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0

        12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 기술이 진로적응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고 계획된 우연 기술의 향상을 위한 진로코칭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56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 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된 우연 기술의 호기심, 인내심과 낙관성 요인은 진로적 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낙관성 요인은 진로적응성의 모든 하위요인들에 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 기술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획된 우연 기술의 호기심, 낙관성과 위험감수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기심, 인내심, 낙관성과 위험 감수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들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 기술을 향상하기 위하여 기존의 진로코칭 프로그램과 더불어 진로코칭 교육의 확대 실시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이에 대한 대학 당국과 교수자들의 이해와 실천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6,600원
        12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양안시기능이 정상인 대학생들의 읽기능력에 플러스렌즈의 착용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질환이 없고 양안시기능이 정상인 대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조절래그와 읽기능력을 측정하였다. 조절 래그검사는 자각적 크로스실린더법을 사용하였고, 읽기능력검사는 Readalyzer를 사용하여 단어주시시간, 단어반 복보기횟수, 줄반복보기횟수, 읽기속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읽기능력은 조절래그량에 해당하는 플러스렌즈를 착용시키기 전과 후 각각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21.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플러스렌즈를 착용하기 전과 후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에게 조절래그에 해당하는 플러스렌즈를 착용시키자 착용하기 전에 비해 단어주시시간이 다소 증가하였고, 단어반복보기횟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읽기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독서 시 약한 굴절력의 플러스렌즈 착용은 단어를 주시하는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독서 시 플러스렌즈 착용은 단어를 반복해서 보는 횟수를 줄이고 읽기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12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movies in an English reading course at the college leve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constructed; 1) How have reading activities through movies affected Korean colleg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2) How have those activities affected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English study?, and 3) How have the students responded this movie-used reading class affectively? Thirty two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wo observations, before- and after- scores on th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and their attitudes toward English study.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 and post-reading achievement tests, and those reading activities through movies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reading. Also, this quantitative result has been verified by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that added credibility to the statistical finding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movies in the classroom attract students’ attention, and provide language learners with live languag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also made on the effective teaching of English reading in Korean classroom settings.
        6,300원
        12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ice recording as a speaking assignment on Korean EFL nursing students’ speaking confidence and perceptions of speaking assign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 nursing students who took college English course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voice recording assignment for speaking practice during 5 weeks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treatment by the researcher. Speaking confidence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hievement of the participants’ speaking confidence after speaking assignment of voice recording performed by them.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had positive reac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assignment. This suggests that voice recording assignment encourages students to have their speaking confidence and helps them to overcome speaking difficulties in EFL environment.
        5,200원
        12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hesion features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ssays written by Korean and NS college students. A total of 800 essays from the ICNALE (International Corpus Network of Asian Learners of English) corpus were analyzed using the newly-developed automated analysis of cohesion program, TAACO (the Tool for the Automatic Analysis of Cohesio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S and Korean students,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he multivariat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combined cohesion indic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L1, indicating that Korean and NS students differed in terms of various cohesion indices. A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characterize the nature of cohesion differences in essays between NS and Korean students. The best two predictors for distinguishing between Korean students’ essays and NS students’ essays are the overlap of function words and the use of demonstratives. Overall, NS students produced a more cohesive writing than Korean students in that they employed overlapping words, demonstratives, and lexical subordinators as a way to connect ideas across sentences.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English writing pedagogy are discussed.
        5,200원
        126.
        201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교에서 블렌디드 PBL 수업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K대학교 재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를 위해 성찰일지, 연구자일지, e-class 탑재 자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자의 주요변인별 블렌디드 PBL 효과는 ‘문제해결 능력’, ‘협동학습 능력’, ‘의사소통 능력’,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블렌디드 PBL 수업을 통해 ‘학습의 주체자로서의 뿌듯함과 의미 있는 활동’,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성취감’, ‘유연한 사고 및 사고의 확장’, ‘자기이해 및 자신감 향상’ 등 긍정적인 경험이 이루어졌다. 이는 블렌디드 PBL 수업방법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를 주도할 인 재의 역량 제고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효율적인 블렌디드 PBL 수업을 위해 온·오프라인의 장 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업설계,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그리고 촉진자, 가이드로서의 교수자의 역할 등 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블렌디드 PBL 수업을 적용하려는 교수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 의 지원이 충분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6,700원
        13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과 연령에 따라 전공만족, 자아존중감,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공만족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A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공만족은 조사대상자들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자아존중감은 성별(t=2.056, ρ<0.5)과 연령에 따라(F=4.938, ρ<0.01)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성별에 따라(t=3.136, ρ<0.01)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인 전공만족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β =.612, ρ=.000),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주장(β=.466, ρ=.000), 지도력과 인기(β=.191, ρ<.05), 자아존중(β=.184, ρ<.05)이 대학생활적응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공만족과 자아존중감은 안경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교육 및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 상담시스템을 구축하여 정기적인 상담과 지도가 필요하다.
