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

        101.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줄기의 모용(毛茸)에 대(對)한 유전현상(遺傳現象)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342, 김장고추, 남지(南旨), Hungarian Wax등(等) 4품종(品種)과 이들을 교잡(交雜)하여 얻은 , 및 에 대(對)해 시험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고추 줄기의 모용(毛茸)이 많은 것이 없는 것에 대(對)하여 우성(優性)이었으며 이 형질(形質)은 단일유전인자(單一遺傳因子)에 의(依)하여 지배(支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102.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육종(育種)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김장고추, 馬山Hungarian wax 그리고 마산(馬山)제주(濟州) 등(等) 3조합(組合)의 친(親), , 그리고 세대(世代)에 대(對)해 적숙(赤熟)된 과실(果實)을 수집(收穫)하여 1생(生) 건과중(乾果重)을 구성(構成)하는 형질(形質)들의 잡종강세(雜種强勢), 유전성분(遺傳成分) 및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平均) Heterosis는 거의 모든 형질(形質)에서 정(正)의 값을 나타내었고 평균(平均) Heterobeltiosis는 김장고추조합(組合)을 제외(除外)하고는 거의 부(負)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근교약세(近交弱勢)도 정(正)의 값을 보여 에서의 무게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질발현(形質發現)에는 각(各) 조합(組合)의 형질(形質)에 따라 중복적(重複的) 혹(或)은 보족적(補足的)으로 상위성(上位性)이 작용(作用)하였으며 에서 과중(果重)과 과육중(果肉重)은 광의(廣義) 및 협의(狹義)의 유전력(遺傳力)이 높았으며 기타형질(其他形質)은 전반적(全般的)으로 낮았다. 각(各) 과중구성요소간(果重構成要素間)의 형질상관(形質相關)은 생(生) 건과중(乾果重)에서 모두 정(正)의 유의(有意)한 상관(相關)을 보였다.
        4,000원
        103.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Colletrichum denzatium f. sp. capsicum)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양원(營養源) 및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져 slide 발아법(發芽法)으로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 분생포자(分生胞子) 발아(發芽)의 온도범위(溫度範圍)는 이고 최적온도(最適溫度)는 , pH 범위(範圍)는 이고 최적(最適) pH 는 5.5 였고 상대습도(相對濕度)는 포화(飽和)에 가까운 90% 이상(以上)의 상대습도(相對濕度)에서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좋았다. 2.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의 포자발아(胞子發芽)는 PSB(potato sucrose broth), RPFD(red pepper fruit broth), GPFB(green pepper furit broth) 및 PLB (pepper leaf broth) 에서는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으나 살균증류수(殺菌蒸溜水)(D.W) 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3. 탄소원(炭素源)과 질소원(窒素源)의 투여(投與)는 발아(發芽)에 절대적(絶對的)인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確認)되었으며 K,P 및 S 등(等)의 무기염류(無機鹽類)는 뚜렷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4. 탄소원(炭素源)이 발아(發芽)에 미치는 효과(效果)에서 단당류(單糖類)인 glucose 와 galactose 에서, 이당류(二糖類)인 lactose 에서 그리고 다당류(多糖類)인 가용성(可溶性) 전분(澱粉)에서 90% 이상(以上)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5. 현탁액(懸濁液)의 분생포자(分生胞子) 밀도(密度)가 일때 가장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고 이상(以上)일 때 발아율(發芽率)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의 포자밀도(胞子密度)에서는 극(極)히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포자밀도(胞子密度)의 증가(增加)가 self-inhibitor 로 작용(作用)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되며 기질(基質)을 제거(除去)한 분생포자(分生胞子)의 발아율(發芽率)은 기질(基質)을 제거(除去)하지 않은 분생포자(分生胞子)의 발아율(發芽率)보다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밀도(密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더욱 현저(顯著)한 발아율(發芽率)의 감소(減少)를 가져왔다.
        4,000원
        104.
