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2

        141.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료 콩에서의 초기미생물 제어방법에 따른 효과와 살수온도조건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특성 및 수율향상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재배시 초기 미생물 제어방안으로 실시된 열탕살균, 염소, 이온수, 오존수 등의 방법중 열수를 이용한 열탕살균법(1차 예열 40℃ , 2차 열탕 70℃ , 3차 냉각 20℃ 각 30초)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열탕살균법은 초기 발아율 향상과 생육기간중 미생물 억제효과가 양호하여 재배완료 후 부패감소(미생물 102 감소) 및 수율향상, 선도유지가 관행의 방법에 비해 2일정도 향상되었다. 2. 콩나물 재배수온에는 재배완료까지 동일수온(18.5 ± 0.5℃ )을 적용하는 방법과 재배일차별 수온을 다르게 하는 3-stage방법 등이 있다. 3-stage방법의 특징은 초기발아시간 단축(약 4시간정도)과 재배일차별 수온을 다르게 하는 즉, 2-3일차(침지시간 제외)에는 21± 1℃ , 4-5일차에는 18.5± 0.5℃ , 6-7일차에는 17.0± 0.5℃ 로. 재배수온을 달리하는 방법이며, 3-stage 방법을 적용하면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미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게 되고, 재배 중, 후기에는 생육을 제어하게 되어 규격품의 콩나물(길이 8-9cm, 두께 2.15-2.30mm)과 좋은 색택의 콩나물 생산이 가능하며 수율도 약 6%향상되었다
        143.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ling establishment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 critical factor in production system and cultural practi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soybean seedling developments encompassing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that respond to emergence, early growth stage and dry matter accumulation. Three soybean cultivars, Hwangkeumkong, Shinpaldalkong 2, and Pungsannamulkong, were planted at Baegsan silty loam soil. Planting date was May 13, June 3, and June 24 in 2001. Sprinkler irrigation was accompanied with 30mm after seeding for three planting dates. Soybean seedlings were sampled at the growth stages from VE to V5. Days to emergence of soybean seedlings were taken 8 at May 13 and 5 at June 24 plantings. Emergence percentage was over 90 at three planting dates. May 13 planting took 33 days and June 24 planting was 25 days for reaching V5 growth stage. Cotyledon number was decreased after V2. Significant cultivar difference was found in cotyledon dry weight until V2 which differed in seed dry weights at the planting times. Leaf and total dry weights of soybean seedlings were not differed from V1 to V3 among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Leaf water contents were generally ranged 78 to 85%. Branch was appeared from V4. Leaf/stem ratio among cultivars was similar at five growth stages and gradually increased from 2.1 at V1 to 2.8 at V5. The results based on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seedling establishment of soybean was continued from VE to V3 growth stages affecting mainly by planting date and soil moisture.
        144.
        2002.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eading date is known to be controlled by two kinds of genetic constituent, photosensitivity and basic vegetable phase. For the latter, the effect of temperature in early growth period is critical to determine the shortness of vegetative growth periods in plant's life. A phytotron experiment on 55 rice cultivars, consisting of two ecotypes of rices, indica and japonica, was conducted at high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at early growth stage to investigate the possible role of plant growth stimulus by high temperature to associate with shortening of heading date. The high temperature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stimulated the rice growth as measured by plant height with much difference of the growth response between indica and japonica. The conclusive finding that these growth stimulus in early growth stag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cceleration of heading is, more or less, correlated with the heading of the late growth stage although we could not conclude the genes for early plant growth stimulus by high temperature is the same genes as the genes for accelerating of heading in the late growth stage of plants.
        146.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falfa (Medicago sativa L.)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contain water-soluble substances that are autotoxic as well as allelopathic. Laboratory experiment through a petri-dish assay with imbibed seeds was conducted to evaluate both autotoxic and allelopathic effects of alfalfa leaf extracts on the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alfalfa, red clover, crested wheatgrass, and Russian wildrye. Alfalfa seed germination was delayed dependent on extract concentration, with no difference in final germination at 72 hours. Root growth of alfalfa was stimulated up to 14% above control at very low concentrations of both leaf and stem extracts of alfalfa and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extract concentration of more than 0.5g dry tissue/L (gL-1 ). Leaf extracts were generally more autotoxic for root growth than were stem extracts. Hypocotyl growth was not affected by all the concentrations of both leaf and stem extracts. Root length of legumes was more sensitive to the autotoxic chemicals from leaf extracts than was germination or shoot length. Hypocotyl growth of two legume plants and plant height of two grasses were not influenced by extracts. Seed germination and root growth of legumes were more inhibited by aqueous extracts of alfalfa leaf than were those of grasses. This result indicates autotoxic effect of alfalfa leaf extracts seems to be greater than allelopathic effect.
