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9

        161.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과채류의 포장실태를 조사하고, 포장방법 을 달리한 토마토 및 파프리카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 하였다. 포장실태조사는 서울에 소재한 백화점, 대형할인 마트, 동네슈퍼마켓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주로 골판지 상자, PP, LDPE, PS, PVC 등의 재질로 포장되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포장형태별 품질변화 를 측정하기 위하여 토마토는 골판지 상자+PP film, PP film bag, 파프리카는 PP film bag, 스티로폼 tray+PVC film wrapping 형태로 포장한 후 상온저장하며 품질변화를 측정 하였다. 저장 48시간 후 포장하지 않은 토마토와 파프리카 의 중량감모율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경도 는 저장 중 감소하였다. 골판지 상자로 포장한 토마토는 저장 중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던 반면, pH값은 처리구 중에서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 었다. 토마토는 골판지 상자+PP film, 파프리카는 PP film bag으로 포장한 경우 저장 중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었다.
        162.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농촌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현상, 도농소득격차의 심화로 농촌의 부정적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농업부가가치 및 농 가 소득이 정체되는 것을 타파하기 위해 농업 6차산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농업 6차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이에 대한 발전전략 연구를 위해서 농업 6차 산업의 개념과 의미를 정의하고 농촌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농 촌산업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본의 성공적인 6차 산업의 현황과 포장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한 후 농촌산업의 활성 화를 위한 6차산업 발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 6차산업의 기대효과는 농업의 고부가가치화, 농가소득 증대, 농촌경 제 활성화를 위한 6차산업화와 농촌산업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가공, 제조, 체험, 관광, 숙박, 농가레스토랑, 판매 등 모든 분야가 융.복합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상품판매를 위한 포장디자인은 농산물 소비량 증대와 농촌경제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163.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단 배추의 포장재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알아보 기 위해 배추(3×3 cm)를 PP film, OPP film, LDPE film백에 각각 넣은 후 5℃에서 4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량은 0.03~0.24%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가장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 분 함량은 0.03~0.2°Brix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모든 처리구 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PP film과 OPP film 포장구의 증가율이 낮았다. 색도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포장재에 따른 유의 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포장재 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관상 품질 특성은 PP film 포장구가 다른 포장보다 우수하였다. 따라 서 투명한 PP film으로 절단배추를 포장하여 저장 및 유통 하는 것이 선도 및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166.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무역환경 변화에 따라 경쟁력이 열악한 국내 농산물 시장은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시장이 세분화되고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지며 농산물 제품도 품질, 기능, 가격 등의 경쟁력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시장 변화에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 기존 농산물과 차별화된 독창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농산물 마케팅이 중요 과제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농업 마케팅 분야에서 포장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며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 생산물 중계란 포장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소비자가 기억할 수 있는 브랜드네이밍, 구매 욕구를 유발시킬 수 있는 포장디자인 콘셉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온라인 판매용으로 개발되는 계란 포장디자인은 브랜드네이밍이 매우 중요하며 유통과정에서 제품의 운반, 보호를 위한 기능까지도 고려하여 하기 때문에 조형성, 기능성, 심미성, 합목적성으로 제작, 설계된 디자인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167.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팽이버섯은 타 작물에 비해 수확 후 호흡률이 높아 갈변, 경도감소, 부패 등이 수확 즉시 진행되는 작물이다. 이러한 팽이버섯을 장기간 유통하기 위해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법은 진공 포장하여 저온 저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팽이버섯의 포장 후 유통기간을 연장에 더욱 적합한 진공필름을 선발하기 위해 20μm두께의 PE+PP, OPP 및 LDPE 필름으로 진공 포장하여 유통온도인 10℃의 저온에서 2주간 저장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되는 LDPE 필름이 갈변, 줄기신장, 호흡률 급변, 조직 연화와 같은 변질이 포장 후 7일 이내로 가장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OPP 필름보다 PE+PP가 수일 더 일찍 해체되기 시작하여 갈변 현상이 먼저 발생하였다. 최종적으로 OPP 필름이 안정된 호흡률과 외부색도, 신장억제 현상이 유지되어 LDPE 필름 포장군의 저장 7일차에 발생된 부패율보다 7일이 지연된 저장 14일차에 나타났다.
        16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dTe 멀티에너지 X선 영상센서와 ROIC를 패키징 하기 위한 flip chip bump bonding, Au wire bonding 및 encapsulation 공정조건을 개발하였으며 성공적으로 모듈화 하였다. 최적 flip chip bonding 공정 조건은 접합온도 CdTe 센서 150℃, ROIC 270℃, 접합압력 24.5N, 접합시간 30s일 때이다. ROIC에 형성된 SnAg bump의 bonding이 용이하도록 CdTe 센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접합온도를 설정하였으며, CdTe센서가 실리콘 센서에 비하여 쉽게 파손되는 것을 고려하여 접합압력을 최소화하였다. 패키징 완료된 CdTe 멀티에너지 X선 모듈의 각각 픽셀들은 단락이나 합선 등의 전기적인 문제점이 없는 것을 X선 3D computed tomography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lip chip bump bonding후 전단력은 2.45kgf/mm2 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기준치인 2kgf/mm2 이상으로 충분한 접합강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16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la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of farm experience village visitors and the package design of farm specialty products and identified the factors to consider when improving the package design.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package design when purchasing farm specialty products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farm experience village visitors. In case of farm experience village visitors,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urchase wh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package design of farm specialty products they purchased. The results o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of farm experience village visitors and the improvement of package design of farm specialty products showed that the important factors of package design are easiness of transport handling, easiness of storage, and functionality of packaging materials.
