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2

        14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의 멸종위기곤충인 꼬마잠자리 알의 발육과 온도의 관계를 추정하고자 8가지 서로 다른 온도 조건(17, 20, 22, 25, 28, 30, 33 및 36℃)에서 실시하였다. 꼬마잠자리의 알은 2007년 6월 경상북도 문경시 일대의 산간 습지에 서식하는 암컷 성충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실험의 결과, 부화율은 17, 20, 22, 25, 28, 30, 33, 그리고 36℃에서 각각 2.86, 17.09, 24.
        4,000원
        142.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erpetofauna in 22 Islands, Incheon. As a result, we have listed 1 order, 5 families, 10 species of amphibians and 1 order 4 families, 12 species of reptiles. Of them, legally protected species are following: Elaphe schrenckii Strauch (Colubridae), Eremias argus Peters (Lacertilidae), Rana plancyi chosenica Okada (Ranidae), Kaloula borealis (Barbour) (Microhylidae). Especially, E. schrenckii was the most abundant in Island Seongap. Islands where endangered species have been found could be protected from further anthropogenic activities.
        4,000원
        14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umenis autonoe belonging to a lepidopteran family Nymphalidae (superfamily Papilionoidea)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Historically, the species was distributed in Europe and Asian region including a wide region in Korean peninsula. However, in Korean peninsula, the species is found only in two isolate dregions: South in a remote island Jeju, where altitude is higher than1, 400 meter on Halla Mt. and North in far northern Korean peninsula around Mt. Bekdu. In this study, we report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endangered E. autonoe collected from Mt. Halla. The 15,489-bp long E. autonoe genome has a typical gene content found in animal mitochondrial genomes and contains the gene arrangement identical to all other sequenced lepidopteran insects, which differs from the most common type found in insects, as the result of the movement of tRNAMet to a position 5’-upstream of tRNAIle. As seen in many other lepidopteran insects, no typical ATN codon for COI gene is available. Thus, we tentatively designated the CGA (arginine) found at the beginning of the COI gene, as has been suggested for lepidopteran COI starter. The intergenic spacer sequence located between tRNASer (UCN) and ND1 of E. autonoe mitogenome also contains the ATACTAA motif which is conserved in all sequenced lepidopteran species. The 678-bp long A+T-rich region, which is longest in sequenced lepidopteran insects contains ten identical tandem repeats composed of 27 bp plus one 13-bp long identical incomplete final repeat. Such repeat sequence is rare in the lepidopteran mitogenomes known so far. The E. autonoe A+T-rich region also contains a poly-T stretch located at the end of the region as 19 bp and also contains the downstream conserved motif ATAGA that were previously suggested to serve as a structural signal for minor-strand mtDNA replication.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concatenated 13 amino acid sequences of PCGs among available six lepidopteran superfamilies (Tortricoidea, Pyraloidea, Papilionoidea, Bombycoidea, Geometroidea, and Noctuoidea) rooted with three dipteran species with BI and ML analyses supported the following topology: ((((Bombycoidea + Geometroidea +Noctuoidea) + Papilionoidea) + Pyraloidea) + Tortricoidea). Within Papilionoidea, a closer relationship between Lycaenidae and Pieridae, excluding Nymphalidae was observed. Further fruitful information will be available after more analysis is done.
        14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determined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the jewel beetle, Chrysochroa fulgidissima (Coleoptera: Buprestidae) from two overlapping fragments and subsequent sub fragments. The 15,592-bp long C. fulgidissima mitogenome contains gene arrangement and content identical to the most common arrangement found in insects. Most individual C. fulgidissima mitochondrial (mt) genes were well within the range found in the respective genes of other insects. The 875-bp A+T-rich region is shortest among the coleopteran mitogenomes sequenced in their entirety. The region is interesting in that it contains several stem-and-loop structures and tRNA-like structure found in the A+T-rich regions of other insect mitogenomes. As seen in other insect motogenomes the start codon of C. fulgidissima COI gene also is unusual because no typical start codon is available. Three of the 13 protein-coding genes have incomplete termination codon T or TA. All tRNA formed stable stem-and-loop structure, except for tRNASer(AGN), the DHU arm of which formed a simple loop as seen in many other metazoan mt tRNASer(AGN).
        14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인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증식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태와 초기생활사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꼬치동자개는 특정 조건에 밀집되어 개체군을 형성하며 서식밀도는 1.25개체 m-2이었고, 생산력은 200~250개 마리-1 낮아 멸종위기 상황을 시사하였다. 산란은 자연산란 유도 결과 수초에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부화한 치어는 군집생
        4,000원
        14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히어리의 자연집단과 벌채집단간의 비교는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접치재, 월등면, 황전면,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 5곳의 벌채지와 주변 자연림에 분포하는 히어리군락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100m2당 맹아수와 개체당 평균 맹아수는 벌채 집단에서 자연집단의 것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맹아수별 수고와 직경은 자연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종조성과 식생상관성은 없으며 벌채집단과 자연집단 모두에서 큰차이 없이 생육하였다. 개괄지인 벌채집단에서 근맹아 뿐만 아니라 실생묘로도 번식하였다. 이처럼 히어리는 환경적응력이 커서 인간이 훼손시킨 벌채집단에서 근맹아와 실생묘로 번식함으로써 종 자체의 소멸은 없고, 오히려 일시적인 교란이후에 개체군 확장을 보였다.
