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16

        16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적은 양의 쌀 섭취로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다이어트용 벼 개발을 위한 교배모본 탐색을 위하여 국내 육성품종과 유럽 벼의 취반 후 미립의 길이 신장 및 체적변화를 조사한 바, 1. 취반 시 미립의 길이방향 신장율은 국내 육성 자포니카 품종이 192.4%(8.57 mm)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통일형 품종 (171.4%, 8.88 mm)이었으며 유럽품종과 인디카 품종은 157% 로 비슷한 경향이었다. 2. 미립의 신장지수는 국내 자포니카 품종이 1.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럽품종과 국내 통일형 품종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3. 품종군 별 취반 후 미립의 신장율 분포는 국내 자포니카 품종의 경우 190~200% 구간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럽품종은 150~160% 구간이 가장 높았다. 4. 국내 육성 품종 중 취반 후 미립의 신장율이 높았던 품종은 ‘드래찬’, ‘오대’, ‘삼광’ 등 9품종이었으며 낮았던 품종 은 ‘남평’, ‘운광’ 및 ‘아로미’였다 5. 유럽 품종은 터키 품종인 ‘Hamdazere’가 210%로 미립의 신장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탈리아 품종인 ‘Musa’, ‘Elio’ 및 ‘Nembo’도 180% 이상의 신장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16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 ‘흑타리’ 품종의 배양 중 고온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미발이 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온도에 따른 생육차이를 조사하였다. PDA 배지에서‘흑타리’의 적정생육온도는 23~26 ̊C였고, 균사생장속도는 ‘춘추2호’에 비하여 빠른편이었다. 병내 배지온도는 초기에 상승하여 배양 중반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온도가 하강하였다. 배양 온도가 높을수록 배양기간은 짧아졌다. 배양온도 20 ̊C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5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1.8%, 수량은 139.4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24 ̊C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0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4.2%, 병당수량은 132.1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16 ̊C와 28 ̊C처리구에서는 미발이율이 증가되었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농가에서 배양온도와 미발이율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배양실 온도를 18 ̊C로 설정하고 배지품온을 28 ̊C 미만으로 관리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0.3~0.8%를 나타내었다. 배양실내의 온도가 20 ̊C 이상이며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농가에서는 미발이율이 3.5% 정도 발생되었다. 배양실 온도가 19 ̊C이며 배지 최고 품온이 31.3 ̊C까지 상승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8.2%로 높게 나타났다. 배양중 병내부 온도가 28 ̊C이상 상승하고 배양실내의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발이율이 증가하고 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배양실은 배지품온이 28 ̊C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배양실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고, 배양공간에 맞는 최적의 배양량을 넣어 관리하여야 한다.
        4,000원
        16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ference and quality satisfaction of new strawberry cultivars, ‘Kingsberry’ and ‘Kuemsil’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that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strawberri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412 consumers for two new strawberry cultivars in Bangkok, Thailand. The findings showed that consumers have higher level of quality satisfaction for ‘Keumsil’ than ‘kingsberry’ and prefer ‘Kuemsil’ slightly more than ‘Kingsberry’. As to the predi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strawberries, ‘Kingsberry’ was foun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urchase when improving sweetness, hardness and flavor. In the case of ‘Kuemsil’, improving the flavor, scent and juice could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urchas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xport promo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various strawberry cultivars with improved sweetness and hardness and to develop strawberry packages with the various prices. It is important to use same brand name and logo design to cope with the distortion of strawberry preference caused by consumer’s confus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trawberry cultivars.
        4,300원
        16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iscrimination 12 different cultivar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Sorghum genus) seed through 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S). The amount of samples for develop to the best discriminant equation was 360. Whole samples were applied different three spectra range (visible, NIR and full range) within 680-2500 nm wavelength and the spectrastar 2500 Near near infrared was used to measure spectra. The calibration equation for discriminant analysis was developed partial least square (PLS) regression and discrimination equation (DE) analysis. The PLS discriminant analysis model for three spectra range developed with mathematic pretreatment 1,8,8,1 successfully discriminated 12 different sorghum genus. External validation indicated that all samples were discriminated correctly. The whole discriminant accuracy shown 82 ~ 100 % in NIR full range spectra.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NIRS combined with chemometrics as a rapid method for discrimination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cultivar through seed.