        4,000원
        13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pite of the benefits of English oral presentations on EFL learners' proficiency and competence, English presentations have not obtained much attention as instructional medium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With the belief that EFL learners' experience of English presentation performance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educators and researchers, this study intended to describe how EFL learners perceive their presentation performance through their reflective self-assessment. In particular, adopting Otoshi and Heffernen's (2008) rubric of evaluation, this study examined what a group of Korean EFL learners were concerned in regard to their presentation performances and how they evaluated them. The data collected were 41 reflective self-assessment papers written by 41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apers were coded, categorized and interpreted. Findings showed that voice quality is the area the students in this paper were most concerned about. Negative evaluations of their presentation performance outweighed the positive evaluations except in the area of Power Point use. Lastly, rehearsal and visual aids education sessions as well as differentiating spoken and written English were suggested as instruction implications for educators.
        6,000원
        13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한국 음악대학의 커리큘럼은 20-30년 전의 커리큘럼과 비교하여 별 다른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조성음악을 위한 화성법, 대위법, 구조분석에 대한 수업은 필수로 지정되어 있는 반면, 조성 음악 이후의 음악에 대해서는 한, 두 과목 선택 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으며, 심지어 이와 관련 수업이 개설도 안되어 있어 무조음악에 대한 교육적 경험의 기회조차 받을 수 없는 음악대학들도 무수히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국내 음악대학들의 커리큘럼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세계 우수한 음악대학들의 커리큘럼 조사를 통해 어떠한 수업들을 제공하며 21세기 흐름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미국, 독일 음악대학들의 커리큘럼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와는 매우 상이한 수업 설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공 음악 수업뿐만 아니라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수업을 개설하여 깊이 있는 해석 능력 함양이 가능토록 하고 있었으며, 4년의 학부 기간 동안 조성음악에만 초점 맞춘 것 이 아니라 20, 21세기 현대 음악까지 음악이론과 음악사를 연계시켜 단계적으로 매우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있었다. 또한, 정통 서양 음악에서 벗어나 현재 음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곡가, 장르 등을 다양하게 수용하여 개설하고 있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우수 음악대학들의 커리큘럼 분석 연구를 통해, 필자는 21세기, 한국 음악대학의 커리 큘럼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전공필수의 음악이론 1-9 수업을 조성음악 분석법에서부터 현대음악 분석까지 아우르도록 설계하여 4년의 학부 과정을 통해 모든 학생들이 조성음악 뿐만 아니라 20세 기, 21세기, 현대음악까지 접하고, 분석⋅해석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음악이론 수업과 음악사 수업 내용이 연결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학습과 함께 분석 실습, 연주 실습 등도 연계된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8,400원
        13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pply flipped learning in teaching General English courses in university and examine its impact on English self-efficacy and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he researcher implemented flipped learning by recording videos based on the students’ textbook and up-loading those videos on the SNS before each lesson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ctive interactions in class.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n=56) were required to learn through SNS the videos to learn in the pre-class. They also practiced what they had learned under the teacher’s supervision by completing collaborative tasks in groups or pair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students (n=66) received in-class only traditional English teach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adopting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appeared to play a role in enhancing the students’ English self-efficacy and English achievement. Also the students’ responses indicated that their satisfaction towards the flipped learning is positive.
        6,000원
        13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s on nursing college students’ disaster nursing knowledge, attitude toward disasters, and basic disaster nursing implementation abilities. Method: This study is similar to an experimental study that applied before-and-after designs for test groups and control groups. It was configured focusing on “earthquakes,” “fires,” “infectious diseases,” and “hospital disaster preparation.” Our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configured to improve nursing students’ abilities to immediately respond to problems through the integration of nursing courses. Results: The test group that received the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disaster nursing knowledge, attitude toward disasters, and basic disaster nursing implementation abil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disaster nursing implementation abilitie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so that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al courses take root to improve the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4,500원
        135.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담배흡연자에서 비만과 심장자율신경조절의 관련성 규명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의료기록 및 외관상 건강한 총 85명의 남자 대학생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참가자들의 안정 시 심장자율신경조절 평가를 위해 단기간 표준프로토콜에 따른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지표들을 산출하였다. 한편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허리/엉덩이 둘레비는 표준 비만지표로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허리/엉덩이 둘레비를 기준으로 분류된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부교감신경활동을 반영하는 HRV의 rMSSD, pNN50, HF 및 SD1에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RV의 교감신경활동지수 LF/HF에서는 집단 간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상관분석 결과 시간, 주파수 및 비선형영역의 HRV 부교감신경 지수들이 체질량지수와 관련하지 않는 반면 허리둘레, 허리/ 엉덩이 둘레비 및 체지방률과 같은 비만지표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허리둘레와 체지 방률에 비해 허리/엉덩이 둘레비가 부교감신경활동과 더 밀접하게 관련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들은 남자 대학생 흡연자들에서 전반적인 비만도를 반영하는 체질량지수와는 독립적으로 중심부 비만이 심장부교감신경 저하와 관련하는 주된 상관 요인임을 뒷받침한다.