        4,000원
        14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순천시 서 면 청소골 일대에 분포하는 히어 리개체군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를 조사하였다. 히어리개체군은 계곡부와 인접한산림 가장자리를 따라 대상으로 분포하였으며,북사면,북서사면 및 북동사면에만 분포하는 특이성을 보였다. 교목층이 형성된 삼림내에서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이루고 있으며,종조성에 있어서는 히어리가 분포하지 않는 인접지 역 삼림식생과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25 m2당 평균개체수와 개체당 평균 맹아지는 각각 6.25주 및 3개로서 다른 지 역 에 비해 낮은 밀도를 나타냈으며, 이 지 역의 히어 리개체군이 쇠퇴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48.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대해 현지 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히 어리 분포는 전라남도 지역의 보성군, 광양시, 순천시 일대, 고흥군 점암면, 구례군 간전면, 장흥군 천관산, 지리산 노고단 전라북도 남원시 천황산, 지리산 뱀사골과 반야봉,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히어리 분포역에서 식물상은 70과 159속 216종 22변종 4품종 총 242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 물이 5.8%, 나자식물이 3.7%, 단자엽식물이 18.6%, 쌍자엽식물이 71.9%로 분석되었으며, 생활형별 분류에서 1년생이 1.7%, 다년생이 98.3%로 분석 되었다. 생장형 별 비교에서는 초본성이 44.2%, 덩굴성이 12.4%, 관목성이 17.8%, 교목성이 25.6%로 나타났다. 히어리 군락 분포 유형은 전형적으로 북사면, 북동사면, 또는 북서사면이었으며, 전라남도 승주읍 신전리 자생지는 교목상 숲으로 인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4,800원
        14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월악산국립공원지역에 분포하는 식물 중에서 환경부 지정의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종은 I등급에 29분류군, II등급에 12분류군, III등급에 II분류군, IV등급에 9분류군 및 V등급에 6분류군 등 총 6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II급종은 솔나리와 망개나무 2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 물은 고란초, 솔나리, 망개나무, 땅나리 , 천마, 쥐방울덩굴, 모감주나무, 흰참꽃, 미치광이 풀, 개불알꽃, 백작약 및 백리향 등 12분류군이었다.
        4,000원
        150.
        200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 considers the western/lowland bongo Tragelaphus eurycerus eurycerus to be a threatened species, and the eastern/mountain bongo Tragelaphus eurycerus isaaci an endangered species[1]. Although extinction is considered by many biologists to be a natural process during evolution, the exponential growth of the human population has drastically and prematurely reduced the numbers and genetic diversity of many species[2]. Species have evolved to adapt to a specific habitat or environment that meet their survival needs. Alteration or destruction of their habitat results in a species becoming incapable of adapting and hence becoming threatened with extinction. A widespread scientific and public consensus has emerged suggesting that governments should assign high priority to the maintenance of biological diversity via habita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ar species conservation[3]. Unfortunately, the loss of biological diversity far surpasses the available conservation resources and species are lost forever on a daily basis[4]. Notwithstanding the focus on habitat preservation and wildlife management, conservation biologists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using the technologies of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to help manage or rescue endangered species[5].
        4,000원
        151.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중국에서는 100개 이상의 식물원이 있으며, 대부분의 식물원은 희귀식물이나 멸종위기 식물의 생식질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식물원에서 현지 외 보전과 이와 관련한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1999년 REPC-CBG-DATA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데이터베이스 구축 결과에 따라 중국내 389종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보전상태를 분류하였으며, 이를 토태로 관리보전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내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보전을 위하여 각 식물원에 수집된 식물종을 대상으로 REPC-CBG-DATA를 바탕으로 각 해당 식물종의 관리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4,900원
        152.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난대상록활엽수림의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 주로 출현하는 상록수종과 생육하고 있는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에 70% 이상 공통적으로 고르게 출현하는 수종으로는 녹나무과의 생달나무, 후박나무 등 28과 34속 37종류로 파아고디었으묘, 이들 수종은 상록활엽수림의 복원모형을 만드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리라 판단된다. 면적 100m2당 종수는 보길도가 5.511로 가장 높았으묘, 미조리(4.677), 맹선리(2.481) 등의 순이었다. 관찰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물푸레나무과의 이팝나무를 포함한 4종 등 총 24과 32종이었으며 보길도에서 13과12종 1변종 등 13종류로 가장 많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파악되었다. 귀화 및 도입식물의 경우 국화과는 7종, 콩과는 5종, 자리공과는 2종을 파악되었다. 이 외에 비름과, 자작나무과, 능소화과, 명아주과, 닭의장풀과, 측백나무과, 꿀풀과, 아욱과, 분꽃과, 소나무과, 마디풀과 및 낙우송과 등 12과는 각 1종씩 총 12종이 확인되었다. 보길도의 경우 낙우송과의 삼나무 등 총 9과 13속 13종으로 가장 많은 도입 또는 귀화식물이 식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격리된 소규모 도서 생태계의 합리적인 보전을 위한 관리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4,300원
        153.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살피고, 이러한 문제점의 제시와 함께, 최근 I. U. C. N. 의 S. S. C. 에서 시안을 작성 중인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한 새로운 분류안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본 시안에 의하면 멸종종, 자생지 멸종종. 멸종위기종, 위기종, 취약종, 민감종, 안전/저위험종, 자료 불충분종 및 미평가종 등 모두 9개 분류군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시안이 더욱 다듬어지고 공식화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얼마간의 기간이 소요되리라 판단되며, 이 같은 움직임을 염두에 두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의 작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아울러 새로이 도입된 몇 가지 용어의 우리말 번역에 대해서도 앞으로 충분한 검토를 거친 후에 통일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54.