        198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육량(果肉量)이 많은 우량(優良) 고추품종(品種) 육종(育種)을 위한 효율적(效率的)인 선발기준(選拔基準)을 마련코자 8개(個) 품종(品種)과 이들을 이면교배(二面交配)하여 얻는 28개(個) 조합(組合)들은 공시(供試)하여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및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등(等) 과육구성형질간(果肉構成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種子重) 및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의 상관정도(相關程度)를 밝히고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을 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친(親)에 있어서 과경(果徑)과 생과육후(生果肉厚), 과육중간(果肉中間), 생과육후(生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유전(遺傳) 및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이 있었다. 2. 에 있어서 과장(果長)은 건과육후(乾果肉厚)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과육중(果肉重)과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과경(果徑)과 과육후(果肉厚) 및 과육중간(果肉重間), 과육후(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3. 과육구성형질(果肉構成形質)에 있어서 과 양친평균간(兩親平均間)에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4.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간(種子重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과육중(果肉重)과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 결과(結果)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가 모두 정(正)의 직접결과(直接結果)를 나타내었고 에서 과장(果長)이 직접효과(直接效果)가 가장 컸다.
        4,000원
        105.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과육중(乾果肉重)(또는 건과육율(乾果肉率)이 상대적(相對的)으로 많은 건과용(乾果用) 고추를 육성(育成)하는데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8개친(個親)과 이면교배(二面交配)한 28조합(組合)을 공시(供試)하여 1건과중(乾果重)에 대(對)한 구성요소(構成要素)의 비율(此率)을 조사(調査)하고 과경중(果梗重), 태좌중(胎座重), 종자중(種子重) 및 과육중(果肉重)의 잡종강세(雜種强勢), 조합능력(組合能力) 및 유전(遺傳) 분석(分析)을 한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친(親)과 에 있어서 1건과중(乾果重)과 구성요소(構成要素)들은 초기과(初期果)가 중기과(中期果)에서 보다 모두 무거웠다. 그리고 초(初), 중기과(中期果)에 있어서 이들은 모두 친간(親間), 간(間)에 1%의 유의(有意)를 나타내었고, 이 친(親)보다 무거웠으나 초기과(初期果)의 친(親)은 중기과(中期果)의 보다 무거웠다. 1건과중(乾果重)에 대(對)한 구성요소(構成要素)들의 비율(比率)은 과육(果肉)이 가장 높고 다음은 종자(種子)였다. 과육율(果肉率)은 초기과(初期果)보다 중기과(中期果)에서 다소(多少) 증가(增加)되었고 종자율(種子率)은 상대적(相對的)으로 감소(減少)되었으며 과경(果梗)과 태좌(胎座)는 수확시기(收穫時期)에 따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무거운 친(親)을 초월(超越)하는 조합(組合)이 상당(相當)히 있었으며 평균(平均)heterosis(%)는 모두 정(正)의 값을 나타내었고 평균(平均)heterosis(%)는 종자(種子)와 1건과중(乾果重) 외(外)는 모두 부식(負植)를 나타내었다. GCA는 SCA는 모두 1%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내었으며 GCA가 SCA보다 컸다. 무거운 쪽이 모두 우성(優性)을 나타내었고 과경(果梗)은 부분우성(部分優性), 태좌(胎座), 과육(果肉) 및 1건과중(乾果重)은 완전우성(完全優性), 종자(種子)는 초우성(超優性)을 타나내었다. 유효유전자수(有效遺傳子數)는 과경(果梗)과 태좌(胎座)는 1개(個), 종자과육(種子果肉) 1건과중(乾果重)은 2개(個)로 추정(推定)되었으며 유전력(遺傳力)은 모두 높았다.
        4,000원
        106.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hosphorus acid (H3PO3) addition to the horticultural bed soil on the initial growth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cv.), cucumber (Cucumis sativus L. cv.), and kimchi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Lour.) Rupr. cv.). The stem heights of red pepper and cucumber were 46.1% and 23.0% greater in the 50 mg/L of phosphorus acid treatment than the untreated (control). Further, the stem diameter of pepper and cucumber were 48.7% and 23.0% greater in the 50 mg/L of phosphorus acid treatment than the control. In addition, the number of kimchi cabbage leaves was 47.5% greater in the 50 mg/L of phosphorus acid treatment than the control. The dry weights of red pepper, cucumber and kimchi cabbage were 72.9%, 16.5%, and 30.4% heavier in the 50 mg/L than the control, respectively. Cations (K, Ca, and Mg) and total phosphorus (T - P)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for these three horticultural crops. The concentrations of K, Ca, and Mg, and T - P were higher in the 50 mg/L of phosphorus acid than the control,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appears that treatment of phosphorus acid in horticultural bed soil enhanced the growth of red pepper, cucumber and Kimchi cabbage.
