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7

        12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신/구 구조체의 접합에 사용되는 부착식 후시공 앵커에 대한 시공성 및 인장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동주택의 기초판에서 부착식 후시공 앵커에 대한 인발실험을 수행하였다. 후시공 앵커는 리모델링 설계에 주로 사용되는 SD500 이형철근으로 3종류의 직경과 매입깊이를 변수로 직접 인발성능을 검증하였다. 부착식 후시공 앵커의 현장 인발실험결과, 모든 철근직경에서 현행 기준에서 제시하는 부착식 앵커의 설계 묻힘깊이 이하에서 철근 인장파괴가 발생하였다.
        12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have been arguments in terms of defects liability for apartment building, and one of the arguments is that crack width less than 0.3mm which is appeared in the concrete structures should be defined as defects without application of allowable crack width under Construction Specification. Another argument states that the crack width less than 0.3mm appeared in concrete structures is not defec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pecifi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concrete crack appeared in apartment building with the comparison of allowable crack width in terms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Moreover, regarding defects in apartment building, this study analyzes legal problems which are found in the comparison of defects liability clause stipulated in the related regulations, and also analyzes all together the foreign regulations on defect liability and defect repair costs in the previous appraisal reports.
        12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경우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안전점검과 진단은 2-6년 주기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2016년 이후의 안전점검 및 진단 용역의 적법 수행여부에 대한 정부합동점검결과, 공동주택의 부실수행 비율이 매우 높다. 이는 공동주택의 경우 법정 대가기준 대비 평균 1-10% 수준에서 용역이 낙찰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안전전검 및 진단에 대한 결과조사를 바탕으로 업체형태, 협약방식 별로 협약대가, 조사 및 시험의 충실성 등 현황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년도, 규모, 지역 등 다양한 변수 분포를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공동주택의 안전점검 및 진단의 부실 현황을 분석하였다.
        12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경우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안전점검과 진단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부실수행의 비율이 매우 높다. 현재 국내 공동주택 안전점검-진단 세부지침 및 해설서는 시설물 일반 그리고 건축물 일반과 표본층수 산정 방법과 재료시험 수행개수 등이 동일하다. 그러나 공동주택은 일반 건축물과 달리 생애주기 동안에 용도변경이 거의 없으며 하중의 편차가 크지 않는 특성이 있다. 특히 지상 또는 지하주차장의 면적이 넓고 형태가 다양하며, 건설년도에 따라서 지하주차장 시스템이 달라지고 있다. 한편 공동주택은 벽식구조와 골조식 구조로의 전이부가 있거나, 콘크리트의 강도가 건축물 상하부에서 달라 지는 등 여러 가지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주요 특징을 고려하여 공동주택 안전점검 및 진단의 수행방법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125.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된 공동주택 수직 증축 리모델링 시 면진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 및 면진시스템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수직 증축 시 수직 층수와 면진주기에 따른 최적 면진주기를 산정하였다. 해석결과, 3개층 수직 증축 시에는 면진주기를 비면진 건물 주기의 2배 이상, 2개층 수직 증축 시에는 비면진 건물 주기의 3배 이상을 확보하여야만 충분한 면진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개층 수직 증축 시에는 비면진 건물 주기의 4배 이상을 확보하여야만 면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활용하여 3개층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 공동주택에 면진시스템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최상층 최대응답가속도가 비면진 건물의 최대응답가속도 보다 X방향의 경우에는 약 70%로, Y방향의 경우에는 약 65%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밑면 전단력의 경우, 비면진 건물과 비교하여 X방향 및 Y방향 모두 약 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6.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공동주택단지는 주거환경 수준의 향상과 주거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이웃 간의 교류, 여가생활 증대,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인해 변화되고 있다. 주거환경의 변화로 외부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은 공동주택의 주거형태 특성상 이웃과의 교제가 부족한 환경과 단위주호 내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 증진과 공동체 의식 함양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최근 완공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외부공간을 운동시설, 휴게시설, 놀이시설, 조경시설, 위생시설로 구 분하여 사례조사 하였으며 주민들의 커뮤니티시설로서 공간계획특성 및 디자인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운동시설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시설이 계획되어있는 반면 놀이시설이나 휴게시설은 단지별 차이가 없이 획일적인 형태로 계획되어 있어 거주자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각 기능별 시설이 독립적으로 배치된 경우가 많아 복합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거주자들의 교류를 도모할 수 있는 배치계획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서로 연계성 있게 계획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웃과의 활발한 소통을 위한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의 계획시 디자인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12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건물의 내진 및 내풍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쇠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감쇠장치 중 저렴한 비용과 높은 에너지소산능력을 발휘하며, 설치와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강재이력형 감쇠장치를 이용한 수동형 감쇠구조시스템이 널리 사용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라멘구조 또는 무량판 구조에 적합한 계단 설치형 카고메 감쇠시스템(SKDS)을 제안하고자 하며, 제안된 감쇠시스템의 지진응답 개선효과에 대하여 해석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비선형 동적해석결과 최대응답변위, 최대응답가속도 및 밑면전단력 감소로 살펴볼 때 내진구조와 비교하여 더 향상된 거동이 기대된다는 점에서 SKDS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128.