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

        121.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amines, salt strength. sucrose and gelling agents on the regeneration of plantlets by meristem culture of Aloe arborescens Mill. and Aloe vera L.. Shoot multiplication was more effective when 10mg/ l spermine in Aloe arborescens and 1mg/ l spermidine in Aloe vera added into MS medium than when other polyamines were treated into media. A quarter strength of MS medium was effective for rooting of shoots regenerated. Higher concentration of sucrose (45g/ l) was more effective for shoot regeneration. Addition of 4g/ l gelrite into the medium was effective for induction of multiple shoots from Aloe than that of agar or other concentrations of gelrite. When plantlets regenerated from meristem culture were transferred to pot. survival rate of plantlets was 80% on perlite and was 95% on vermiculite. respectively.
        122.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배양을 통해 유도된 벼의 품종 Zhonghua 8의 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를 유기한 캘러스로부터 현탁배양을 실시하였다. 원형질체 분리 는 이러한 현탁배양된 캘러스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오래되고 미세한 현탁배양세포를 사용했을 때 어린 현탁배양세포보다 원형질체 나출율이 증가되었다. 원형질체는 feeder cell 없이 agarose embedding 방법에 의해 0.5 mg l01 2,4-D, 1.0mg l1 NAA와 0.5 mg l1zeatin이 첨가된 KPR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세포분열이 일어났으며 microcalli가 형성되었다. 원형질체의 plating 효율은 0.20~0.54% 범위로 나타났으며, 원형질체로부터 유도된 microcalli는 식물체 재분화를 위해 2.0 mg l1 kinetin과 0.5 mg l1 NAA가 첨가된 MS 배지에 옮겨 주었다 실물체 재분화 빈도는 현탁배양의 line에 따라 2~l2%였다. 원형질체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들은 온실에서 종자를 맺었다었다
        123.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시오갈피의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증식방법체계 확립의 한 방법으로 미숙배 배성숙정도 및 배지의 종류가 callus 형성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숙배배양으로부터 캘러스형성은 MS, WPM 배지보다 SH 배지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SH 배지에 2,4-D 1mgl를 첨가시 83.3%의 캘러스형성율을 보였다. SH배지에 TDZ을 단독처리하였을 때 보다 양호한 신초 분화를 나타났고 배의 성숙정도가 C단계 (2mm이상)인 미숙배를 치상하였을 때가 미숙배의 크기가 2mm 이하인 A, B단계의 미숙배를 치상하였을 때보다 식물체 분하가 더 잘되었다. 2. SH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2,4-D와 TDZ을 조합처리하였을 때 배의 성숙정도가 C(2mm이상)인 배를 2,4-D 0.1mg/l+TDZ 3mg/l 처리시 양호한 신초 분화를 보였다. 3. WPM 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2,4-D와 TDZ을 처리하였을 때 배의 성숙정도가 C(2mm이상)인 배를 TDZ 0.1mg/l 처리시 4.7개의 신초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124.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명일엽(明日葉)의 부위별 캘러스 유도율을 조사하였고, 배발성(胚發生)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율을 높이고자 에틸렌 작용억제제(作用抑制劑)를 처리한 후, 신초(新梢)의 발생정도 및 소식물체의 길이와 무게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 4-D의 농도를 달리한 MS배지에 명일엽(明日葉)의 소엽(小葉), 소엽병(小葉柄) 및 엽병(葉柄) 절편(切片)을 배양하였을 때 캘러스 유도는 소엽(小葉)에서 잘 되었으며 2, 4-D의 농도는 2.0 ppm에서 제일 좋았다. 2. 배발성(胚發生) 캘러스로부터 신초의 발생정도와 재분화(再分化)된 소식물체(小植物體)의 신초(新梢) 신장(伸長)에는 AgNO3는 2 ppm, CoCl2·6H2O는 10ppm 첨가가 제일 효과적이었으며, AgNO3나 CoCl2·6H2O를 2, 4-D 1 ppm과 혼용처리하면 신초의 발생정도와 신장은 억제되었다. 3. 재분화된 소식물체(小植物體)의 뿌리 신장(伸長)에는 AgNO3는 1 ppm, CoCl2·6H2O는 5 ppm 첨가가 제일 효과적이었는데, AgNO3나 CoCl2·6H2O를 2, 4-D 1 ppm과 혼용처리 하면 뿌리의 발생은 없었다. 4. 재분화된 소식물체(小植物體)의 생체중은 AgNO3나 CoCl2·6H2O를 단용처리한 경우 각각 2 rpm에서, 2, 4-D 1 ppmr과 혼용처리한 경우 AgNO3는 1 ppm 과 CoCl2·6H2O는 2 ppm에서 제일 무거웠다.
