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12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동장 하구역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해안부유쓰레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 하구둑 최대 방류량을 조건으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제현된 유동장에 부유쓰레기로 대표되는 입자를 방출하여 입자들의 거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입자수치모의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역내 존재하는 부유쓰레기는 홍수유량시 72시간 경과시에 낙동강 하구역내 입자 분포 및 거동이 안정상태에 도달하였다. 공간상으로는 진우도를 포함한 가덕도 동측 해안의 경우 초기 33시간까지는 40%까지 증가하나 그 외 주변해역의 경우 20~40% 범위를 유지하였다.
        4,000원
        124.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radical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all service companies' employees are forced to provide many customers with high service quality every day, and the extra role(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more imperative than other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Luthans & Kreitner's Organizational Behavior Modification(OB Mod) model to impro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With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target behavior(service quality), antecedents(OCB), and consequences(customer satisfaction), this paper reviewed OB Mod's 5 stages; identifying, measuring, functional analysis of the behavior,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strategy, evaluation. This model has found to be useful in finding and improving troublesome employee behaviors in USA, but not been verified in Korea. Thus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actices before introducing the model.
        4,000원
        125.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진동대 실험을 통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지진거동을 파악하는데 있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RCAHEST이다. 재료적 비선형성에 대해서는 균열콘크리트에 대한 인장, 압축, 전단모델과 콘크리트 속에 있는 철근모델을 조합하여 고려하였다. 동적 평형방정식의 해는 HHT 법에 의한 수치적분으로 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진동대 실험을 통한 철근콘트리트 교각의 지진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제안한 해석기법을 신뢰성 있는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4,200원
        12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포장에 덧씌우기를 하였을 때 다축차륜하중에 의한 응력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변환영역에서의 해석법을 개발하였다. 덧씌우기는 기존의 슬래브와 완전히 부착이 되었을 경우와 전혀 부착이 되지 않았을 때의 두 가지 극한 조건을 기준으로 분석을 하였다. 차륜하중은 복륜단축, 복륜복축, 복륜삼축 등 복륜다축하중을 고려하였으며 덧씌우기의 두께, 탄성계수, 포아송비 등이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변환영역에서의 해석법을 이용하여 덧씌우기 포장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해석결과의 정확성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해석을 수행한 결과 덧씌우기의 두께, 탄성계수, 포아송비의 증가는 기존 슬래브 하부의 최대인장응력을 감소시키며 감소 정도는 부착 덧씌우기가 비부착 덧씌우기에 비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덧씌우기의 포아송비가 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부착과 비부착 덧씌우기 포장에서 덧씌우기의 두께 및 탄성계수의 증가에 따른 기존슬래브의 최대응력 감소특성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하중의 축수에 따른 부착과 비부착 덧씌우기 포장의 응력분포 및 최대응력특성도 분석하였다.
        4,600원
        128.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design and reflect to the future naturalization of the urban rivers by using the literatures, field survey results and aerial photography of Milyang River as the case regarding the effect of physical factors of urban rivers on landscape, defining those factors as Sammon fine forest, outdoor stage, Youngnamlu, RC stadium, stroll roads and bicycle roads, artificial island, outdoor swimming pool and sculpture park, and by suggest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ccording to those factor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 understand the users' satisfaction and attribut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calculation were used to find out the citizenship and perception toward the physical factors, and paired-sample T test to compare the average.
        4,000원
        129.
        2006.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nalyzes clean room major fire prevention standard of clean Room (FM, IRI, and NFPA Code), the structure of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PBD) applied the korean fire industry situation.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can operate effectively the performance of fire protection equipment & building design, so the fitness of fire safety system can be embodied by operating this. moreover, cost to be consume fire safety of real building can reduce and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is considered to important technique in fire protection field. A fire in a clean room may cause a serious loss by spreading smoke particles. We will be investigated by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or loss prevention by smoke spreading from one fire area to another for clean room and compared the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with the prescriptive code design. The methodology of fire safety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and guarantee of many kinds design skill of fire system and developing design procedure will be very serious one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f domestic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be contributing to secure safety of clean room and to set up the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in Korea by regulation for the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effectively.
