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8

        161.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iciency to detect mutagenicity of the system using a specific locus mutation of Bombyx mori was examined and improved. In the system, mutagenicity could be detected by the egg colour manifested by the pe and/or re genes, which is a kind of recessive visible mutation of the insect. Among tested four mutagens, MMC had specially high sensitivity in the oocytes of silkworm and EMS had in the spermatozoa. PCB and dioxin showed a positive effect in both the oocytes and spermatozoa. In a consequence of sensitivity of mutagen by mating number of male moth of B. mori, treated mutage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ne mating - and three mating - male moth in sensitivity of mutagen. Sun3ho, B. mori variety, which showed high sensitivity to mutagens was improved in the major characteristics by crossing of C5 and N12.
        4,000원
        162.
        200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RES controlled reporter gene on screening and production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EPO) proteins from cultured CHO cells. The cDNA was cloned for EPO from human liver cDNA. Using site-directed mutagenesis, we generated recombinant human EPO (rhEPO) with two additional N-glycosylations (Novel erythropoiesis-stimulating protein: NESP). Wild type hEPO and NESP were cloned into expression vectors with GFP reporter gene under regulatory control of CMV promoter and IRES so that the vectors could express both rhEPO and GFP. The expression vectors were transfected to cultured CHO-K1 cells. Under microscopy, expression of GFP was visible. Using supernatant of the culture, ELISA assay, immunocytochemistry and in vitro assay using EPO dependant cell line were performed to estimate biological activity to compare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secretion levels, etc.) between rhEPO and NESP. The activity of NESP protein, obtained by mutagenesis, was described and compared with its rhEPO counterpart produced under same conditions. Although NESP had less secretion level in CHO cell line, the biological activity of NESP was greater than that of rhEPO.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es. We also demonstrated that rhEPO and GFP proteins expressed simultaneously from transfected CHO cell line. Therefore we conclude that use of GFP reporter gene under IRES control could be used to screen and produce rhEPO in cultured CHO cells.
        4,000원
        16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tal of 36 sweet potato field soils were sampled to survey the occurrence of the root-knot nematodes (RKN). The 61% of sweet potato fields in Haenam, 40% in Iksan and 31% in Yeju were infested with RKN, respectively. Average population density of RKN was 324 juveniles per 300 g soil. The resistance screening of sweet potato cultivars against RKN was carried out by using clay pots in a greenhouse. Average temperature under ground 10 ㎝ in pot was 21.5℃ during the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mber of egg sacs among different inoculation methods, however the egg-inoculation method was easy for treatment and had stable for results. The multiplication ratio of Melioidogyne incognita differed from 6.3 times (Jeungmi) to 63.2 times (Yulmi) by sweet potato cultivars. There were no cultivars showing resistance to M. incognita, but Jinmi, Jeungmi and Borami had resistance to M. arenaria, M. hapla and M. javanica.
        4,000원
        167.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약용식물내 에스트로겐성과 항-에스트로겐성을 조사하고 항암인자를 발견하기 위하여, 본연구는 에탄올추출로 제조된 9종류의 한국산 약용식물에 대하여 재조합효모와 MCF-7 사람유방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스크리닝하고 비교하였다. 재조합효모를 이용한 실험결과, 7종류의 약용식물에서 에스트로겐성이 나타났고, 4종류에서 안드로겐성이 나타났다. 또한 MCF-7 사람유방암세포주를 이용한 실험결과, 8종류의 추출물이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스페놀 A와 동시 처치한 경우에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yeyrrhiza uralensis, Cassia tora, Syringa velutina, Zingiber officinale, Malva verticillata, Panax ginseng C.A. Meyer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서 에스트로겐에 양성인 사람유방암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티는 흥미로운 결과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한국산 약용식물이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항암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의 활성을 조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잔류물질 간이 시험법으로 EEC-4 plate test와 Charm II test가 항생물질과 합성항균제 잔류검사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이들 상호간의 결과 수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EEC-4 plate 혹은 Charm II에서 양성으로 나타난 돈육 71건에 대하여 HPLC로 정량 분석한 결과, only tetracyclines 46건, only sulfonamides와 solfonamides+tetracyclines가 각각 4건씩, amphenicols+tetracyclines와 amphenicols+sulfonamides+tetracyclines가 각각 1건씩 검출되었고, 15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ulfonamides 계열에서 검출된 9건의 경우, Charm-II test 결과 수치가 낮은 경우에 정량 검출량이 높게 나타났고, EEC-4 plate test결과 pH6.0, pH7.2, pH8.0모두에서 양성으로 나타나는 등 두 시험방법 간에 연관성이 있었고, chloramphenicols 계열에서 검출된 2건과 검출되지 않은 7건의 경우, Charm-II test결과 수치가 낮은 경우에는 오히려 정량 검출되지 않았으나, control point근방의 양성 수치에서는 검출량이 높게 나타날 뿐 아니라 EEC-4 plate test에서도 pH 6.0, pH 7.2, pH 8.0 모두에서 양성으로 나타나는 등 두 시험방법 간에 연관성이 있었다. 