        4,000원
        16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eed productivity of the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Lam.) varieties sown in the spring in Gangwon region. The experiment was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Experimental field was located in alpine areas of about 600 m above sea level in Gangwon province. The tested Italian Ryegrass varieties were ‘Greenfarm’, ‘Greencall’ and ‘Kowinearly’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Italian Ryegrass varieties were sown on March 26, 2020, and the harvest was on the 60th day of mean heading date, July 2. The heading date of Kowinearly was May 8, but Greenfarm and Greencall was May 4. The plant length was the largest in the Kowinearly variety. However, the Kowinearly suffered severe lodg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of spike among varieties, and the number of seeds per spike was the lowest in Greenfarm at 118.5 seed/spike. As for the seed weight per spike, the Greenfarm variety was significantly lower at 0.56 g/spike, but the 1,000 seed weight was the heaviest in the Greenfarm at 2.5g.. The number of spike per unit area was the highest in Greenfarm at 906/m2. The dry matter content of seeds was the highest in Greenfarm at 54.3%, and for straw, Kowinearly was the highest at 35.3%. Seed productivity was not significant among varieties, and the average was 1,493 kg/ha. The yield of straw after seed production was also not significant among varieties (P>0.05), and the average was 3,172 kg/ha. From the above results, the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seeds through spring sowing in the Gangwon region is not much than autumn seeding, requiring the input of various technologies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future, and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production cost through economic analysis was judged.
        4,000원
        16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와 아시아계 이민 증가 그리고 수출시장의 성장으로 호주에서 감의 수요는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호주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인 ‘부유’, ‘차랑’은 수확시기가 한정되어 있어 호주의 미래 감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1. 수확시기가 다양한 단감 품종 도입을 희망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한국에서 개발된 단감 품종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2. 현재 국내에서 개발된 ‘판타지’와 ‘감풍’은 호주에 품종보 호출원 되어 현지 적응성 시험을 추진 중에 있으며, ‘원미’, ‘원추’ 품종은 품종출원 중에 있다. 3. 이들은 품질이 우수한 조·중생종 품종으로 앞으로 호주 감 산업의 주력 품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3,000원
        16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배추는 짐바브웨 소규모 농가의 음식, 영양 및 소득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엽채류 중의 한가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2종의 한국산 양배추 품종(K5 적보라색과 K8 녹색)이 짐바브웨의 열대성 기후에 적응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현지 생산 품종인 Fabiola과 생산성(yield), 조숙성(earliness) 및 연도 (tenderness) 등의 특성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2017년 짐바브웨 과학산업연구개발센터(SIRDC, Scientific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의 시험포장에서 격리 상태로 5반복 실험으로 진행되었다. 1. 품종별 재배 기간은 현지 품종인 Fabiola가 85-90일, K5 품종이 120-140일 및 K8 품종이 100-120일 정도였다. 2. 양배추 두부 무게는 K8가 Fabiola와 K5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흥미로운 점은 K5 품종의 경우 타 품종에 비하여 무게가 2-3배 적었다. 3. K8은 35 ton/ha로서 K5의 18과 Fabiola의 25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판매 가능한 양배추 생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K8과 K5 두 한국 양배추 품종 의 생산성, 재배기간 및 품질 특성 등을 현지 품종인 Fabiola 와 비교한 결과 열대성 기후인 짐바브웨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상품성 또한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16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ED 광원의 파장이 분화 국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2℃ 항온조건에서 주간 11시간, 야 간 13시간의 광주기로 조절된 폐쇄형 식물생장상에서 7주간 단일상태로 재배된 ‘오렌지에그’ 품종의 생육 및 개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LED 인공광원은 청색광(444nm), 적색광(652nm), 그리고 청색광과 적색광, 백색광이 각각 2:5:1로 조합된 혼합 광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분화 국화 ‘오렌지에그’ 품종의 초 장은 적색광에서의 평균 9.43cm로 가장 길었으며, 청색광이 혼합광에 비해 짧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초폭과 엽폭은 초장에 대한 생육반응과 유사하게 적색광에서 가장 크게 신장하였고, 청색광과 혼합광에서는 유의적인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엽수와 엽장은 혼합광보다 청색광과 적색 광 등 단색광에서 더 많고 길었다. 분화 국화 ‘오렌지에그’ 품 종의 개화특성의 경우에는 청색광과 적색광, 혼합광 모두 단 일처리 16~17일 이후에 화아분화가 완료되어 발뢰가 시작되 었으나, 적색광과 청색광 하에서 생육한 국화는 화아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개화까지 이루어지지 않았 고, 혼합광 하에서 생육한 국화만 단일처리 5주 후에 정상적 으로 개화되었다. 따라서 식물공장에서 분화 국화를 생산하기 위한 인공광원으로는 청색광과 적색광, 백색광으로 구성된 혼 합광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리라고 판단된다.
