traps baited with ratio of 1:1:1 (E2HZ3H:E2HE2H:TI = 16.7:16.7:16.7 ㎎/rubber septum) and 1:1:0.5 (E2HZ3H:E2HE2H:TI = 20:20:10 ㎎/rubber septum) attracted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adult bugs than that of 1:5:1 (E2HZ3H:E2HE2H:TI = 7.1:35.7:7.1 ㎎/rubber septum).
        4,000원
        108.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아용 기저귀 제조용 필름과 부직포에 계피, 로즈마리, 유칼맆툽스, 페퍼민트 추출물을 중량비 0.005%(추출원액의 0.5%를 마이크로캡슐로 만든 후 필름과 부직포에 1%의 마이크로캡슐 처리)를 처리한 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 화랑곡나방 4령 유충의 유인억제효과를 조사한 후 이 결과를 토대로 기저귀 완제품을 제작하여 화랑곡나방 4령 유충의 유인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질을 처리한 기저귀 필름에서의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피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피 추출물질을 처리한 필름에서 기피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F=4.21 df=3,21 P<0.0158), 추출물질을 처리한 부직포에서의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피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피 추출물질을 처리한 필름에서 기피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F=16.38 df=4,30 P<0.0001). 각 추출물질을 처리하여 만든 부직포로 제작된 기저귀에서의 유인억제효과는 처리구와 무처리구 기저귀를 혼합 적재하여 대량의 화랑곡나방 유충을 투입하여 유인억제효과를 기저귀 표면과 내부에서 발견된 유충수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기저귀 표면에서의 유인억제효과는 모든 처리구, 무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F=1.76 df=4, 45 P<0.1536), 기저귀 내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유칼맆툽스와 계피 추출물 처리 제품에서 유인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F=0.84 df=4, 45 P<0.5056).
        10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두과작물은 대부분의 노린재류가 선호하는 작물이지만, 그 선호성은 두과작물의 종류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선호성은 VTS(Video tracking system)를 이용하여 두류종실별 방문횟수와 체류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유인력은 통발트랩에 두류종실을 넣어 노린재류의 유인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통발트랩을 이용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과 두류 종실 조합에 의한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를 검토하였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방문횟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진품콩>선녹콩의 순서로 많았으며, 체류시간(초)은 청자콩>일품검정콩>선녹콩>진품콩의 순서로 길었다.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의한 노린재의 유인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태광콩>땅콩>강낭콩>팥의 순서로 많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EZ:EE:MI = 1:5:1, 75㎎/PE형 방출기)과 콩 종실 조합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는 집합페로몬+청자콩 조합에서 약 86%, 집합페로몬+일품검정콩 조합에서 약 59%, 집합페로몬+태광콩 조합에서 약 31% 증가하였다. 따라서 두류종실의 종류에 따른 노린재의 선호성과 유인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농작물 재배포장에서 노린재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려면 페로몬과 청자콩 종실을 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110.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락수염노린재의 주요 페로몬 성분을 찾기 위하여 알락수염노린재 헥산추출물에 대하여 GC-MS 및 GC-EAD 반응을 분석하였고, GC-EAD에 반응한 물질에 대하여 Y-tube Olfactometer로 알락수염노린재의 유인반응을 조사하였다. 알락수염노린재의 주요 헥산추출물은 (E)-2-hexenal, 4-Oxo-(E)-2-hexenal, (E)-2-hexenyl acetate, (E)-2-octenal, n-undecane, n-dodecane, (E)-2- decenal, n-tridecane, (E) and (Z)-2-decenyl acetate, pentadecane, tetradecyl isobutanoate, (Z)-9-octadecenoic acid methyl ester 및 기타 미동정 물질 등이 다수 존재하였다. 특히 암컷 알락수염노린재에는 수컷 노린재에는 없는 E-5-decenyl acetate의 함량이 매우 많았다. 알락수염노린재 헥산추출물에 대한 알락수염노린재 암․수의 안테나 반응은 retention times 4.1~ 4.2(retention index 850~860 : E-2-hexenal), 4.7 부근(retention index 960 : 4-oxo-E-2-hexenal)과 6.8 부근(retention index 1290~1305 : Tridecane)의 화합물에 대해 암․수 모두 동일한 안테나 반응을 보였다. 알락수염노린재에 대한 Y-tube Ocfactometer 시험에서 알락수염노린재의 최초 이동방향이 수컷은 E-2-decenal(100%), E,E,Z-2,4,6-decatrienoate(80%), n-tridecane (70%) 및 E-2-hexenal(60%) 순이었고, 암컷은 n-tridecane(80%), 4-oxo-E-2-hexenal (60%), E-2-decenyl acetate(60%), Z-2-decenyl acetate(60%), E,E,Z-2,4,6-decatrienoate (60%) 등의 순이었다. 특히 Tridecane과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인 E,E,Z-2,4,6-decatrienoate는 알락수염노린재 암․수 모두에서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다.