        107.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ontrol the pepper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antifungal bacterium strains which was selected among bacterium from natural soil, was tes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pathogens and its control efficacy on anthracnose disease in the fields. We confirmed that antagonistic activity of CAB13001 strain to pathogens such as Sclerotinia cepivorum, Sclerotinia sclerotium and Botrytis cinerea including Colletotrichum acutatum was remarkable superior with the dual culture method in the artificial medium. In vitro bioassay using the green pepper fruit, CAB13001 strain suppressed the lesion development of Anthracnose disease, and its control value compared to the untreated one was 82.4% on pepper fruit in field tes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AB13001 strain could be a very useful biological control agents to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air born plant pathogens of pepper. By the way, analysis of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16S rDNA, antagonistic bacterium CAB13001 strain used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as Burkholderia lata.
        108.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Unstable vegetable prices have been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Korean agricultural and food marketing system.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number of policy instruments, including government purchasing programs in order to alleviate fluctuations in vegetable prices. The economic impact of policy instruments has been assessed based on the average monthly price change rate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However, this approach failed to provide a net impact of policy measures on price stabilization in the vegetable markets, as policy impacts could not be successfully distinguished from other effects on price changes in the vegetabl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et impact of the government purchasing program on the price volatility of dried red pepper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major vegetables in Ko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develops a monthly dynamic partial equilibrium model of Korean dried red pepper market. Behavioral equations in the model were estimated by OLS and synthetic method based on the annual and monthly time series data from 1993 to 2015. The model is first simulated to yield actual dried red pepper market conditions in 2015 as a baseline and then compared it to the scenario assuming that there were no government purchases of dried red pepper in 2015. Results - According to the ex-post scenario analysis using the developed model, without the government procurements in 2015, the average monthly price change rate and the value of coefficient of variation of dried red pepper in 2015 would be respectably 7.9 percent and 0.10. I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actual average monthly price change rate and the value of coefficient of variation of dried red pepper in 2015 which were respectively 1.7 percent and 0.06. Conclusions - The ex-post simulation results in this study shows that if there were no government purchases of dried red pepper in 2015, the dried red pepper market would have had much higher volatile price mo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price stabilization policy of vegetable markets in Korea.
        109.
        201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in source of contamination of dried red pepper by assessing microbial loads on red peppers, washing water, washing machines, harvesting containers, and worker gloves that had come in contact with the dried red pepper. To estimate microbial loads, indicator bacteria (total bacteria, coliform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were enumer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s of indicator bacteria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washing red peppers compared with that before washing (p<0.05). Moreover, E. coli and Listeria spp. were recovered from the red peppers after washing and from the ground water used in the washing process. The number of indicator bacteria on red peppers dried in the green house was lower than that on red peppers dried in a dry oven (p<0.05). However,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 and C. perfringens were not detec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disinfection technique may be needed during the washing step in order to prevent potential contamination. In addition, hygienic practices during the drying step using the dry oven, such as establishment of an optimal temperature,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he safety of dried red pepper.
