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3

        165.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sstige collaborations, temporary collaborations among fast fashion and luxury brand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Despite this, no research so far has analyzed consumers’ reactions towards this new fashion practic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motions and relevant linguistic elements associated with consumers’ reactions to masstige collaborations.
        4,000원
        167.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s been debate in popular media on brands that used other cultures’ elements in their advertising (Green & Kaiser, 2017). For example, the Dutch brand “Rituals Cosmetics” attempted to promote their Asian-inspired product lines called “Samurai” and “Namasté” by hiring a Caucasian model dressed in a supposedly traditional Asian costume, while posing in a Chinese temple-like setting (Peters, 2018). Because the company’s European origin and the ethnicity of the model did not align with the Asian setting, props and apparel, this marketing activity can be considered an act of cultural appropriation. The advert has since sparked controversy on social media as cultural exploitation or unethical cultural appropriation (Bryanboy, 2018). To avoid such controversy, marketers need to achieve cultural sensitivity while effectively managing culturally overlapping situations (Usunier & Lee, 2005; De Mooij, 1998). A mismanagement of cultural appropriation is potentially eliciting a negative customer response. Hence, it is integral to understand how do customers respond to culturally appropriated elements in advertisement?
        4,000원
        172.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uxury market has become a prevalent global economic sector which is estimated to reach $442 billion by 2025 (Arienti, Levato, Kamel, & Montgolfier, 2018). Sales revenue in the luxury market has grown not only in the US and EU, but also in emerging economies with rapid economic expansion, such as China and India (Shukla, 2010; Tynan, McKechnie, & Chhuon, 2010). Young consumers (i.e., millennials and Gen Z) comprise the fastest growing group of purchasers of luxury goods (D’Arpizio, Levato, Prete, Del Fabbro, & de Montgolfier, 2019). Subsequently, marketers are interested in factors that affect young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in luxury fashion goods consumption. It is a challenge for marketers to appeal to young consumers because abrand or brand name is less important to them than it has been for older generations (Forte, 2019). Country-of-origin (CoO) is relatively important for luxury purchase compared to non-luxury purchase (Godey et al., 2012). In the context of luxury brand consumption, research suggests that attitude functions (social-adjustive, value-expressive, hedonic, and utilitarian) also have an impact on luxury purchase intentions (Schade, Hegner, Horstmann, & Brinkmann, 2016). This study thus investigate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luxury brand purchase among young consumers. Specifically, we draw from “Functional Theories of Attitudes” (Grewal, Mehta, & Kardes, 2004) as a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 on consumers’ attitude functions and luxury brand purchase intentions.
        3,000원
        173.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9년 경기도내 전통시장, 대형마트, 반찬전문점에서 수거한 반찬류의 미생물 품질을 조사하였다. 반찬류 108 건의 식중독 원인균을 검사하였고, 그 중 75건에 대해서는 구매 장소별, 조리 방법별 위생세균 검사를 진행하였 다. 14건(12.9%)에서 Bacillus cereus가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94건에서는 식중독 원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위생 세균 검사에서 일반세균의 평균 검출량(범위)은 전통시장이 5.8 log CFU/g (3.0-8.2 log CFU/g), 대형마트는 4.3 log CFU/g(2.3-7.8 log CFU/g), 반찬전문점에서는 3.8 log CFU/g (0.0- 6.9 log CFU/g)로 나타났으며, 구입 장소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Ρ <0.05). 전통시장의 일반세균수와 대장균 군은 대형마트, 반찬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생채류, 나물류, 볶음류, 젓갈류, 조림류 순으로 일반 세균수와 대장균군이 높게 검출되었다. 콩나물 무침의 보 관온도별 일반세균수의 변화는 냉장보관(4oC)에서는 72시간 경과에서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상온보관(20oC) 및 고 온보관(35oC) 시 구입 후 각각 9시간, 6시간 경과 시 부패의 가능성이 제기되어 구입 즉시 냉장보관 할 것을 권장하며, 제품을 판매하는 시설에서도 냉장보관을 하여야 할 것이다.
        4,000원
        17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행정선 추자호는 제주시 추자군도 내 유인도서를 운항하는 유일한 교통수단이다. 추자호는 선령이 관공선의 내구연한인 25년이 지나서 안전을 위해 대체 건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추자도에는 응급환자 발생 시 제주시까지 해상수송 수단이 없어서 추자도 주민들은 의료선 기능을 갖춘 행정선으로 대체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자도 행정선의 대체건조를 위해 행정선이 수행해야 할 기능을 조사하고, 그 기능의 수행에 적합한 대체 행정선의 개념설계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운항 현장조사 및 선박이용자와 관계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용자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대체 행정선이 의료선 기능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 하고, 의료선 기능을 갖춘 행정선의 개념설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방정부의 행정선 대체 건조사업의 예산편성을 위한 검토 및 선박기본설계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서지역 주민의 교통안전 향상 및 의료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75.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충남지역에서 생산, 출하되는 수산물에 대해 잔류동물용의약품 실태를 조사하였다. 수산물 115건을 대상으로 식품공전 수산물 중 동물용의약품 동시 다성분 시험법으로 분석이 가능한 29종의 잔류동물 용의약품을 분석하였다. 115건의 수산물 중 9건에서 6종의 잔류동물용의약품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률은 7.8%이었다. 검출된 잔류동물용의약품은 옥소린산, 엔로플록사신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시프로플록사신, 설파디아진, 플루메퀸,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이 각각 검출되었다. 미꾸라지 검체 1건에서 엔로플록사신이 잔류기준을 초과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그렇지만 잔류 동물용의약품 검출률이 높아지는 추세이고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4,000원
        176.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지재해는 1차적으로 산지사면에서 산사태가 발생되어 2차적으로 계류를 따라 토석류로 이동 및 확산되면서 산지 하부지역의 시설지와 주거지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의 토석류 발생지 79개소를 조사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한 발생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고, 수량화이론(I)을 이용하여 발생 길이에 대한 각 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통해 예방적인 측면에서 전라북도 지역 내 토석류 발생 위험지역에 대한 예측기준을 작성하였다. 토석류의 발생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모암(화성암), 횡단사면(복합사면), 입목 흉고직경(6cm 이하), 표고(501m 이상), 발생위치(산록) 등이었다. 각 인자의 범위를 추정한 결과, 모암(0.5633)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전라북도 지역의 토석류 발생 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횡단사면(0.4565), 사면위치(0.3568), 흉고직경(0.3274), 표고(0.3052)순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 지역 산지에서 토석류 발생 위험도 판정식을 기준으로 5개 인자의 카테고리별 점수를 계산한 추정치 범위는 0점에서 2.0092점 사이에 분포하였다. 중앙값인 1.0046점을 기준으로 토석류 위험도 예측을 위한 등급을 분류한 결과 Ⅰ등급은 1.5070 이상, Ⅱ등급 1.0047 ∼ 1.5069, Ⅲ등급 0.5023 ∼ 1.0046, IV등급 0.5022 이하로 나타났고, Ⅰ등급과 Ⅱ등급에서 토석류 발생비율이 76%로서 비교적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판정표는 전라북도의 산지에서 지역의 위험 비탈면에 있어서 토석류 발생 위험도 판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