한편, tetracycline 계열의 경우, EEC-4 plate와 Charm-II간에 연관성은 없었다. 또한, EEC-4 plate와 Charm II에서 각각 양성을 나타내었으나 HPLC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tetracyclines계열에서는 10.5%(6/57), sulfonamides계열의 경우는 없었고, chloramphenicols계열의 경우는 81.8%(9/11)로 각각 나타나 EEC-4 plate와 Charm II가 세 가지 잔류물질 시험에 대한 screening method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71.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약용버섯 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특이적 자실체 형성 유전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DNA는 버섯의 분화 4단계 균사체, 원기, 미성숙 자실체, 성숙한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각각의 total RNA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특이적으로 발현된 유전자의 선별은 cDNA와 랜덤한 primer set을 이용한 DD-PCR에 의해 수행되었고, pGEM 클로닝 벡터를 이용하여 6개의 partial 유전자 서열을 확인하였다. 6개의 DD-PCR product는 보고된 유전자와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NCBI BLAST search를 사용하여 GenBank에서 비교하였고, 6개의 유전자는 보고되지 않은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3,000원
        172.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자추출물 및 유자주스와 유자주스의 유기산, ascorbate 및 pheolic 획분을 이용하여 nitrosamine(NA)생성의 주요 전구물질인 아질산염의 소거능과 N-nitrosodimethylamine(NDM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H 1.2와 4.2의 반응계에서 아질산염 소거능과 NDMA 생성억제능은 시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계의 pH가 산성영역일수록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자 과육 및 과피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억제능은 과피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자주스와 각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주스를 첨가한 경우에 92.2±3.2~98.2±3.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유기산 획분, phenolic 획분 및 ascorbate 획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자로부터 NDMA생성억제에 주된 영향을 주는 물질은 유기산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7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식중독은 단체 급식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위생상태와 연관되어 식중독을 야기 시키는 병인 물질 중 포도상 구균은 많은 부분을 차지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부경남지역의 5개 초등학교 급식시설에서 총 98개의 샘플 중 A급식소의 식수, D급식소의 손, E급식소의 냉장고와 앞치마에서 4개의 포도상 구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1개의 메티실린 저항성 혈장응고 효소 음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e Resistant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aureus: MRCNS땃 깨의 메치실린 민감성 혈장응고효소 양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e sensitive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CPS)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포도상 구균은 내열성 내독소로서, 이 중 가장 문제가 되는 내독소 B(enterotoxin B)를 검색하기 위한 PCR을 실시한 결과, A장소의 식수, D장소의 손, E 장소의 냉장고와 앞치마에서 분리된 균주로부터 477b의 생성물을 갖는 sob gene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생제 민감성 실험에서는 ampicillin과 penicillin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저항성을 가졌으며, 특히 A 식수에서 분리된 균주는 옥사실린 저항성(oxacilline resistant)균주로 나타나 MRSA(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균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7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erally, non-aflatoxigenic fungi, such as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niger are main microflora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ncluding Meju and soybean paste, but sometimes, Aspergillus flavus and Aspergillus parasiticus can be contaminated and accumulated aflatoxins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So the screening of aflatoxigenic strains in fermented traditional food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anitary quality of those foods. In this work, we screened aflatoxin producing fungi from commercial Meju and soybean paste in Western Gyeongnam by immunoassay. Samples were randomly purchased from market of the commercial Meju(10 EA) and soybean paste(20 EA) in nine areas of Western Gyeongnam. Of the samples collected, 24 strains and 22 strains of Aspergillus sp. were isolated from Meju and soybean paste, respectively. The isolated strains were cultured on SLS media at 25℃ for 15 days. The cultured broth were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and were analysed to determine aflatoxin B₁(AFB₁) by direct competitive ELISA(DC-ELISA). Six strains(25%) isolated from Meju, and 2 strains(9%) isolated from saybean paste, were confirmed as aflatoxin producing strains. The average range of aflatoxin productivity of isolates from Meju was 54.6 ± 38.7 ng/ml and that from soybean paste was 11.1 ± 8.6 ng/ml, respectively. Among them, isolated strain No. M-5-4 produced a high level of AFB₁ and showed 98.26 ng/ml of AFB₁. Every isolates were also re-confirmed their AFB₁ productivity by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The TLC results also showed same trend as DC-ELISA results. As the above results, the screening of hazard mycotoxigenic fungi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should be necessary for the safety and the application of HACCP system in the food manufactory in Korea.
        4,000원