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택법에 근거하여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시 최대 3개층의 수직증축 및 기존 세대수의 15%까지 증축이 가능하게 되 었다. 수직증축 리모델링 가능 여부는 안전진단 기준 및 매뉴얼을 바탕으로 기울기 및 침하, 내하력, 내구성 평가 부문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평가하고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현행 증축형 리모델링 안전진단 기준 및 매뉴얼은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과 비교하여 조사대상표본 수를 증대시키는 등 보수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특히 내구성 평가 부문에 검토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 공동주택의 증축형 리모델링 안전진단 조사 사례에 대한 내구성 조사 항목 중 콘크리트 탄산화를 대상으로 통계적인 수법에 의해 표본 수 합리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12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 the recent decades, apartment in Korea have experienced performance degradation. To solve this problem, Long-term repair program has been going on. However that program is applying deterministic model. The repair program using the existing deterministic model can no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various case, and the number of repairs other than the plan i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try probabilistic models using Monte-carlo simulation those based on reliability and risk, instead of deterministic those just considering mean value. Probabilistic model of repair cycle will be base of efficient and correct maintenance plan.
        130.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ght is very important for plant growth and a major limiting factor in indoor plant cultivation, such as in balco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ight intensity and lettuce (Latuca sativa L.) growth in an apartment balcony affected by the direction of balcony.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east-, south-, or west-facing balcony were measured for a year. The lettuce was grown in the east-, south-, or west-facing balcony. The time and amount of light entering into the balcony diffe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balcony window. Whereas light entered into the east-facing balcony from sunrise to noon, it entered into the west-facing balcony afternoon before sunse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lcony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balcony window. Daily Light Integral (DLI) in the south-facing balcony was 20~50% of outdoor and DLI in east- or west-facing balconies was 10~20%. Als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alconies were affected seasonally. In the spring (from March to May), the DLI was around 10 mol・m-2・day-1 and the average temperature was around 25°C. But the DLI was below 10 mol・m-2・day-1 and the averag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around 30°C and over 60%, respectively, in the summer (from June to August). In the balcony, the averag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round 10°C even in winter, which is a condition of freezing outdoor. Growth of the lettuce in the south-facing balcony was better than that of the other directions. This is attributed to bette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outh-facing balcony. Therefore,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alcony, selection and management of crops with relatively low light demand like leafy vegetables are required. It is also recommended to cultivate crops from autumn to spring.
        131.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ill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code and program analysis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wind loads design criteria and the results of the wind loading program modeling analysis, and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models through analysis results and interpretations of the program.
        132.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uctural optimization method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floor and the amounts of reinforcement in the apartment building and the amounts of reinforcement depending on the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arison of the comparison factors by comparing the comparison factors of the jointly constructed apartment house with each of the conditions.
        133.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heating curing on apartment construction in clod weather frame construction.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a temperature sensor in winter and in non-winter season, the temperayure difference in the winter concrete temperature history was more than 10 degrees.