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답사하여 그 생육상황을 조사하였으며, 복수초 군락 등 16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는 분류결과와 최근에 작성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기준에 따라 재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조사에서 검토된 식물 종은 복수초 군락,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왕괴불나무, 금강애기나리, 누른종덩굴, 백작약, 개불알꽃,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한라부추, 솔나리 및 감자난 등 모두 16종류였다. 이들을 I.U.C.N.의 S.S.C.에서 마련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재평가한 바 Endangered (E)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백작약,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솔나리 및 감자난 등 10종이, Critical (C)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왕괴불나무, 누른종덩굴, 개불알꽃, 한라부추 등 4종이, Vulnerable (V)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복수초와 금강애기나리 등 2종이었다. 상기의 구분은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알려져 있는 구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식물종들의 관리보전계획을 위해 앞으로 더욱 검토, 보완되어야 하리라 판단된다. 덕유산 국립공원내에 생육하고 있는 보전대상 특정식물은 주로 등산로변이나 개발계획지 등지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서 앞으로 더욱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55.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velop seminal propagation method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by conducting a rigorous germination study. Well-selected seeds were dry-stored at 4 ± 1.0℃ during the experiment. To study dormancy type, non-stored seeds were analyzed by embryo observation, germination test and detecting for any difficulties in seed coat to absorb moisture. Then to improve germination, seeds were submerged for 24 hours in a solution of varying concentrations containing one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minerals. According to research, fleshly matured seeds had an undifferentiated embryo and had a low germination rate below 5%. In addition, water submersion led to moisture absorption, embryo in the seeds grew and germinated so it was deemed morphophysiological dormant seeds. Percent germination (PG) and germination energy (GE) was greatly improved by soaking in plant growth regulators and minerals for 24 hours. Especially, 500 ㎎/L GA3 treatment resulted in the highest GE as 46.1%. KNO3 meaningfully improved PG (54.3∼57.7%) at 10∼20 mM but effect of minerals on germination acceleration as GE were negatively impacted in all concentrations.
        156.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lomeres at the end of the eukaryotic chromosomes consist of tandem repeats of (TTAGGG)n DNA sequence and shelter in protein complex. Telomeres have the essential functions in chromosome stability and genome integrity and are hence related to cell senescence and cancer. Stripped, Black and White Cattle (Endangered Korean Native Cattle) characterized by their coat color, live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y are endangered, with very small populations remaining. To investigate the karyotypic pattern of chromosome and also to quantify the amount of telomeric DNA was carried out from the traditional Korean beef cattle species, HanWoo and endangered cattle bull. We quantified the amount of telomeric DNA by the Quantitative-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FISH) technique using the telomeric DNA probe and chromosome analysis of lymphocytes was carried out using GTG-banding in 9 bull at age of 18 months. In results, we found that the normal (60, XY) male karyotype were detected in metaphase chromosomes from korean native cattle including Hanwoo, Stripped, Black and White catt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ve amount of telomeric DNA among the korean cattle bull. However, the relative amount of telomeric DNA of Hanwoo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White cattle.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ed karytype and the amount of telomeric DNA which could serve as baseline information for comparison in conditions of physiological and health status of endangered Korean native cattle. Although we have no definitive explanations as to why this occurs,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continue investigation of these animals throughout their life spans.
        15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lant Empetrum nigrum, valued in the traditional system of medicine, is well known for its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the present work, the effect of removal of shoot apical meristem (SAM) on shoot proliferation was studied. It was observed that removal of SAM promoted shoot proliferation whereas intact tip resulted in higher survival percentage. Further,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A on above was also studied. During root formation the effect of light quality after treatment with IBA was investigated. For rooting, continuous red light without IBA resulted in maximum rooting percentage. The above factors when taken into consideration during micropropagation of this endangered plant can result in healthier plantle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pecies could be successfully conserved by in vitro propagation system.
        160.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멸종 위기에 처한 침팬지에서 연중번식주기와 무월경, 번식주기, 임신진단을 포함한 번식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형광항체 분석법을 사용하여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호르몬 대사산물과 인간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침팬지의 번식능력은 연령이 번식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니며, 개체별 번식능력의 차이, 산과질환의 유무, 배우자와 합사한 조건에서 나타나는 성적행동의 차이 같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