        147.
        2000.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totoxicity restricts reseeding of new alfalfa(Medicago sativa L.) after alfalfa until autotoxic chemical(s) breaks down or is dispersed into external environments, often requiring up to a year or more. One solution for reducing autotoxicity would be to select germplasms or cultivars with tolerance to the autotoxic chemical(5) and use genetically breeding program. Bioassay of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was conducted to evaluate autotoxic responses of 3 varieties of alfalfa to the water-soluble extracts(at 4 and 8g/L) from alfalfa ‘Cody’leaf by using agar and filter paper medium in a petri-dish assay. Root length at 5 days after seeding was more sensitive to the extract than was hypocotyl length or seed germination, and was a better parameter of autotoxic effects of alfalfa leaf extracts. Use of an agar medium gave better sensitivity of root length than did use of filter paper. Evaluating tolerance with percent of control was more important indicator than was mean of root length because of significant variation among varieties in root length of control treatment. Bioassay ranked varieties in the following order of tolerance on the basis of relative root length; “Cody” >“ Pioneer 5373” >“ Alfagraze”. Seedling growth from old “Cody” seed was more sensitive to the autotoxic chemical(5) than was that from newly produced seed.
        148.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rns on the crop damage by ultraviolet (UV) radiations is increasing owing to the decrease of their absorbing stratospheric ozone in the tropospheric. Cultivar differences on early growth of UV radiation among five Korean rice cultivars, four japonica types and one Tongil type (indica-japonica cross hybrid), were studied. Pot-seeded rice plants were grown under four different radiation conditions, i.e., visible radiation only, visible radiation with supplemented with high or low dose of UV-B (280~320 nm in wavelength) and UV-C (less than 280 nm in wavelength). The inhibitory degree on plant height, shoot and root weight and length of leaf blade and leaf sheath were determined at 40 days after seeding. UV-C showed the most severe inhibitory effect on the degree of biomass gain and leaf growth in most cultivars examined, followed by high UV-B and low UV-B. Among the cultivars used, the Kuemobyeo was the most sensitive cultivar and had not repair or showed resistance ability to continued irradiation of UV radiation. However, Janganbyeo and Jaekeon showed different responses that the elongation of leaf blades was promoted on 2nd and 3rd leaves and inhibited on 4th and 5th leaves but this inhibitory degree was reduced on 6 th and 7th leaves. Such tendency on leaf growth means that both cultivars had low sensitivity and most resistant ability to continued irradiation of UV radiation. While Tongil showed different response to enhanced UV radiation, ie., low UV-B promoted leaf growth but the inhibitory was severely increased by continued irradiation of high UV-B and UV-C, which means that Tongil had high threshold of UV radiation for response as an inhibitory light of plant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ifferences on sensitivity or resistant to the effects of UV radiation were existed among Korean rice cultivars
        149.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nine wheat geno-types to choose the wheat which has excellent early vigour. 'Vigour 18' and 'ZL 59A' are excellent in the long coleoptile genotype, while 'Amery' and 'Janz' are excellent in the short coleoptile genotype. Responding to the growth stage and nitrogen level, Vigour 18 is predominant in the long coleoptile genogype, while Janz in the short coleoptile genotype. Responding to sow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the higher the sowing density was, the shorter the leaf area of Vigour 18 and Janz. Also the leaf area turned out to larger in the plot fertilized with high nitrogen than in the plot fertilized with low nitrogen. This is true of leaf weight and root weight. Concerning specific leaf area (SLA) and leaf area ratio (LAR), the higher the sowing density was, the SLA tended to grow larger, while the SLA grew larger in the plot fertilized with low nitrogen, as were found in Vigour 18 and Janz. The roots of long coleoptile genotype, Vigour 18, turned out to grow longest on the plot sown with 3 seeds. While the roots of short coleoptile genotype, Janz, grew longest on the plot sown with 2 seeds.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was the same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The RGR was 0.071 and 0.072 g g-1d-1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The partitioning of RGR into net assimilation rate (NAR) and LAR showed that the average LAR at low N rates was similar to the LAR at high N rates. Variation within each cultivar in the LAR and NAR was small relativ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Above ground mass was 8.2 mg greater at high N rates than low N rates, whereas leaf area was 0.05 ~textrmm2 kg-l greater at high N rates than low N rates. The NAR was similar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whereas LAR was greater at high N rates (0.05 ~textrmm2 kg-l ); variation in SLA was responsible for the variation in NAR and LAR both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NAR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ciprocal of SLA.