        4,200원
        136.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최초의 근대지도 제작이 일제 참모본부 간첩대에 의해 이루어졌음은 이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대한제국 정부는 1895년 지적과를 설치하였고 1898년 양지아문을 만들어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교육을 시도하였으나, 중추원에서는 양지아문의 폐지를 주장하는 논의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근대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지도 및 측량교육은 1909년 보성소학교 내에 설치된 신흥농업강습소가 융흥농림강습소로 개칭된 후 신설되었던 임업속성과가 보성전문학교로 이관되면서 실시한 것이 효시였다. 우리나라에 측량교육이 초미의 관심사가 된 것은 신교육구국운동과 삼림법의 시행에 있었다. 그 이유로 측량학교와 강습소가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설립되어 측량교육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사상 1908~1909년은 측량학교 전성시대였다고 간주되는데, 바로 이와 같은 시기에 보성소학교의 신흥(융흥)농업강습소가 보성전문학교의 임업속성과로 이관되어 측량 교육을 실시했던 것이다. 그러나 4년에 걸친 짧은 측량교육은 재정난과 한일합병으로 단명에 그치고 말았다.
        4,900원
        137.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1∼9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 적응과 대학 소속감이 대학 생의 학업중단계획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대학 적응이 대학 소속감에 매개되어 대학생 학업중단계획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생 학업중단계획에 대해 학년에 따라 대학 적응의 영향이 다르게 나 타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대학적응과 고학년 여부의 상호작용항을 모형에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적 응은 대학생 학업중단계획을 감소시키고 대학 소속감에 매개되어 대학생 학업중단계획에 영향을 주었으며 대학 적응과 고학년 여부의 상호작용항은 양적인 영향을 주었다.
        5,500원
        13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discourse marker (henceforth DM)1) actually in college English textbooks (henceforth CETs) which have been most commonly used in college general English curricula in Korea. Based upon seven discourse functions of the DM actually used by native speakers in everyday language use, I analyze whether they are well represented in the CETs. The findings showed that although six functions of this marker were adequately presented in the CETs, their frequencies were somewhat dissimilar to each other: their uses as an informative marker and a contradiction marker were observed the most frequently, whereas their use as a disagreement-prefacing marker was observed the least frequently. In addition, their use as a topic-shift marker did not appear in the CETs. In addition, the DM actually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ETs’ level. For instance, the frequency of actually was quite low at the beginner level as compared to actually at the advanced level, which resulted in interpretations that advanced-level students may use the DM actually more than low-level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deepen our understanding regarding discourse markers and broaden relevant research field for the future.
        5,500원
        13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nglish learners’ motivation, strategies and achievement, with a group of 51 Korean three-year college students.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Also they took a mock TOE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owed for the analysis of learners’ motivation and strategies to predict a single dependent variable, their English achievement.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internal motivation’ was found the highest predictor of their English study, while ‘instrumental motivation-individual’ was the lowest motivation type for students. Second, participants used ‘social strategies’ most frequently in studying English, and they used the others in the order of ‘compensation strategies’, ‘affective strategies’, ‘cognitive strategies’, ‘memory strategies’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Last, the impa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on the TOEIC scor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was found to be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suggested.
        5,100원
        14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경제적 변화와 고용 시장의 불안 등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의 취업관련 교육과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은 그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 사례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 교육 및 코칭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자는 제주시에 소재한 A대학에서 3up 학습 및 진로코칭 대상자 75명 중 본인이 코칭을 했던 9명이었다. 본 연구자는 9명의 코칭대상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5회 코칭을 진행하였으며, A대학 내 B센터에서 이루어졌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코칭프로그램은 B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뉴로피드백코칭이었고, 사용된 코칭대화모델은 5A모델이었다. 코칭사례분석은 대학생들이 코칭을 받기 전과 후의 만족도와 코칭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코칭을 받은 학생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슈 변화, 자신감 향상, 목표의 명료화, 진로탐색부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의 효과성과 함께 필요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결과였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장기적이고 보편적인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 교육 개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