        4,000원
        174.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properties of soybeans and the antioxidants, isoflavones,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ermented black soybean products (FBSP). After 24 hours of fermentation, the range of water uptake ratio was 129.00-131.30%,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s content a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r in Cheongja-3 FBSP, flavonoids in Socheongja, whil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milar in Cheongja-3 FBSP. Isoflavone contents of aglycones (daidzein, genistein, and glycitein) in Cheongja-4 FBSP increased up to 41.97 μg/g. The rank order of primary organic acids was citric acid > fumaric acid > acetic acid > lactic acid, with Cheongja-3 FBSP being the highest.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34 volatile aroma-compounds, including seven alcohols, seven acids, seven ketones, five phenols, two esters, one furan, four pyrazines, and one miscellaneous. The result could be applied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cultivars and the quality of the process used for fermented soybean products.
        4,000원
        175.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the amygdalin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sil chung prepared with different maesil cultivars. Maesil fruits were sugared for 3 months, aged for 3 months after the liquid separation, and heat treated at 75oC for 30 min. Amygdalin in maesil chung generally peaked at the second month of sugaring and gradually decreased until three months of sugaring. During the first month of aging, amygdalin dramatically decreased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by additional aging for two months. For the end-use maesil chung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the amygdalin content ranged from 68.5 to 179.4 ppm, the soluble solid content from 58.8 to 62.3 oBrix, and the 5-HMF from 3.5 to 13.4 ppm. Their color characteristics exhibited a brightness of 26.8-27.6, a redness of 9.4-10.5, and a yellowness of 5.3-6.9. Their total sugar content was in 34.2-44.7%, consisting of 1.8-2.1 mg/mL glucose, 1.6-2.0 mg/mL fructose, and 1.3-1.9 mg/mL sucrose. Only m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detected in the enduse maesil chungs. While the trace amounts of Na and Fe were found, K, P, and Ca were relatively rich.
        4,000원
        176.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가정간편식 시장은 2011년 이후 급격히 성장하였으며, 2021년에는 7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레토르트와 냉동식품을 기반으로 형성된 가정간편식은 다양한 기술 발전에 따라 진공포장식품, 무균포장식 품, 진공동결건조식품 등 여러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진공동결건조식품은 식품 내 수분을 동결시 킨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승화의 원리로 수분을 제거한 식품으로 열에 민감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시키는 장 점이 있다. 또한 식품 고유의 향미 손실이 적고 복원성이 우수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가공 기술이다. 한편 2000 년대 죽 전문점이 등장하면서 다양화되기 시작한 죽은 가정간편식 시장 발전에 따라 통조림이나 레토르트, 건조 죽 등으로 개발되어 활발히 소비되고 있다. 가정간편식 죽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곡물인 쌀은 품종에 따라 영양성분 및 호화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최종 죽 제품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 간편식 죽 제조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자 여러 쌀 품종 중 진수미와 삼광미의 이화학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품종의 일반성분, 색도, 수분흡수율, 수분결합력, 팽윤력, 그리고 용해도를 측정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 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 (L), 적색도(a), 그리고 황색도(b) 모두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수분흡수 율 측정 결과, 삼광미가 20.14%, 진수미가 18.42%의 값을 나타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분결합력 측정 결 과, 진수미가 170.86%, 삼광미가 164.45%로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팽윤력 측정 결과, 팽윤력은 진수미가 1.37%, 삼광미가 1.46%로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용해 도 측정 결과, 진수미가 6.97%, 삼광미가 6.30%로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0.05).
        177.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alue of using rice flour processed into rice powder in preparing porridg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pH, total starch, reducing sugar, and color conten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ice flour and the pH of porridge made with rice flour were measured. Rice flour contained 77.55% moisture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rridge made from rice flour processed into rice powder was 91.40 to 92.47%. The pH of rice flour porridge was acidic at 6.53 to 6.95. The color of the porridge was also measured. The L* values ranged from 82.62 to 97.55, the a* values ranged from -0.09 to 0.08, and the b* values ranged from -2.74 to 1.91.
        3,000원
        178.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품종 선택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설향’ 품종을 선택하였다. 자료는 2016년 6월 30일부터 10월 12일까지 산청, 진주, 논산 등 딸기 주산지역 농가 177명으로 부터 수집하였다. 딸기 재배농가의 품종 선택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위하여 첫째 9개의 변수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Kaise-Meyer-Olkin(KMO) 검증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하여 9개의 변수 중 6개를 선택하였다. 둘째, 재배 편리, 병해충, 수량, 판매용이, 소비, 소득의 6개 문항을 활용하여 중요도 만족도(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량과 소득은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높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나가야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병해충 요인은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낮아서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할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재배편리는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장기개선영역으로 나타났다. 판매용이, 소비는 중요도는 낮지만 만족도는 높아서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다른 분야에 투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