        151.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맹아의 지상부 출현율은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 노천매장 후 25℃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가장 높은 맹아출현율(95%)을 보였으며 외관상 눈이 없었던 근경의 경우에 노천매장 후 15℃의 생장상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이 75%로 가장 높은 맹아출현율을 나타냈다. 2. 외관상 눈의 유무에 관계없이 노천매장 후 15℃의 생장상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는 근경당 1개의 맹아가 출아되는 경향이었으며 노천매장 후 25℃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에서 근경당 2개 이상의 맹아가 출아되는 경향이 현저하였다. 3. 외관상 눈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층적매장 후 25℃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의 초장이 가장 길었으며 외관산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 충적매장 후 25℃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가 최대의 엽면적을 나타냈다. 4.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 노천매장 후 25℃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의 뿌리가 가장 길었으며 이들 뿌리에서 새로 생성되어 출아한 신아수는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는 무처리에서, 눈이 없었던 경우에는 층적매장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152.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육초기의 수분부족 장애에 대한 콩의 생리적 및 작물학적인 여러 형질들의 반응양상과 콩 품종들의 한발저항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황금콩 등 8품종을 공시하고 생육초기반응에 대해서 토양 수분장력을 -0.3, -5및 -10bar로 달리하여 폿트를 이용한 토양재배를 하였던 바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 20일간의 토양수분 부족장애시는 모든 생육지표에서 생육을 감소시켰는데 특히 엽면적과 지상부건물중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토양수분 부족장애에 의한 생육감소의 품종간 차이는 절대엽면적이 큰 황금콩의 감소율이 높고, 엽면적이 작은 수원 9003가 감소율이 제일 작았다. 2. 엽중 proline 및 ABA 함량은 20일간의 토양수분 부족장애로 인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proline은 무처리구에 비해 -5 bar에서 26배내외, -10 bar에서 65배 내외 증가되었고 ABA는 각각 2.5배 및 2.9배 정도 증가되었는데, 품종들의 엽면적감소율 순위와 proline 또는 ABA 함량의 증가순위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3. 콩 생육초기 20일간 토양수분 부족장애 처리후 생육량 감소 정도와 수량의 무처리구 대비 백분율을 기준으로 품종을 구분하여 보면, 백운콩은 엽면적과 총건물중의 감소율이 작으면서 수량 감소율도 작은 품종이었으며, 팔달콩은 엽면적과 총건물중의 감소율은 크나 수량 감소율은 작은 품종이었고, Hodgson 78은 어느 형질이나 감소율이 큰 품종이었다. 4. 토양수분 부족장애가 없을 경우 수량이 높았던 장백콩과 남천콩은 토양 수분 부족장애로 인해 수량 감소율은 컸지만 수분부족 장애시에도 타품종들에 비해 수량이 높았다.조정 한 48시간의 한해유발처리의 결과는 엽록소함량, 일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 모두 10일간단수처리 한 결과와 일양성을 나타내었다. 품종간에는 백동과 향맥이 수분스트레스시의 증가 및 관수시의 멸소반응이 모두 둔하여 수분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
        153.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신간탁지 제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해남간탁지의 토양을 대상으로 제염효과를 분석하고 제염정도에 대한 보리의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1. 공시토양은 점토함량이 16%이고 함량이 75%인 철사질양토이며 pH는 8.0이고 포화용액의 전기전도도는 59mS / cm인 염류알칼리토양이었다. 2. 토양포화용액의 전기전도도를 4mS / cm이하로 낮추기 위한 제염용수량은 5cm 깊이의 토양에서는 140mm였고, 20cm 깊이의 토양에서는 240mm였다. 3. 제염과정중 토양포화용액의 pH값은 8.0에서부터 8.3까지 높아졌다. 4. 보리종자의 출아률은 8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76%이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5. 