        125.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시오갈피의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증식방법체계 확립의 방법으로 기내배양에서의 캘러스형성 및 식물체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와 식물생장 조절물질 및 농도의 최적조건을 구명코자 실시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여러 가지 식물생장 조절물질(2, 4-D, TDZ, IAA, NAA, BAP) 을 단독 처리할 때 2, 4-D 2mg/l 에서 callus 형성율이 45.5%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shoot의 분화는 TDZ 처리시 양호하였으며 간헐적으로 multiple shoot와 root분화가 생겼다. 2.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을 2, 4-D와 TDZ의 조합처리시 callus 형성율은 2, 4-D 2mg/ l +TDZ 0.7mg/ l 일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shoot의 분화는 2, 4-D의 농도가 낮고 TDZ의 농도가 높은 2, 4-D 0.1mg/ l +TDZ 0.7mg/ l 에서 양호하였다. 3. 배지조성에 따른 callus 형성은 B5, MSB5 배지 모두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실시한 실험과 마찬가지로 2, 4-D 2mg/ l +TDZ 0.7mg/ l 에서 양호하였으며, B5배지에서 2, 4-D 2mg/ l +TDZ 0.7mg/ l 처리시 100%의 callus형성율을 나타냈다. Shoot의 분화는 auxin류인 2, 4-D보다 cytokinin류인 TDZ처리시 양호하였고 조합처리 또한 2, 4-D의 농도가 낮은 2, 4-D 0,1mg/ l 일때 shoot분화가 형성되었으며 MSB5 배지에서 양호한 shoot의 분화가 형성되었다.
        127.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정세기 이상의 자력을 통과한 물(자화수)을 이용하여 벼 callus 유기 및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높이고자 팔공벼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callus 유기효율은 자화수 처리한 도체, 액체배지에서 공히 이온수 처리보다 상대적으로 각각 30%, 16% 높았으며 절대빈도에서도 고체, 액체배지 각각 27.3%, 15.4%를 나타내어 일반적인 증류수 이용배지보다 대체로 높은 경향이었다 2. 식물체 재분화 효율에서도 자화수 처리한 고체배지에서 44.7%로 이온수 처리의 39.3%보다 5.4%높았으나, 액체배지의 경우 오히려 이온수의 재분화율이 다소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재분화된 식물체의 초기생육을 조사한 결과 자화수 처리가 이온수 처리보다 3일 후 50%, 7일 후 36%의 신장효과가 있었다. 4. 배지내 용존산소량을 측정한 결과, 자화수처리 배지에서 배양전 5.64ppm으로 이온수처리 배지보다 용존산소량이 18.9% 높았으나 배양 4 주후에는 자화수 및 이온수 처리 배지 각각 4.55ppm, 4.45ppm으로 비슷하였다. 5. 배지의 온도별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자화수 처리 배지의 pH가 이온수처리 pH보다 0.10~0.30정도 높았다. 6. 따라서 벼 ⇒allus 유기 및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높이는데 700 Gauss의 자력을 통과한 물(자화수)의 처리가 이온수 처리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앞으로 좀더 정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31.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식물(藥用植物)로써 이용 가능성 큰 어성초(魚腥草)의 이차(二次) 대사산물(代謝産物)의 생산에 기초가 되는 조직배양체계(組織培養體系)를 확립하고자 어성초(魚腥草)의 절간(節間), 절(節) 및 엽(葉)의 절편체(切片體)를 이용(利用)하여 캘러스를 형성(形成)시키고, 형성(形成)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를 시도하였다. 1. Embryogenic 캘러스 형성(形成)은 모든 절편체(切片體)에서 2, 4-D 1 mg/L와 kinetin 0. 5 mg/L을 첨가(添加)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2. 절간(節間)에서의 캘러스 형성(形成)이 엽(葉)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3. 어성초(魚腥草)의 절간(節間)으로부터 embryogenic 캘러스 형성(形成)은 ½ MS 배지(培地)가 효과적이었다. 4. 배지내(培地內)에 1%의 활성탄(活性炭)을 첨가(添加)하였을 경우 캘러스를 형성(形成)시키지 않고 배양(培養)된 절(節)로 부터 직접 식물체(植物體)가 분화(分化)되었다. 5. Embryogenic 캘러스로부터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는 0. 2 mg/L NAA와 1 mg/L BA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가 다른 조합(組合)의 배지(培地)보다 분화율(分化率)이 높았다.
        132.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활(羌活)(Angelic koreana Max.)의 캘러스 배양(培養)과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에 필요한 배양(培養) 조건(條件)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유엽(幼葉) 및 미숙화(未熟花)의 화경(花梗) 배양(培養)에 미치는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sucrose 및 배지(培地) 응고제(凝固劑) 등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 생장은 1 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왕성하여, 생체중(生體重) 및 건물중(乾物重)이 가장 높았다. 2. 캘러스 생장을 위한 적정 sucrose농도는 2% 였으며, sucr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캘러스 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3. 배지(培地) 응고제(凝固劑)에 따른 캘러스 생장은 1.2% agar, 0.4% Gelrite에서 생체중(生體重) 및 건물중(乾物重)이 가장 높았다. 4. 배지내 10mg/l ABA와 5~10mg/l AgNO3 첨가는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의 갈변화(褐變化)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무처리(無處理)보다 캘러스 활력도 높았다. 5. 미숙(未熟) 화(花)의 화경(花梗) 배양(培養)에서 캘러스 형성율은 NAA보다 2,4-D가 효과적이었으며, 2mg/l 2,4-D를 첨가한 배지에서 81.7%로 가장 높았고, 캘러스 생장도 왕성하였다. 6.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로부터는 식물체(植物體)가 재분화(再分化)되지 않았으나, 미숙(未熟) 화(花)의 화경(花梗) 유래(由來) 캘러스는 0.5 mg/l 2,4-D, 1 mg/l kinetin, 5 mg/l ABA와 5 mg/l AgNO3 첨가배지에서 체세포(體細胞) 배(胚)가 형성되었으며, 이들 체세포(體細胞) 배(胚)로부터 식물체(植物體)가 발생(發生)되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