        13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공동주택은 편리한 교통이나 우수한 교육여건보다 풍부한 녹지와 주변 자연경관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교목, 관목, 초본이 다양하게 혼식되어 풍부한 생태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 건물에 의한 공간별 일조환경의 정확한 예측이 요 구된다. 본 연구는 다층구조식재를 위해 관목과 초본의 일조에 영향을 미치는 건물과 교목류 하부의 일조환경을 예측하기 위해 수종별 광 소멸계수를 도출하였다. 공동주택에 식재되는 대표적인 18종의 교목을 대상으로 180도 화각을 가진 어안렌즈로 측정한 영상자료를 Hemisf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식물의 엽면적 지수를 산출한 후 Goudriaan의 방정식으로 수종별 광소멸 계수를 산정하였다. 엽면적 지수 증가에 따른 광소멸계수는 꽃사과, 대왕참나무, 고로쇠나무가 유사한 패턴으로 가장 급격하게 감소하여 일사의 차이가 가장 큰 수종 그룹 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원 설계 및 유지관리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공동주택 일조환경 분석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135.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식물류폐기물은 배출, 수거 및 처리단계에서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배출 및 수거 단계에서는 보관용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해충 등 위생상의 문제점, 처리 단계에서는 음식폐기물 재활용 산물의 낮은 품질로 인한 유통상의 문제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서울연구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가정 생활폐기물을 배출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음식폐기물의 배출(50.7%)이라고 응답하였고 주방용오물분쇄기(이하 디스포저) 사용이 허용된다면 사용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매우 높았다(82.8%).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디스포저 도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9년과 2010년 및 2015년에 배수전처리, 정화조병합, 고액분리 등 총 3가지의 전처리시스템에 대한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항목에는 음식폐기물발생원단위, 디스포저 오수 발생량 및 오염부하량, 디스포저 사용 전후 오수의 성상 변화, 및 주민설문조사 등이 포함되었다. 시범사업의 모니터링 결과, 음식물류폐기물 발생원단위는 0.12~0.15kg/cap・dayfh 측정되었는데, 이는 환경부 통계 자료의 30~50% 수준이었다. 주방오수발생량원단위는 29.9L/cap・day, 분쇄오수발생량원단위는 4.1L/cap・day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국토교통성에서 제시한 자료(30L/cap・day, 5L/cap・day)와 거의 일치하였다. 디스포저 사용 후 배수전처리시설과 정화조병합처리시설 및 고형물회수시설 후단에서 측정된 각각의 BOD는 20.9, 67.8 및 129.0mg/L, SS는 63.7, 47.5 및 63.0mg/L, n-Hexane 추출물질은 18.8, 27.5 및 54.0mg/L를 나타내었다. 시범사업을 통해 전처리시설을 설치하고 디스포저를 사용하는 경우에 공공하수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용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현재 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디스포저 사용이 허용될 경우 90% 이상의 주민이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조사되었다.
        136.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ssue that the criteria for the general image scale used in outdoor color planning are vague and the vocabulary and expressive area of the scale are not accurate. As an exterior color planning guideline, it is required to suggest a sensible image scale, which is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for outdoor environment. We identified psychological attributes of colors and set the color image scale axis as “Soft–Hard” in a vertical and “Warm–Cool” in a horizontal. 26 sensibility languag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image scale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analysis, and expert evaluation. All types of colors extracted from analyzing over 600 photo imag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26 sensibility languages. 3 colors by each sensibility language were finally selected and arranged in the color image scale in accord with the outdoor environment of the apartment hou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wide range of color position in the color image scale c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guideline for actual color planning by upgrading the existing color image scale to a higher level with the color reflecting sensibility language.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the development of diversified color palette is required especially for the exterior color planning of apartment houses, and the systematical color design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or environment.