        11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에 이병된 착색단고추(Capsicum annuum var. grossum) 의 휘발성 물질(Volatile organic chemicals, VOCs)에 대해 식물바이러스 매개충인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의 유인반응을 조사하였다. 착색단고추에 CMV를 즙액 접종, 진딧물 보독충을 이용한 접종 및 대조군으로 완충용액만 접종한 처리구와 진딧물 비보독충을 접종한 처리구를 배치하였다. 접종한 CMV와 중복 감염 여부를 우려하여 접종하지 않은 PepMoV를 RT-PCR로 각 단계에서 검정하였다. 분자검정은 상처효과(wounding effect)를 우려하여 유인반응 24시간 이전에 수행하였다. Gas chromatography 분석에 의해 CMV에 이병된 착색단고추는 접종 후 2주 또는 4주에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특이적인 VOCs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접종 후 2주차에 즙액접종과 보독충 진딧물 접종 간에는 발병 특이적인 VOCs의 방출 패턴이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이들 VOCs에 대한 진딧물의 유인 반응을 검정하고자 CMV 이병 식물과 건전 식물에 대한 목화진딧물 유시충의 Y-tube 유인 수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CMV 이병주의 VOCs에 대하여 목화진딧물의 특이적인 유인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만 식물의 생장에 따른 유인수의 증가만 확인 되었다.
        11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개박하(catnip plant)에서 발견된 물질인 nepetalactol과 nepetalactone이 야외 칠성풀잠자리붙이를 유인하고(Boo et al. 1998), 해충이 식물체를 가해하면 식물체가 천적을 유인하기 위해 분비하는 휘발성물질에 대한 연구보고(Bouwmeester et al., 1999)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분비 휘발성물질은 초식성 곤충의 기주탐지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초식성 곤충 (Visser, 1986) 뿐만 아니라 이들의 천적(Tumlinson et al., 1992)도 유인하고, 산란행동이 이들 기주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에 의해 조절됨(Hartlieb et al., 1999)에 따라 이러한 기작을 해충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Agepoulos et al., 1999). 농약살포로 해충의 약제저항성 유발, 천적류 감소, 및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농약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농약대체물질 개발 및 그 이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문제해충의 정확한 발생을 예찰하고, 방제를 위해 곤충 자체가 분비하는 성페로몬을 이용하거나 해충과 작물과의 관계에서 해충이 가해한 작물에서 분비되는 휘발성물질이 천적을 유인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천적을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휘발성물질 탐색에 많은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본 소모임에서 해충의 가해를 받은 식물이 분비한 휘발성물질이 천적을 유인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목화진딧물이 가해를 받은 착새단고추가 분비하는 휘발성 물질이 천적을 유인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소개함과 동시에 작물-해충-천적 상호작용에 천적유인물질 탐색에 관련된 세부기술들 을 함께 검토해 보고자 한다.