        171.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spective increase in the amou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packing containers. Thestudy's aim was to analyse phthalates, which are regulated for use in food containers in the EU, as well as four heavymetals (Pb, Cd, Hg, and Cr6+) regulated domestically and abroad. Furthermore, we endeavored to confirm the need foradditional regulations for packaging material by analysing PBDEs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a brominated flameretardant that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because of its wide use in plastic packaging. The concentration of the heavymetal, namely Pb, Cd, Hg and Cr6+ in packaging material samples were in ranged from ND to 7.2mg/kg, ND to 0.47mg/kg, ND to 0.07mg/kg, and ND to 5.01mg/kg, respectively. With total concentration of the four heavy metals (ΣPb+Cd+Hg+Cr6+) ranging from ND to 9.14mg/kg, all samples were below the standard threshold (Σ 100mg/kg). Theconcentration of phthalates in packaging samples was less than the standard of all foreign nations of 0.1% (1,000mg/kg). In particular, DEHP, DEHA, and DBP were detected higher in smart phone cases than others; other materials werefound to be at similar levels. The concentration of PBDEs in packaging material samples was detected in the range ofND to 24.2mg/kg, thereby not exceeding the standard of WEEE and RoHS of 0.1% (1,000mg/kg) for electrical appliancesand electronics.
        172.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편이 단호박 원료의 수확 후 적정 후숙 기간과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방법을 구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형 단호박 ‘보짱‘을 수확하여 1주, 2주 후숙시킨 다음 1차 수돗물 세척 후 100 μL/L의 염소수에 살균소독 세척한 다음 절단하여 80 μm PE/Ny 필름에 진공 및 밀봉포장 하여 5℃ 에서 21일간 저장하였다. 단호박의 후숙기간은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내부의 기체 조성 및 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단호박 원료 2주 후숙 처리는 1주 후숙 처리보다 신선편이 제품 저장 중 CO2 농도가 2.2~5.0 kPa 낮았고, 저장 7일 이후 경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당도는 2주 후숙이 1주 후숙 처리 보다 2~3%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적색도(Hunter a)도 2주 후숙이 1주 후숙보다 높게 나타났고, 색과 외관에 대한 관능점수가 높아 기호성이 우수하였으며, 이취발생도 적어 저장 3주까지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밀봉포장은 진공포장보다 미생물 수가 적고, 외관에 대한 관능적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호박을 수확 후 2주 후숙한 다음 신선편이 가공하여 밀봉포장하는 것이 신선편이 단호박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173.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포장방법에 따른 함박스테이크의 냉장저 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polylactide(PLA) tray를 이용한 함기포장(AC)이었으며, 처리구로는 진공포 장(VAP)과 탈산소제 봉입포장(OS)이 적용되었다. 총균수 는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 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AC구에서의 총균수 증가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기 간 중 TBA와 VBN값은 AC구에서 가장 빠른 증가를 보였으 며 그 다음으로는 OS, 그리고 VAP포장구의 순이었다. 관능 평가 결과 VAP구와 OS구 시료들은 모든 관능평가 항목에 서 12일째까지 5.0점 이상의 평가를 받은 반면, AC구는 모든 항목에서 5.0 미만으로 이미 상품성을 상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VAP나 OS처리를 통하여 포 장 내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호기적 미생물의 생장과 산화작 용의 억제로 인한 지방산패나 단백질부패속도가 지연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174.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rrect packaging enables processors to pack fresh produce and extend its shelf lif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on the weight loss, pH, O2, CO2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during their storage at 5℃ for seven days. Soybean sprouts (320±20 g) were packaged with oriented polypropylene (OPP) and cast polypropylene (CPP) films, respectively. The O2 transmission rate of the packaging materials was set to have a control of 10,000 cc/m2․day․atm, and an OP15 and CP15 with 15,000 cc/m2․day․atm through a pre-screening test. The average weight loss of the soybean sprouts during their storage was less than 10%, and that of the soybean sprouts with a CPP fil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PP film. The pH of the soybean sprouts increased during their storage regardless of their packaging materials; but compared to the pH of the soybean sprouts packaged with OPP, those packaged with CPP were higher. The CO2 content of the packaging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O2 content. The ratio of CO2 to O2 in the soybean sprouts with the OPP film was 3.5 times higher than in the soybean sprouts with the CPP film. The results of the overall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marketability of the soybean sprouts packaged with OPP film and stored at 5℃ seemed to have been maintained effectively for six days (at a 15,000 cc/m2․day․atm O2 transmission rate). Wh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control, OP15 and CP15 were analyzed, the highest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a control and OP15 (0.986; p<0.01).