        4,000원
        131.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험도로 줄눈 콘크리트포장에 대하여 48시간 동안 시간에 따른 처짐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컬링거동의 보정방안을 도출하였다. 임의 시간 슬래브의 중앙 처짐/줄눈 처짐이 임의 시간 중앙 처짐/기준 시간 중앙 처짐 사이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서 얻어내었다. 임의시간에 측정된 처짐으로부터 하루 가운데 최소 처짐이 나타나는 기준시간 처짐으로의 변환은 회귀곡선을 통해 추정 하였고 데이터 축적을 통해 컬링거동 보정 방안의 하나로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3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혹진딧물의 섭식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고추, 무, 배추, 가지, 참외 등 5종류의 기주식물에서 EPG기술을 이용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구침이 식물체 표면에 접촉된 후 전기적 연결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맨 처음 potential drop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된 시간, 구침의 세포간극내에서의 활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potential drop의 수, 전기적 연결신호가 나타난 시점부터 체관부를 섭식하는 순간까지 소요된 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 Potential drop 수에서는 기주들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머지 요인에서는 기주식물들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참외나 배추보다는 고추, 무, 가지에서 즘 더 기주선호성과 관련된 섭식패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34.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10개의 벼 품종을 대상으로 벼멸구(Nilaparvata lugens)의 섭식행동을 EPG 패턴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벼의 섭식시간과 감로분비량의 관계를 알아보고 측정한 EPG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벼멸구의 각 EPG type을 전기적인 특성에 따라 1-6까지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중 Type 1은 구침을 꽂지 않고 쉬거나 돌아다닐 때 나타나는 패턴이고 Type 2는 체관을 흡즙할 때 나타나는 패턴이고 Type 3은 처음으로 구침을 꽂을 때, Type 4는 타액 분비시, Type 5는 물관의 흡즙시, Type 6은 구침의 세포내 이동시 나타난다. 벼멸구의 각 품종에 대한 섭식시간은 금남벼에서는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졌고 동전벼, 대안벼, 동안벼, 대산벼에서는 오랜 시간 흡즙을 하였다. 또한 금남벼에서는 장시간 구침을 삽입하지 않는 시간이 길었다. 감로의 분비량은 동진벼에서 가장 많았고 금남벼에서 가장 적은 감로를 분비했다. 이 감로의 분비량은 체관의 흡즙시간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EPG type과 감로의 분비량을 분석한 결과 벼멸구가 선호하는 품종은 동진벼, 동안벼, 대산벼, 대안벼 등이었고 그렇지 않은 품종은 금남벼, 다산벼, 남천벼 등이었다.
        4,200원
        13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횡하중을 받는 아웃리거 시스템의 횡변위를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강성최적설계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웃리거 시스템의 거동특성 및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웃리거를 이용한 고층 구조물의 거동특성을 고려한 민감도 해석을 수행하며 아울러 수학적계획법의 일반성을 유지하면서도, 큰 규모의 문제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근사화 개념을 도입하여 구속조건식을 설정한다. 특히 초기에 주어진 단면형상이 최적설계 과정동안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을 이용하여 부재재설계 기법을 개발한다. 제시된 정량적인 횡변위 제어 방안의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네 가지 형태의 50층 고층구조물 예제가 고려된다.
        4,000원
        13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the nano Fe powders having 50 nm in diameter, Fe compact bodies were fabricated by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volume ratio of powder/binder and sintering temperature were characterized by SEM, TEM techniques. In the compact body with the volume percentage ratio of 45(Fe powder) : 55(binder), which was sintered at the relative density was about and the values of volume shrinkage and hardness were about and 242.0 Hv, respec-tively. Using the composition of 50(Fe powder) : 50(binder) and sintered at the values of relative density, volume shrinkage and hardness of Fe sintered bodies were and 152.8 Hv, respectively. They showed brittle fracture mode due to the porous and fine microstructur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