보리의 초장은 파종후 1과와 2과에서는 12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그리고 파종후 3과와 4과에서는 16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정상으로 신장하였다. 6. 보리 엽면적과 생체종 파종후 2과에는 12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파종후 3과에는 16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염해의 발생이 없었다. 7.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간탁지에서 보리의 초기 생장기의 정상생육을 위한 토양포화용액의 전기전도도는 20cm 깊이의 토양에서 9mS / cm 이하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54.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향상을 위한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1995년에 발아시험기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최아장, 과산화석회 (CaO2 ) 종자분의 및 파종(매몰)심도에 따른 출아, 입모 및 초기 생육을 검토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 및 입모율은 최아장이 길수록 향상되었고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저하되었는데 입모율이 l0% 이하로 현저히 저하된 최아장별 파종심도는 무최아 0.5cm, 2mm 최아 1.0cm, 4mm 및 6mm 최아는 2.0cm이었다. 2. 최아장이 길수록, 파종심도가 말을수록 초장이 크고 건물중이 무거웠으며 입수도 많았다. 3. 최아장 6mm에서는 파종이 불균일하고 파종립수가 매우 적어 입모수 및 입모의 균일도가 매우 낮았으나 최아장 4mm에서는 파종이 균일하고 입모율 및 입모의 균일도가 높았다. 4. CaO2 종자분의로 출아율 및 입모율이 향상되었으며 CaO2 분의에 의한 입모향상 효과는 최아종자보다 무최아종자에서 컸다. 5. CaO2 처리로 입모율 50% 이상을 보인 파종심도는 무최아종자, 최아종자 모두 1.0cm까지이었으며 파종심도 3cm에서는 모든 처리 에서 전혀 입모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벼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최아장은 3~4mm라고 생각되며 CaO2 를 분의 하더라도 입모의 안정을 위하여는 종자가 출아전에 1cm 이상 매몰되지 않도록 파종 전후 물관리를 적절히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55.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지에서 내염성이 강한 우량초종을 선발하여 조사료로서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1993. 5~1994. 6월까지 발아생리, 염농도별 초기생육, 영양가 및 기호성 등을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화가 가능한 두 초종은 갯겨이삭(Puccinellia coreensis Honda)과 갯꾸러미풀(P. nipponica Ohwi)이었다. 2. 두 초종은 호광성이고 저온발아성 종자였으며, 발아적온은 10℃ 이었고, 발아소요 기간은 30일정도였다. 3. 휴면성이 인정되었으며, 건조보다는 습윤상태에서, 저온보다는 고온상태로 1~3일 저장하면 발아율을 갯겨이삭은 18.0%, 갯꾸러미풀은 39.0% 증가시킬 수 있었다. 4. 염농도별 초기생육을 보면 갯겨이삭은 염농도 1.00%, 갯꾸러미풀은 염농도 0.50%에서도 생육이 양호하였다. 5. 색물체에 영양가를 보면 조단백질함량은 갯겨이삭이 8.4%, 갯꾸러미풀이 7.1%로 재배작물인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10.3%보다 다소 작았으나 가용성 무질소물은 갯겨이삭,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및 갯꾸러미풀 순이었다. 또한 가소화양분 함량은 53.6~56.6%로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57.8%와 큰 차이가 없었다. 6. 갯겨이삭 및 갯꾸러미풀은 재배작물과 마찬가지로 소에 대한 기호성이 양호하였다.
        156.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28 수집종중(蒐集種中) 인도쑥과 실제비쑥은 초기생장량(生長量)이 많은 반면(反面)에 황해쑥은 후기 생장량(生長量)이 많아 m2당(當) 생체중(生體重)은 황해쑥과 실제비쑥이 1711~1531gr으로 가장 많았다. 2. 조기재배시 실제비쑥과 황해쑥은 향미(香味)가 좋고, 형태가 가늘어 상품성(商品性)이 좋아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지상부의 생육이 양호(良好)하였던 산쑥, 황해쑥, 실제비쑥은 탄수화물, 철, 동의 함량(含量)이 많이 함유(含有)되어있었으나, 생육(生育)이 떨어졌던 뺑쑥, 명천쑥, 큰제비쑥은 인과 마그네슘함량(含量)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지상부(地上部)의 생체중(生體重)과 무기성분간(無機成分間)에는 인, 철, 마그네슘, 아연, 동함량간(含量間)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칼슘과 후기 생체중(生體重)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157.