        137.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aste discharge in apartment houses with less than 200 households. Implementation of the meter-rate system of food waste for apartment houses was also investigated and an economic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for the monthly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amount of food waste in apartment houses with less than 200 households, December and January exhibited the maximum amount while February and March exhibited the minimum amount of discharge. The average amount of waste discharge per household was the lowest at 0.51 kg/day · household in apartment houses with 20 to 50 households, followed by 0.80 kg/day · household in apartment houses with less than 20 households and in apartment houses with 50 to 100 households. Apartment houses with 100 to less than 200 households had 0.71 kg/day · household of average waste dischar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food waste discharge is dependent upon the economic conditions or environment of the regions concerned rather than upon the number of households. Second, two meter-rate systems of food waste were compared: the RFID system and the Chip system.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the number of households in apartment houses in which meter-rate system was being implemented, the average reduction rate in the Chip system was 21.1% and that in the RFID system was 57.1%. A comparison of apartment houses under the meter-rate system and of apartment houses with less than 200 households with apartment houses with less than 20 households, 20 to 50 households, 50 to 100 households, and 100 to less than 200 households showed that the average reduction rates of the Chip system and the RFID system was 35.3% and 61.9%, respectively. Last,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field study and the rate of food waste reduction in regions where the meter-rate system was being implemented showed that the average reduction was 35.3% for the Chip system and 61.9% for the RFID system, with a difference in reduction of about 35.5%. In the case that the RFID system is adopted, the disposal cost of about 62.7 billion won per year would be reduced by about 19.4 billion won, which leads to a prediction of a reduction in disposal cost to about 43.3 billion won per year.
        138.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구의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선진외국에 비해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의 특성이기도 하다. 특히 1960년대 도시 산업화에 따른 도시집중화 이래 도시 이주자의 대다수가 나이가 들고 은퇴를 한 후에도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없이 도시에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도심거주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시설에 거주하는 것보다는 현재 의 주택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는 aging in place에 대한 선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심 아파트에 도입 된 커뮤니티 공간의 물리적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아파트 거주 노인들의 변화하는 요구인 aging in place를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고령친화적 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서울 지역 내 노인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2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4년 이후 입주 아파트 단지를 선정하여 고령친화적 아파트 단지 커뮤니티 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고령친화성 정 도가 가장 좋은 항목은 신체적 측면 중에서 건강증진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구분 없이 비교적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건강관리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은 전무하였는데 향후 노인들의 도심 아파트 내 aging in place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가건강관리실과 같은 시설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의 심리적 측면 중 자연접촉 과 심신휴식의 니즈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의 고령친화성 정도가 양호하였다. 하지만 시설이 대부분 외부에 위치 했는데 노인들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므로 겨울 등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자연을 접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실내휴 게공간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 설치는 전무했다. 특히 교양교육과 취미 여가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전문성이 낮았다.
        13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광고 표현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부산지역에서 구독률 상 위권의 신문을 대상으로, 아파트 분양광고의 광고소구 방식 및 헤드라인 유형을 분석하였다. 브랜드(전국기반 브랜드, 지역 기반 브랜드)에 따라 광고소구 방식(이성적 소구, 감성적 소구)과 오토 클리프너(Kleppner Otto)가 제시한 네 가지 분류법 (뉴스형, 약속형, 호기심 자극형, 선택형)으로 헤드라인 유형을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광고가 이성적 소 구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라인 유형은 약속형과 선택형에 비해 뉴스형과 호기심 자극형의 이용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뉴스형이 가장 많이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두 브랜드 모두 에서 이성적 소구 방식의 사용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라인 유형은 뉴스형과 호기심 자극형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기반 브랜드에서는 뉴스형의 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지역기반 브랜드에서는 이용 빈도수는 적으나 나머지 유형의 헤드라인들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표현 전략의 차이가 브랜드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 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광고 실무자와 아파트 건설기업들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140.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지진응답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설치형 카고메 감쇠시스템의 유효성을 비선형 동적 해석 결과를 통해 나타내었다. 이 전의 연구에 의해 제안된 카고메 감쇠시스템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등방성, 이선형 이력특성 및 설치구성이 새롭게 제안하였다. 또한, 외부접합형 카고메 감쇠시스템의 여러 가지 효과를 15층 및 20층 철근콘크리트 라멘조 아파트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원구조물에 대한 감쇠장 치 지지구조물의 강성비, 감쇠장치의 수량 및 설치 층수는 설계변수로 고려하였다. 수치해석결과, EKDS는 기존의 한 방향 층간에 설치되는 감 쇠시스템과 비교할 때 더 작은 수를 적용하여도 두 방향의 지진하중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