        110.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둑과 고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에서 유기물 투입과 관수 효과를 구명하고 자 무경운 토양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1. 토양 미생물상 1회 전량관수 조건에서 대두박 투입 처리구의 토양 세균과 곰팡이 수는 대두박 무 투입 구에 비하여 많았다. 그리고 유기질비료 투입량이 표준시비량 66%까지 증가되면 세균과 곰팡이 수는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에서는 세균과 곰팡이 수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곰팡 이/세균 비율은 관수 방법과 관계없이 대두박 투입 처리에서 0.6과 1.1로, 무투입 처리의 0.2와 0.5보다 2배 이상 높았다 1회 전량 관수 조건에서 유기질 비료 시비량이 증가되면 대두박을 투입한 처리는 방선균 수는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대두박 무투입에서는 증가되었다. 2회 분할 관수는 1회 전량 관수에 비하여 대두박 무 투입 조건에서 세균과 곰팡이 수가 증가되었으나, 대두박 투입 조건에서는 방선균 수가 증가되었다. 2. 토양 효소 유기질 비료의 시비량이 증가되면 토양 내 Chitinase 활성은 대두박 투입 토양에서 감소 되고, 대두박 무 투입에서는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대두박을 투입에 관계없이 2회 분할 관수는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Chitinase 활성이 증가되었다. 1회 전량관수 조건에서 대두박 투입 처리구의 β-Glucosidase 활성은 무투입에 비하여 높 았으며, 유기질 비료 투입량이 증가되면 표준시비량의 66%까지는 β-Glucosidase 활성이 증 가되었으나, 표준시비량에서는 감소되었다. 대두박 무투입 조건에서 2회 분할관수 토양 내 β-Glucosidase 활성은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1회 전량관수 조건에서 대두박을 투입한 처리의 N-acetyl-β-D-glucosaminidase의 활성은 무투입구에 비하여 높았다. 대두박 투입 처리에서 유기질 비료 투입량이 표준시비량의 66 %까지 증가되면 N-acetyl-β-D-glucosaminidase의 활성은 증가되었으나, 표준시비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두박 무투입 조건에서 2회 분할관수는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N-acetyl-β-D-glucosaminidase의 활성은 증가되었다. 대두박 무투입 조건에서 유기질 비료 시비량이 표준량의 66% 수준에서는 토양 내 산성인 산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의 활성 높았다. 대두박 투입 조건에서는 유기질 비료 시비 량이 증가되면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의 활성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3. 토양 AMF 대두박 무투입 조건에서 유기질 비료의 투입량이 표준시비량의 66%까지 증가되면 토양 의 내생균근균의(AMF) 포자수는 증가되었으나, 유기질 비료 투입량이 표준시비량에서는 근균의 포자수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대두박 투입에서 근균의 포자수는 유기질 비료 투입 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내생 근균의 고추 뿌리에 정착률은 대두박 투 입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2회 분할 관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111.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interests in the consumption of red pepper (Capsicum annum L.) is, to a large extent due to its content of bioactive compounds and their importance as dietary antioxidants and Red pepper is commonly used as food material and a broad variety of medicinal application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red pepper. Methods and Results : This present study was evaluated the effect of red pepper ethanol and distilled water extracts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evaluated by the assay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long with the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he ethanol and the water extracts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by the testing methods. Total phenol content was high in ethanol extract, whereas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 in water extract. The red pepper extract exhibited high scavenging activity against DPPH radicals and showed high reducing power. In vitro cytotoxic assay, red pepper extract showed noncytotoxic effect in the RAW 264.7 cells with or without LPS. The level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duced by LP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0.25 ㎍/ ㎖ – 1.0 ㎎/㎖). Proinfllamatory cytokine level including TNF-ɑ and IL-6 decresed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by treating red pepper extracts.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anol and distilled water extracts of red pepper can be used as an anti-proliferative therapeutic agent or functional food.
        112.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건고추의 품질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열풍 건조한 고추와 소비자가 선호하는 태양 건조한 고추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비교를 하였다. 열풍건조한 고추와 태양 건조 고추의 건물량으로 환산한 캡사이신노이드 함량의 경우 열풍건조 시료는 10.85~126.39 mg%, 태양 건조 시료는 0.43~164.09 mg%로 넓은 범위의 분포도를 나타내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10.82~20.77%, 9.26~23.10%로 건조 방법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ASTA 값과 비타민 C 함량의 경우, 열풍건조 시료는 49.12~154.69, 0.0~1,010 mg%, 태양건조 시료는 70.08~182.13, 620~1,050 mg%로 태양건조 시료가 열풍건조 시료보다 높은 범위의 값을 보였다. 총균수와 효모의 경우, 열풍건조 시료군은 2.01~6.67 log CFU/g, 1.03~4.12 log CFU/g이었고, 태양 건조 시료군은 1.74~5.77 log CFU/g, 1.05~6.10 log CFU/g이었다. 또 병원성 미생물인 Clostridium perfringens와 Bacillus cereus도 건조 방법에 상관없이 검출되었다. 한편 이들 품질 특성들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제1요인은 38.47%, 제2요인은 18.31%였고, 총 설명력은 56.78%였다. PC1은 비타민 C, ASTA값, 색도와 관련이 있었고, PC 2는 수분함량, 미생물 수, 건조 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고춧가루의 건조방법에 따른 품질 차이와 미생물의 오염도가 확인되었고, 소비자가 원하는 고추 품질 지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3.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s of abnormal climate on total revenue of red pepper in Korea, with employing the equilibrium displacement model.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e rate of yield change, price change, and total revenue change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In th case of by RCP 8.5 Scenario, red pepper production volume would be expected to decrease by 77.2% compared to 2012 while price increasing by 29.6%. As a result, total revenue to be returned to farmers would be reduced by 47.6% than it was in 2012. In contrast, total revenue would be expected to decline by 29.6% according to RCP 4.5 scenario.
