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6

        14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성숙 돼지난자가 체외성숙배양액인 TCM-199과 NCSU-23배지에서의 배양상태를 비교하였고, 체외성숙용 TCM-199배지에 Earle'ssalt와 Hank's salt의 첨가에 의한 세포분화와 배발달 상태를 각각 조사하였다. 1. TCM-199와 NCSU-23 배양액에 각각의 supplement를 첨가하여 5% 조건하에서 체외성숙을 유기한 결과, TCM-199 배양액에서 유의성(p<0.05)이 검증되었다. 2. 체외성숙용 TCM-199배지
        4,000원
        142.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steamine addition during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culture of porcine oocytes. Oocytes were matured for the first 22 h in mTCM -199 media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150 μM cysteamine. They then were matured for an additional 22 h in mTCM-199 media without hormones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150 μM cysteamine. When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matured in the mTCM-199 media supplemented with cysteamine, the rates of GVBD and maturation (metaphase Ⅱ) were enhanced as compared to the media without the addition of cysteamine. Also, when COCs were matured in the mTCM-199 media supplemented with cysteamine, the rates of sperm penetration, male pronucleus formation,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enhanced as compared to the media without the addition of cysteamine.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oocytes matured for the first 22 h in mTCM-199 media supplemented with 150 μM cysteamine increased the rates of metaphase Ⅱ, sperm penetration, male pronucleus and blastocyst formation were higher as compared to the media without addition of cysteamine.
        4,000원
        144.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체외배양액에 황화합물인 β-mercaptoethanol(β-ME)을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NCSU-23 배양액에 β-ME를 각각 0, 25, 50 및 100μM 첨가배양하여 성숙을 유기한 다음,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 정자침투율, 웅성전핵형성률, 다정자침입률 및 평균침입정 수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P>0.05). 2. 체외성숙 및 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 배양액인 NCSU-23에 7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 형성률은 25μM의 β-ME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3.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β-ME를 각각 0, 12.5, 25 및 5μM 첨가하고 5 및 20%산소조건 하에서 7일간 배양한 결과, 처리구별 산소농도에 따른 배발달률 및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유의 적 인 차이가 없었으나, 25μM β-M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총세포수에서는 처리구 및 대조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 및 배발달시 황화합물인 β-ME의 첨가는 25μM이 가장 적합하며, 산소농도에 따라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45.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난포란의 체외배양액에 황화합물인 Catalase 첨가 및 저분압산소조건 하에서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0.9mM cy-steine이 함유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1s/m1 첨가하여 체외성숙 및 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평가요소에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수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P>0.05). 2.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7일 동안 배양한 결과,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성숙시 CAT 첨가배양은 배발달에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다(P>0.05). 3.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ts/m1을 첨가하고 5 및 20% 산소농도하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한 결과,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CAT 첨가에 따른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을 이용하여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때, NCSU-23 배양액에 catalase의 첨가 및 산소조건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46.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활성화를 통한 수핵란의 대량확보를 위해 44시간동안 체외 성숙된 돼지 난자를 ethanol, Ca/sup 2+/-ionophore, 6-DMAP 및 cycloheximide의 화학물질들을 사용하여 단위발생을 유기한 후 그들의 가장적합한 처리농도 및 노출 시간을 규명하였다. 1. Ethanol은 10%, 10분 처리가 전핵형성율, 난할율 및 배발달율에 있어 각각 약 53.4%, 51.6%, 그리고 39.9%로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판명되었다. 2. Ca/sup 2+/-ionophore 가장 적합한 난활성화 조건은 25μM에서 2분간 처리한 것이며, 전핵형성율, 난할율 및 배발달율은 각각 약 59.7%, 62.2%, 그리고 43.9%를 보였다. 3. 6-DMAP를 처리하여 돼지 난자의 활성화를 유기하였을 경우 2mM의 농도에서 각각 약 57.3%, 58.4% 및 29.0%의 전핵형성율, 난할율, 그리고 배발달율을 보여 가장 적합한 조건을 보였으며 2시간∼4.5시간 사이의 노출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Cycloheximide는 5㎍/ml의 농도가 전핵형성율 2.1%, 난할율 47.7%, 배발달율 31.8%로 가장 은 효율을 보였고, 노출시간에서는 4시간∼6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60.5∼65.8%, 63.6∼66.7% 및 39.0∼39.5%로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돼지 체외 성숙 난자의 활성화에 있어 각 화학물질들의 적합한 조건을 바탕으로한 중복처리 및 병용처리 조건 확립 및 효율적인 수핵란의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147.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성숙, 성숙 단계의 돼지 난포란이 유리화 동결에 의한 동결보존이 가능한지를 조사 하고자 실시하였다. 난포란은 세포질 내 지방구를 분극시키기 위해 원심분리를 실시하였고, 미세조작기를 이용하여 지방구를 제거하였다. 돼지 난포란을 CB 처리하여 원심분리 후 지방구를 제거한 지방제거구(Delipated), CB 처리 후 원심분리만 하여 지방구를 분극시킨 원심분리구(Centrifuged), 아무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를 EM grid
        4,600원
        14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mbryos derived from pig oocytes matured in mSOF are able to develop to blastocysts after IVF. Experiment 1 evaluated the effects of two maturation media (TCM-199 vs mSOF) on maturation rate, fertilization parameters, including penetration, polyspermy, male pronuclear formation, and the mean number of sperm penetrated per oocyte. Experiment 2 and Experiments 3 examined the effects of two maturation media on zona pellucida solubility and cortical granule distribution by transmissible electron microscopy, respectively. Experiment 4 assessed the effects of two maturation media on the in vitro embryo cleavage rate and development to blastocyst. Lastly, experiment 5 examined the cell number of blastocyst. An effect of media (P<0.05) was detected for mSOF on the mean number of sperm per oocyte. In TCM group, zona digestion time (196.515.5 vs 131.620.1 before IVF, 397.530.3s vs 185.316.4s after IVF, p<0.05) was higher in TCM-199 group. No significant effects of media was observed on cortical granule distribution between two groups by TEM. An effect (P<0.05) was observed on embryo development to blastocyst (16% vs 8%) but not on cleavage rates. No significant effects of media was observed on total cell number of blastocyst. We found that the high mean number of sperm penetrated per oocyte and the weaker zona pellucida on the basis of the digestion time was shown in pig oocytes matured in mSOF, however, porcine oocyte maturation with supplemented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 (mSOF) resulted in blastocyst cell numbers comparable to those observed with Tissue Culture Medium 199.