        199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와 피의 입모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담수심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담수심 0, 7.5, 15.0, 22.5cm로 처리하여 파종부 8일 초엽장, 유근장 및 입모수를 파종후 35일 초장, 경수, 건물중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수심이 깊어질수록 벼의 초엽은 길어졌으나 유근장은 짧아졌고, 이들의 신장성이 가장 좋았던 품종은 Italico livorno이었고, 다음이 S201, A301, 화성벼, M202순이었다. 2. 입모율은 담수시이 깊어지면 벼와 피 다같이 떨어졌는데, 피는 담수시 입모율 감소가 심했고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3. 담수심이 깊어지면 벼의 초장은 길어졌으나 피는 짧아졌고, 경장은 다같이 감소하였는데 15cm이상 심수시 피의 생육은 극히 연약하였다. 4. 벼의 엽수는 담수심간은 차이가 없었고, 품종간에는 M202가 1엽정도 적었고, 그 외 품종들간에는 비슷하였다. 5. 지상부 및 뿌리 건물중은 벼는 담수심 7.5cm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0,15.0, 22.5cm 담수심 순이었으나 담수심간 유의성은 없었다. 피는 담수심 0cm에 비하여 담수심 7.5, 15.0, 22.5cm에서는 각각 지상부 건물중 65%, 87%, 94%, 뿌리 건물중 81%, 90%, 94%가 감소되어 침수에 따른 생육억제정도가 심하였다. 6. 충실도는 벼는 담수심간 유의성이 없었으나 피는 담수심 0, 7.5, 15.0, 22.5cm에서 각각 12.52, 5.44, 2.30, 1.30mg/cm로 담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급격히 저하하였다. 7. 공시품종중 Italico livorno와 S201은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초엽장, 유근장 등이 높아 단수직파에 좋은 특성을 가진 품종으로 생각된다. 8. 각 품종내 피의 생육은 경수외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대체로 파종후 35일까지는 벼 품종들과 피와의 경합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사료된다./TEX>는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다.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로 빠른 시일에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다. 4. 저온저장(4℃ ,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해 야 할지를 모르는 여러
        158.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 근류착생성 콩 nts 382 및 nts 246와 wild-type인 Bragg의 초기생육, 뿌리혹 형성 및 질소고정능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nts 계통은 뿌리혹건물중이 현저히 높아서 파종후 31일째에는 Bragg에 비하여 2.5내지 3.5배에 달하였다. 2. nts 계통은 과도한 뿌리혹 형성 때문에 지상부 광합성산물을 많이 소모하여 지상부의 생육이 저해되었다.
        159.
        198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년생 인삼에서 화경출현 개체와 비화경출현 개체를 구분 선정하여 이들 개체간의 년생별 생육 및 개화특성 그리고 형질간 상관관계를 비교 조사하여 화경출현 개체의 육종소재로서 활용성을 모색하고자 시험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년생에서 화경출현 개체는 비화경출현 개체에 비하여 경장, 엽장이 크고 장엽수가 많으 개체군에서 화경출현률이 높았다. 2. 2년생 시 화경출현 개체는 3,4년생에서도 2년생과 같은 경향으로 비화경 개체에 비하여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염실률, 근량도 증가되었다. 3. 착과수 및 근종과 상관이 높은 지상부 형질은 경직경, 경장, 엽장, 장엽수 등이었다. 4. 2년생 화경출현 개체의 3년생 지상부 형질 상관은 2년생 비화경 출현 개체의 4년생 지상부 형질상관과 진상을 보였다.
        160.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ponin생합성의 개체발생학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삼종자의 개갑과정과 묘삼생육초기에 saponin및 유리당의 변화를 HPLC로 조사하있다. 개갑처리 40일 후에 약 80%의 saponin이 없어졌으며 Rc, Rb2 , Rb1 이 없어지고 PD가 더 많이 없어졌다. 70일 후에는 40일 후보다 증가하였으며 Rg2 와 Rg3 (추정), 20-gluco Rf(추정)의 증가는 분해용탈 외에 생합성 가능성을 배제하지 아니하였다. F3 (추정)는 과육에 없고 미숙배유와 배에 있고 개갑과정에서 적어졌다. Rg3 는 과육에 없고 배유와 배에 흔적으로 있으나 개갑에서 증가되었다. 20-gluco Rf는 개갑 중 배유와 배에서만 나타났다. 4월 20일의 묘삼근에서 saponin은 없었으나 줄기에서는 개갑시 보다 많았다. 근의 saponin 생성은 5월 29일에 나타났으나 6월 30일에야 Rc, Rb2 , Rb1 이 처음 생기며 본 궤도에 이르는 것 같다. 6월 중 단위 생중당 saponin 생합성 속도는 뿌리보다 잎에서 배가 높았다. 잎사포닌 F3 와 F6가 뿌리에서 발견되고, 근 saponin Rg3 와 20-gluco-Rf가 엽에서 나타났으나 점점 감소하였다. Saponin함량의 변화에는 PD가 주역이여서 PT/PD는 saponin 함량과 부상관을 보였다. 재갑처리 70일에도 sucrose의 함량이 높았으나 glucose는 흔적, fructose는 없었다. 묘삼의 잎은 sucrose보다 glucose와 fructose가 초기에는 많았으나 후에는 상당히 적어졌다. 줄기는 glu-cose가 많고 기타는 흔적 정도 였으며 뿌리는 초기에 sucrose가 종자에서 보다 높았으나 그 후 모든 당이 거의 흔적뿐이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