        113.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the artificial bait of trap for swimming crabs, the attracting effect was analyzed in the duration time of attracting effect, preference and shape recognition to the bait in the water tank and field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s into the trap for each bait(mackerel, sardine and anchovy) in water tank experiments, the mean entrapped number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trap with mackerel(6.9 ind.; 23.0%) than in other traps with sardine(5.2 ind.; 17.3%) and anchovy(3.4 ind.; 11.3%). In addition, the mean entrapped ratios of swimming crabs into the traps for 3 kinds of baits were estimated to be over 80% all in 5 hours after soaked in the water tank. For preference of swimming crabs to 3 kinds of baits, the trap with mackerel(6.9 ind.; 23.0%) was evaluated to be higher than the traps with sardine(2.8 ind.; 9.3%) and anchovy(0.2 ind.; 0.7%). In the field experiments,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s into the trap with mackerel and sardine were found to be similar as 120 and 118 ind., but the trap with anchovy was only 85 ind..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shape regnition of swimming crabs to the bait used mackerel, divided into 8 pieces, 16 pieces and grinded mass in water tank experiments,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s into the traps that includes the mackerel divided into several piec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Moreover, by the presence of skin of mackerel for bai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s.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swimming crab was attracted to the bait and entrapped into the trap would indicate that not only the chemical stimuli such as the attactant, but also the visual stimuli such as the shape recognition to the bait might be closely related.
        4,000원
        11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sex pheromone components (cis-8-dodecenyl acetate (Z12Ac), trans-8-dodecenyl acetate (E12Ac), cis-8-dodecenol (Z12OH))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were chemically synthesized. Especially to increase the composition of cis-stereoisomer, a triple bond intermediate was hydrogenated at -20℃ with catalytic Pd/BaSO₄. The resulting product consisted of the acetates with a stereoisomer ratio in 92:8 (Z:E).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synthesized pheromone compounds was analyzed both in male responses and orientation disruption. The indoor pheromone effect was determined by male flight behavior showing wing movement in response to lure. Different mixtures of the synthetic pheromone components were prepared by mixing acetate and alcohol components in 100:0, 99:1, and 90:10 (g/g) and tested with a comparison of a standard commercial pheromone lure. The highest pheromone effect was observed in only acetate mixture (100:0) and the effect was reduced with the addition of the alcohol component. This indoor pheromone effect could be observed in field monitoring trial, in which 100:0 mixture showed the highest trap catches. Orientation disruption assay was conducted indoor by using a cage, in which the center had a commercial lure on sticky plate and the four candidates were placed at 6 ㎝ away from the central lure on each of four directions. Test males were released to the arena during overnight (12 h) and then the caught males on the sticky plate were counted. The synthesized pheromone as well as the commercial pheromone showed 100% orientation disruption. However, the orientation disruption effect was reduced with decrease in the number of the surrounding disrupting pheromone baits. These results clearly suggest that the synthesized sex pheromone of G. molesta is biologically active and can be used for field mating disruption.
        4,000원
        11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x pheromone blends of large black chafer, Holotrichia parallela (Motschulasky), which consist of a major component L-isoleucine methyl ester (LIME) and a minor component (R)-(-)-linalool, showed different attractiveness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s of the two components in potato fields in South Korea. The best ratio for H. parallela attraction was 2.5:1 of LIME and (R)-(-)-linalool. The attraction ability of pheromone traps bated with 2.5:1 ratio did not drop up to 14m,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t 21m from H. parallela release point. Korean population of H. parallela showed almost same periodical activity to sex pheromone with that reported in Japan, which showing a circabidian periodicity of 48h cycle.
        3,000원
        11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food source in aggregation pheromone trap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trap attractiveness using water-pan and cylinder-type traps. Water-pan trap baited with pheromone+food (dried soybean+dried peanut+water) attracted significantly more number of females and males than those with pheromone or control trap. Although cylinder-type trap baited with pheromone+food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attractiveness, it attracted more adults and nymphs than the pheromone and control traps.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trap types on attractiveness is needed.
        3,000원
        117.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tch of garden thrips, Frankliniella intonsa, on sticky traps was assessed by color and height in commercial plastic vinyl house strawberry crops grown on 40-㎝-high trellises. Yellow, blue and white sticky cards were tested for color attractiveness, and upper (50 ㎝), lower (10 ㎝ above the floor) and ground were for height. At each height, trapped thrips on yellow, blue and whit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lue sticky card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raps on yellow and white. The trapped thrips were also significantly greatest at 50 ㎝ above the floor, less at lower and ground.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opulation of garden thrips on the flower in each tested site.