        11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관행포장과 유기포장에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와 생물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기간 중 채집된 절지동물은 관행포장에서 6,901개체였으며 유기포장에서는 21,871개체로 총 28,718개체였으며 10목 24과 36종으로 동정되었으며 농법별 절지동물 군집을 구성하는 종수는 관행농과 유기농 모두 32종으로 같았고 관행포장에서는 파리목, 유기농에서는 벌목과 톡토기목의 종지수가 높았다. 대만총채벌레(F. intonsa)는 농법에 관계없이 발생밀도가 현저히 높았고 관행포장에서 우점종은 담배나방(H. assulta)이었고 유기포장에서는 줄무늬빗톡토기(H. mediaseta), 파리류 4(Diptera sp. 4) 및 별늑대거미(P. astrigera)였다. 절지동물 군집의 생물다양성은 지표면에서 종다양성이 관행포장에서 유기포장보다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농법간 절지동물의 군집의 유사성은 지표면 및 지상부 식물체에서 활동하는 절지동물 군집은 대체로 농법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그 유사도는 각각 34.07%와 26.95%로 비교적 낮아 농법간 이질성이 있었다. 생태학적 기능군의 종지수는 지상부 식물체에서 일반군, 해충군 및 천적군 중 기생포식자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해충군과 기생포식자군 모두 유기포장에서 높았다. 발생밀도는 지표면에서 천적군 중 포식자군이 유기포장에서 관행포장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고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종다양성은 지상부 식물체에서 일반군과 천적군 중 기생포식자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개별 생태학적 기능군의 농법별 상대적 발생밀도 변동에서 관행포장에서는 해충군의 점유도가 높았고 유기농에서는 분해자군의 점유도가 현저히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유기농업에서 효율적인 해충관리방안을 구축하는데 있어 유용한 절지동물 군집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115.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uit quality traits like heat, color and flavor are unique and important for pepper cuisines and industrial use. Pepper pigments include chlorophyll, carotenoids, anthocyanin and red pigments like capsanthin are unique carotenoids to capsicum spp. So developing carotenoids-rich peppers and use of red pigments extraction along with capsaicinoids are one of interest pepper breeding goals in the world. Horticultural traits of 113 germplasms introduced by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earch with YASS of China were evaluated to select promissing materials for high quality peppers during the past 3 years. All of germplasms including 60 local peppers were belong to C. annuum and fruit characteristics were diverse. Especially fruit chemical compositions like ASTA color, capsaicinoids and sugars were evaluated compared with korean commercial peppers. Average contents of ASTA color was 98±37, 55±63mg in capsaicinoids and 12±6% in total sugars. ASTA color which generally means red pigments content was over 120 in 25 germplasms including over 200 in 2 germplasms. Higher ASTA colors were observed in different fruit types. Capsaicinoids content was over 90mg/100g in 24 germplasms including 5 germpalsms over 200mg. Especially higher capsaicinoids were higher in local peppers with round and wrinkled fruit shape. And total sugar content was over 20% in 10 germplasms. Germplasms of different fruit shapes and characteristics will be useful materials for diverse fruit quality breeding.