        175.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ifferent packag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d vacuum-dried peaches. All the dried peach samples were stored such as N2 gas substitution, vacuum and passive packaged with polyethylene (PE) film and oriented polypropylene (OPP)/aluminum (Al)/PE film at 40℃ for 50 days. The weight change, pH, soluble solids content, titratable acidity, soluble solid-acid ratio (SS/TA), delta E, browning degree and phenolic compounds were analyzed. The weight change and pH were lower in the 0.1% vitamin C-treated group and were significantly lowest in the vacuum-treated OPP/AL/PE. The soluble solids content and the SS/TA were higher in the non-treated groups than in the vitamin C-treated groups. According to the packaging methods, the L* values were higher in the vacuum, N2 gas and passive package, in that order. In addition, the browning degree and the delta E value were lower in the pretreated groups and significantly lowest in the vacuum-treated OPP/AL/PE with 0.1% vitamin C group. The phenolic compounds were high for the pretreated groups, according to the packaging methods (vacuum > N2 gas> passive), and the OPP/AL/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and pretreatment methods affected the quality of the dried peaches, and the vacuum- OPP/AL/PE film packaging group showed a high quality.
        177.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quality changes of Yukwa during storage using the various item packaging methods present in the domestic market. The samples consisted of a self-adhesive-oriented polypropylene (OPP)film pouch (P1), a heat-sealed OPP film pouch (P2), and a polystyrene (PS) tray with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id (P3). These were stored at 25℃ up to eight week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e acid values of all the study samples remained under the Korean hygiene regulation limit of 2.0 mg KOH/g. The P2 samples showed both the slowest decrease in water content and the slowest increase in hardness value during storage. Sensory evaluation also showed that the P2 samples were the only ones that maintained their market value of 5.0 throughout the eight-week assessment period.
        17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패키지디자인은 소재의 개발과 기술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왔다. 본질적인 기능인 상품의 보호, 보존뿐 아니라 특정한 목적이나 전략에 따라 적절한 패키지디자인 적용이 가능해지면서 패키지는 브랜드 전략을 표출하는 디자인 방안의 하나로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특히 작은 면적의 한정된 요소인 라벨을 중심으로 최근의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패키지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패키지 라벨은 상품명과 브랜드를 표시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제한된 크기나 공간적 한계로 인해 필요한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는 없으며 가능한 가장 효율적이고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찾기 위한 노력과 시도를 계속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패키지의 라벨디자인 가운데서 기술적, 기능적 측면에서 차별화되고 의미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앞으로 다양한 방향에서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포장재의 발전에 따라 얇고 기능적이며 환경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라벨디자인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패키지 자체와 결합되거나 생략되는 등 기존의 라벨이라는 영역을 넘나드는 시도가 활발하며 이와 같은 시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179.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shrooms have a shorter shelf-life than most vegetables because of their very high respiration rates, sensitivity to enzymatic browning and susceptibility to microbial spoil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various packaging materials and precooling on the quality of mushrooms (Agaricus bisporus). Mushrooms were precooled at 4℃ for three hours and packaged using the following packaging materials; 1) polyethylene (PE) film bags of 0.03 mm thickness, 2) polypropylene (PP) film bags of 0.03 mm thickness, and 3) polystyrene (PS) tray+polyvinyl chloride (PVC) wrapper. The physiological changes (weight loss, gas composition, color, firmness, and sensory evaluation) associated with postharvest deterioration were monitored for 17 days at 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P film bag maintained quality of mushrooms most effectively, especially PP film bags inhibited decreasing firmness. The samples also exhibited smaller decreases in weight loss rate (0.57%) and Hunter L value (84.44) than PS tray+PVC wrapper (7.73%, 82.19) and PE film bags (0.89%, 82.96). Sensory evaluation level in all samples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during the first 5 days of storage. However, PE film bags and PS tray+PVC wrapper showed lower score of flavor, texture and color than PP film bags after 8 days of storage. This study suggested that PP film bag packaging effectively extends shelf-life of mushrooms during storage.
        180.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in quality of heat treated fresh-cut lotus roots using various packaging materials. Lotus roots were purchased from Daegu, Korea. Lotus roots were washed, peeled and sliced with a sharp ceramic knife. The prepared peeled and sliced lotus roots were dipped for 45 sec in water at 55℃. After air-dried at room temperature, the slices were packaged with polyethylene films, polyethylene terephthalate tray+wrapping, vacuum packaging and then stored at 4℃. Changes in weight loss, color, firmness, microorganism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general, the weight loss rate was increased slightly in vacuum packaged lotus roots. Application of heat treatment delayed browning of lotus roots, and especially vacuum packaged lotus roots were the most lowest △E value. However, L and △E value of PE film packaged lotus roots were increased highly during storage. The heat treated and vacuum packaging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effectively. The organoleptic quality of vacuum packaged lotus roots showed the best by sensor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