        4,000원
        11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리병벌과를 이용한 생물학적 환경평가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농업지역 등 충 13개 지역에 대통트랩(nest trap)을 설치한 후 채집된 호리병벌과의 벌류를 분류 동정하고, 채집지의 환경에 따른 서식밀도를 분석하여 환경평가를 위한 유망종을 선발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총 7종이 채집되었으며, 그 중 황슭감탕벌(A. flavomarginatum Smith)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호리병벌과에 속하는 종들의 영소수는 농업지역의 경우 무비무농약재배지에서 12.8개/m로 관행농업지의 7.2개/m에 비해 많았으며, 자연녹지의 경우 녹지지역(자연녹지도: 4.28)의 경우 13.4개/m로 상업지역(자연녹지도: 1.00, 1.2개/m)에 비해 많았다. 또한 영소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종 풍부도 및 다양도 지수는 높게 나타났다. 한편, 농업농촌 생태계 등 자연환경평가 지표중으로 황슭감탕벌, 줄무의감방벌, 먹조롱박벌, 왕가위벌등 4종을 선발하였으며, 이들 종의 출현수 및 총 영소수, 종 다양도 등을 지표로 한 환경등급기준( 등급)을 설정하였다.
        4,000원
        11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계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주가 없는 경상대학교 캠퍼스(경남 진주시)와 기주인 콩이 재배되고 있는 포장에서 가로줄노린재의 발생양상을 비교하였다. 콩포장에서는 개화기 이전(6월 28일)부터 꾸준히 유인되었으며, 10월 11일 이후에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대학 캠퍼스에서는 3월 21일부터 10월 5일까지 전혀 유인되지 않다가 10월 11일 이후부터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가로줄노린재의 암수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밀도로 콩 포장에서 유인된다는 것은 이 해충이 기주인 콩을 찾아 적극적으로 이동한 결과로 생각된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10월 이후에 유인되는 성충은 월동처를 찾아 이동하는 성충으로 판단되었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총 유인된 암수의 수는 차이가 없었다. 가로줄노린재는 콩 포장에서 6월부터 11월 하순까지 트랩에 유인되었기 때문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가로줄노린재의 비휴면성충과 휴면성충 모두에 유인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집합페로몬의 세 성분인 (E)-2-hexenyl (Z)-3-hexenoate, (E)-2-hexenyl (E)-2-hexenoate, 및 myristyl isobutyrate를 16.7+16.7+16.7 mg 또는 7+36+7 mg으로 배합했을 때,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수는 무처리나 생충트랩보다 많았고, 두 배합성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20.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진주의 콩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을 사용하여 난기 생봉인 Ooencyrtus nerarae(Hymenoptera: Encyrtidae)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2003년과 2004년에 대학 캠퍼스에 설치된 트랩에 유살된 암컷의 수는 수컷 유살수의 317.5배와 103.4배이었고, 2004년 콩포장에서는 12.6배이었다. 콩포장에서 O. nezarae의 암컷은 8월 하순부터 유살되기 시작하여 9월 20일 전후에 가장 많이 유살되었다. 2003년과 2004년에 대학 캠퍼스에서는 8월 중하순부터 밀도가 증가하여 9월 상중순에 최성기를 나타내었다. 두 조사지역에서 모두 10월 이후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세 성분, 즉 (E)-2-hexenyl (Z)-3-hexenoate(E2HZ3H)와 (E)-2-hexenyl (E)-2-hexenoate(E2HE2H) 및 myristyl isobutyrate(MI) 중에서 E2HZ3H 만이 O. nerarae에 대해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E2HZ3H:E2HE2H:MI를 7:36:7로 배합한 것보다는 20:20:10이나 16.7:16.7:16.7으로 배합한 트랩에 더 많은 수가 유인되었는데, 이는 배합된 E2HZ3H의 량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