        11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nalyz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red pepper yield in Korea, with employing a panel data regression model. Our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gative impacts of high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mount on red pepper yields. Especially high temperature and rainfall in July cause serious damage to red pepper yield. According to the reduction schedule on greenhouse gas emission(RCP 8.5 scenario.), red pepper yield would be 25.4% lower than it is, for reasons of high temperature and rainfall damages by the end of 21st century.
        11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garding carotenoids content, the genetic basis, heritability and combining ability in six red pepper inbred lines were investigated using full diallel crosses. Both additive and non-additive gene actions govern inheritance of carotenoids content. The mean square of array through variance and covariance analysis (Wr-Vr) was insignificant, which suggest that inbred lines involved in diallel cross may have no epistatic effects. The Vr/Wr graph revealed the influence of partial dominant gene action towards low carotenoids content and the absence of non-allelic interaction. The H2 component was smaller than the H1 and the [H2/4H1] component was 0.187 less than 0.25, indicating unequal propor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lleles in the parents. The estimates of broad and narrow sense heritability for carotenoids content were 0.956 and 0.832, respectively. The variance of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which implied that the additive gene effects were predominant as compared to both dominant and epistatic effects for the accumulation of carotenoids in this genetic population. The values of GCA of ‘62024L1’ and ‘62067L2’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parents. These 2 inbred lines, therefore, can be considered as useful breeding materials to enhance fruit carotenoids content in other red pepper varieties.
        11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mount of genetic variability of a species is essential for its survival and adaptation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studies of genetic diversity using molecular marker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enetic structure of a population and to orientate effective strategies of germplasm conservation. The aim of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SSR markers that can be used rapidly and reliably to evaluated the pepper of Bulgaria landraces, and applied the markers to assement of introduce genetic diversity of the pepper germplasm. We used 22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to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within 61 pepper collection of Bulgaria landraces germplasm, all SSR primers pairs produced 80 polymorphic and reproducible amplification fragments. An average value of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s (PIC) were 0.334 with a range of 0.061 to 0.63. The mean values of observed (HO) and expected heterozygosity (HE) were 0.383 and 0.154, respectively, indicating a considerable amount of polymorphism within this collection. A genetic distance-based phylogeny grouped into three distinct groups, which was the landrace, moderate and wilde type, genetic distance (GD) value was 0.540. An average day of flowering time was 53 days with a range of 45 to 60 days. The everage od fruit length and width were 9.38cm with a range 2.1 to 23.6cm, and 3.51cm with a range 0.6 to 8.9cm, respectively. Molecular data were complemented with morphological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descriptor list for the pepper collection of Bulgaria landraces germplasm.
        11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ur seed vetch (Vicia tetrasperma), a biennial native leguminous plant, was used for a cover crop with different quantity of sowed seeds. Weed suppression and yield were evaluated for the red pepper cultivation in the following year of the vetch seeding. Seeding of 1.0, 2.0, 3.0, 4.5, and 6.0 kg 10 a suppressed weed occurrences until late in the growing season of the red pepper. Consequently, red pepper in the cover cropping system with seeding of 3.0, 4.5, and 6.0 kg 10 a- I had a similar yield to the conventional red pepper. The ideal seed rate in four seed vetch was 3.0 and 4.5 kg 10 a ’ in terms of reducing weed occurrence as well as increasing growth and yield in red pepper.
        12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seawater on growth of fettuce(Lactuca sativa L.), leaf perilla(perilI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red pepper(Capsicum annuum L.) and cucumber(Cucumis sativus L.) seedlings were investigated in the glass greenhouse. These effects were studied on seedlings, and diluted seawater (1%, 5%, 10%, 20%, 50%, 100% v/v) was sprayed enough on feaves. The tested four vegetable crops have well grown up to 10% diluted seawater, but the tested vegetable crops were damaged from increasing salt levels. Of these, lettuce was provided salt-tolerant vegetable crop and red pepper was considered salt-sensitive vegetable crop. The salt tolerance of vegetable crops is different between crops and complicated because of additional detrimental effects caused by accumulated ions or specific ion toxicities in their leaves. These results show that agricultural use of seawater may be benefit crop cultivation in organic farming system as well as in conventional farming system.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