        4,200원
        14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vitrification방법을 사용하여 돼지 미수정란의 동결-융해시 난자생존능력에 대한특정 동해방지제 사용과 superoxide dismutase(SOD) 첨가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미성숙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DMSO 노출 후 성숙율(M-I에서 19.9%)이 glycerol과 DMSO 노출 후 성숙율(M-I에서 6.5%)보다 더 높았으며 ethylene glycol에 노출 후에는 M-I기로 성숙발달한
        4,000원
        152.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dvantages of the OPS techniques(Vajta G et al, Mol Reprod Dev 51: 53-58,1998) give 1) high survival rates of various types of eggs, 2) quick and simple process, 3) inexpensive equipment and reduced chilling injury. The efficiency of IVM/IVF technique in the porcine species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btained in other species such as ruminants. Two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vitro fertilization of porcine oocytes matures using different OPS protocol for chilling and warming of vitrification. Porcine oocytes from ovaries collected at abattoir were matured for 44 hours in TCM199 Earle's salt supplemental with pyruvate, pff, L-cysteine, hormones and gentamycin. Oocytes were denuded and fertilized with frozen boar semen by common method. Porcine embryos produced routinely by in-vitro culture system of NCSU23 medium. The vitrification and the warming were conducted by OPS method with the glass micropipette instead of straw vessels and modified the protocol of G.Vajta(1999). In Exp 1, Chilling/Warming:Holding Medium(HM)+EG+DMSO/HM +sucrose Medium(SM) at 39 warm stage. In Exp 2, : PBS+CS+EG+Ficoll+ Trehalose/PBS+Trehalose at 25 stage. Filling, freezing, packing, thawing out and further culturing were performed to follow the basic protocol of G Vajta. During IVM-lVC and post-warming, fertilization parameter and developmental potential were compared to and statistically analysed.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xp 1 and Exp 2 but 25 of stage was slightly higher on the morula/blastocyst forming rate and better atmosphere for worker than that at 39 stage.
        153.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ansgenic animals production tools have been valuable for research and purpose. The current methods of gene transfer, microinjection and nuclear transfer, which are widely used in transgenic animal production, but all most methods has only had limited success in production of larger species. Here, we report the possibility of a sperm-mediated gene transfer method in porcine embryos. Oocytes were collected from ovaries harvested at a local slaughterhouse were matured in 500 drops of TCM-199 under mineral oil at 38.5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5%CO2 in air. After 42-43h of in vitro maturation oocytes were denuded. for sperm injection into the cytoplasm of the porcine oocytes, sperm suspension in NIM medium are subjected extraction with TritonX-100 before mixing with a green fluorescent gene (GFP). Sperm with Tritonx-100 were prepared by adding TritonX-100 to a final volume of 0.05% in the sperm suspension and mixing by trituration for 60s before two wishes in NIM medium at 2. A(ter wishing, sperm were mixed with TritonX-100 at followed by washes at 2. Sperm were resuspended in ice cold NIM to a final volume of 400 and 2-20ng/ DNA were triturated on ice for 60s. All microinjection was performed in HEPES-buffered CZB medium at room temperature within 2h. After culture in NCSU-23 for 72h, percent of porcine embryos transfected GFP gene are 20.7%(6/29) in 20ng/ sperm-DNA mixed group and other groups were 3.7 %(2/54)and 4.7%(3/67). These data suggests that sperm-mediated gene transfer method should be used to the production tool of transgenic pig efficiently.
        160.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배양액에 superoxide dismutase(SOD)를 첨가배양하여 체외성숙과 수성이후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산소농도 및 SOD가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 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NCSU-23에 SOD를 각각 0, 100,500 및 1,000uni1s/m1 첨가하여 성숙시킨 다음,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핵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